자궁경부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arat2416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Carat2416 (토론 | 기여)
생검, 전암병변에 대한 번역
25번째 줄: 25번째 줄:


== 원인 및 진단 ==
== 원인 및 진단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HPV)이 자궁경부암 발생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원인이다.<ref name="Robbins">{{서적 인용|title=Robbins Basic Pathology|year=2007|edition=8th|publisher=Saunders Elsevier|pages=718–721|isbn=978-1-4160-2973-1|vauthors=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ref><ref name="Don2009">{{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R0FbhLsWHBEC&pg=PA1299|title=Holland-Frei cancer medicine|date=2009|edition=8th|publisher=McGraw-Hill Medical|location=New York|page=1299|isbn=978160795014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201054742/https://books.google.com/books?id=R0FbhLsWHBEC&pg=PA1299|archive-date=1 December 2015|url-status=live|vauthors=Kufe D}}</ref> 그러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자의 대부분이 자궁경부암에 걸리지 않는다.<ref name="WCR2014">{{서적 인용|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5.12|isbn=978-9283204299}}</ref><ref>{{저널 인용|title=HPV and HPV-associated diseases|journal=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date=December 2013|volume=27|issue=4|pages=765–778|doi=10.1016/j.idc.2013.09.001|pmid=24275269|vauthors=Dunne EF, Park IU}}</ref> HPV 16과 18 균주가 고등급 전암병변 원인의 약 50%를 차지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cervical-cancer|title=Cervical cancer|website=www.who.int|language=en|access-date=2022-05-13}}</ref> 다른 위험 요소로는 [[흡연]], [[면역결핍]], [[경구피임약]], 첫 성관계 시기가 이른 경우, 많은 성관계 파트너를 갖는 경우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ref name="NCI2014Pt" /><ref name="NCI2014Pro">{{웹 인용|url=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cervical/HealthProfessional/page1/AllPages|title=Cervical Cancer Treatment (PDQ®)|date=14 March 2014|website=National Cancer Institut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05230535/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cervical/HealthProfessional/page1/AllPages|archive-date=5 July 2014|url-status=live|access-date=25 June 2014}}</ref> [[:en:Cervical_Cancer_Gene_Database|유전적 요인]] 또한 자궁경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ref>{{저널 인용|title=Genomic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journal=Cancers|date=October 2021|volume=13|issue=20|pages=5137|doi=10.3390/cancers13205137|pmc=8533931|pmid=34680286|vauthors=Ramachandran D, Dörk T|doi-access=free}}</ref> 자궁경부암은 일반적으로 10~20년간의 [[:en:Precancerous_condition|전암성 변화]]를 거쳐 발생한다.<ref name="WCR2014" /> 자궁경부암 중 약 90%는 [[편평상피세포암]], 10%는 [[선암]], 그리고 소수의 경우가 다른 유형들이다.<ref name="NCI2014Pro" />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은 [[자궁경검진|자궁경 검진]]과 조직 [[생검]]을 통해 진단된다.<ref name="NCI2014Pt" /> [[MRI|영상 검사]]는 암이 전이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쓰인다.<ref name="NCI2014Pt"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간 유두종바이러스 감염]] (HPV)이 자궁경부암 발생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원인이다.<ref name="Robbins">{{서적 인용|title=Robbins Basic Pathology|year=2007|edition=8th|publisher=Saunders Elsevier|pages=718–721|isbn=978-1-4160-2973-1|vauthors=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ref><ref name="Don2009">{{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R0FbhLsWHBEC&pg=PA1299|title=Holland-Frei cancer medicine|date=2009|edition=8th|publisher=McGraw-Hill Medical|location=New York|page=1299|isbn=978160795014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201054742/https://books.google.com/books?id=R0FbhLsWHBEC&pg=PA1299|archive-date=1 December 2015|url-status=live|vauthors=Kufe D}}</ref> 그러나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감염자의 대부분이 자궁경부암에 걸린다는 것은 아니다.<ref name="WCR2014">{{서적 인용|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5.12|isbn=978-9283204299}}</ref><ref>{{저널 인용|title=HPV and HPV-associated diseases|journal=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date=December 2013|volume=27|issue=4|pages=765–778|doi=10.1016/j.idc.2013.09.001|pmid=24275269|vauthors=Dunne EF, Park IU}}</ref> HPV 16과 18 균주가 고등급 전암병변 원인의 약 50%를 차지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cervical-cancer|title=Cervical cancer|website=www.who.int|language=en|access-date=2022-05-13}}</ref> 다른 위험 요소로는 [[흡연]], [[면역결핍]], [[경구피임약]], 첫 성관계 시기가 이른 경우, 많은 성관계 파트너를 갖는 경우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ref name="NCI2014Pt" /><ref name="NCI2014Pro">{{웹 인용|url=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cervical/HealthProfessional/page1/AllPages|title=Cervical Cancer Treatment (PDQ®)|date=14 March 2014|website=National Cancer Institut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05230535/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cervical/HealthProfessional/page1/AllPages|archive-date=5 July 2014|url-status=live|access-date=25 June 2014}}</ref> [[:en:Cervical_Cancer_Gene_Database|유전적 요인]] 또한 자궁경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ref>{{저널 인용|title=Genomic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journal=Cancers|date=October 2021|volume=13|issue=20|pages=5137|doi=10.3390/cancers13205137|pmc=8533931|pmid=34680286|vauthors=Ramachandran D, Dörk T|doi-access=free}}</ref> 자궁경부암은 일반적으로 10~20년간의 [[:en:Precancerous_condition|전암성 변화]]를 거쳐 발생한다.<ref name="WCR2014" /> 자궁경부암 중 약 90%는 [[편평상피세포암]], 10%는 [[선암]], 그리고 소수의 경우가 다른 유형들이다.<ref name="NCI2014Pro" />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은 [[자궁경검진|자궁경 검진]]과 조직 [[생검]]을 통해 진단된다.<ref name="NCI2014Pt" /> [[MRI|영상 검사]]는 암이 전이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쓰인다.<ref name="NCI2014Pt" />


== 예방 및 선별검사 ==
== 예방 및 선별검사 ==
49번째 줄: 49번째 줄:


[[상피]]의 [[양성 종양]]의 일종인 [[생식기 사마귀]] 역시 여러 종류의 HPV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마귀를 일으키는 혈청형은 대개 자궁경부암과는 연관되어있지 않다. 동시에 여러 종류의 HPV에 감염되는 것이 흔하여,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종류와 사마귀를 일으키는 종류에 동시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한편 자궁경부암이 발생하려면 HPV 감염이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사실이다.<ref name="pmid16362994">{{저널 인용|title=HPV-mediated cervical carcinogenesis: concepts and clinical implications|journal=The Journal of Pathology|date=January 2006|volume=208|issue=2|pages=152–164|doi=10.1002/path.1866|pmid=16362994|vauthors=Snijders PJ, Steenbergen RD, Heideman DA, Meijer CJ|s2cid=25400770|doi-access=free}}</ref>
[[상피]]의 [[양성 종양]]의 일종인 [[생식기 사마귀]] 역시 여러 종류의 HPV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마귀를 일으키는 혈청형은 대개 자궁경부암과는 연관되어있지 않다. 동시에 여러 종류의 HPV에 감염되는 것이 흔하여,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종류와 사마귀를 일으키는 종류에 동시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한편 자궁경부암이 발생하려면 HPV 감염이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사실이다.<ref name="pmid16362994">{{저널 인용|title=HPV-mediated cervical carcinogenesis: concepts and clinical implications|journal=The Journal of Pathology|date=January 2006|volume=208|issue=2|pages=152–164|doi=10.1002/path.1866|pmid=16362994|vauthors=Snijders PJ, Steenbergen RD, Heideman DA, Meijer CJ|s2cid=25400770|doi-access=free}}</ref>

=== 흡연 ===
직접 흡연이든 간접 흡연이든, 흡연은 자궁경부암 확률을 높인다. 인간유두종바이러스(HPV)에 감염된 여성중, 현재 혹은 과거 흡연자는 침습성 암에대한 발병률이 대략 2~3배 높다. 간접흡연 또한 더 낮은 수준이지만 발병확률을 높이는 것과 관련있다.<ref name="NIHNCIHPV2015">{{cite web|url=http://cancer.gov/cancertopics/pdq/prevention/cervical/HealthProfessional|title=Cervical Cancer Prevention|date=26 December 2022|work=PDQ|publisher=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location=Bethesda, MD}}</ref>

흡연은 또한 자궁경부암의 진행과 관련 있다.<ref name="LuhnWalker2013">{{cite journal|title=The role of co-factors in the progression from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to cervical cancer|journal=Gynecologic Oncology|date=February 2013|volume=128|issue=2|pages=265–270|doi=10.1016/j.ygyno.2012.11.003|pmc=4627848|pmid=23146688|display-authors=6|vauthors=Luhn P, Walker J, Schiffman M, Zuna RE, Dunn ST, Gold MA, Smith K, Mathews C, Allen RA, Zhang R, Wang S, Wentzensen N}}</ref><ref name="RemschmidtKaufmann2013">{{cite journal|title=Risk factors for cervical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high-grade intraepithelial lesion in women aged 20 to 31 years in Germany|journal=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al Cancer|date=March 2013|volume=23|issue=3|pages=519–526|doi=10.1097/IGC.0b013e318285a4b2|pmid=23360813|vauthors=Remschmidt C, Kaufmann AM, Hagemann I, Vartazarova E, Wichmann O, Deleré Y|s2cid=205679729}}</ref><ref name="GadducciBarsotti20112">{{cite journal|title=Smoking habit, immune suppression, oral contraceptive us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e and cervical carcinogene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journal=Gynecological Endocrinology|date=August 2011|volume=27|issue=8|pages=597–604|doi=10.3109/09513590.2011.558953|pmid=21438669|vauthors=Gadducci A, Barsotti C, Cosio S, Domenici L, Riccardo Genazzani A|s2cid=25447563}}</ref> 흡연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여성의 위험도를 높이는데, 자궁경부암을 직,간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ref name="LuhnWalker2013" /><ref name="GadducciBarsotti20112" /><ref name="AgorastosMiliaras2005">{{cite journal|title=Detection and typing of human papillomavirus DNA in uterine cervices with coexistent grade I and grade III intraepithelial neoplasia: biologic progression or independent lesions?|journal=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date=July 2005|volume=121|issue=1|pages=99–103|doi=10.1016/j.ejogrb.2004.11.024|pmid=15949888|vauthors=Agorastos T, Miliaras D, Lambropoulos AF, Chrisafi S, Kotsis A, Manthos A, Bontis J}}</ref> 직접적으로 발암을 유발하는 방법은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en:Cervical_intraepithelial_neoplasia|자궁목상피내종양]] (CIN3)의 발생확률을 높이는 것이다.<ref name="LuhnWalker2013" /> CIN3 병변이 암으로 진행될 때에 대부분 인간유두종바이러스가 기여하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니므로 자궁경부암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ref name="AgorastosMiliaras2005" /> 흡연량이 많거나 오랜 기간 흡연을 해왔을 경우 아닌 경우보다 CIN3 병변이 생길 위험도가 더 높아진다.<ref name="JensenSchmiedel2012">{{cite journal|title=Risk for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grade 3 or worse in relation to smoking among women with persistent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journal=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date=November 2012|volume=21|issue=11|pages=1949–1955|doi=10.1158/1055-9965.EPI-12-0663|pmc=3970163|pmid=23019238|vauthors=Jensen KE, Schmiedel S, Frederiksen K, Norrild B, Iftner T, Kjær SK}}</ref> 흡연은 자궁경부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과 동시에, HPV의 발달에도 도움을 주고, 간접적으로 발암의 원인이 된다.<ref name="GadducciBarsotti20112" /> 이미 HPV 양성인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 발병 확률이 더 높아진다.<ref name="JensenSchmiedel2012" />

=== 경구 피임약 ===
장기간의 경구 피임약 사용은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 여성에서 자궁경부암 발병률을 높이는 것과 관련있다. 5~9년간 경구 피임약을 복용해온 여성의 경우 침습성 암의 유발율이 3배정도 높고, 10년간 복용해온 사람은 약 4배정도 위험하다.<ref name="NIHNCIHPV20152">{{cite web|url=http://cancer.gov/cancertopics/pdq/prevention/cervical/HealthProfessional|title=Cervical Cancer Prevention|date=26 December 2022|work=PDQ|publisher=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location=Bethesda, MD}}</ref>

=== 많은 임신 경험 ===
임신경험이 많은 것은 자궁경부암 위험을 높이는 것과 관련있다. HPV 감염 여성에서, 7번 이상 만기 임신을 한 여성은 미분만부에 비해 약 4배의 위험도를 가지고, 한번 또는 두번의 만기 임신을 한 여성에 비해 약 3배의 위험도를 가진다.<ref name="NIHNCIHPV20152" />

== 진단 ==
[[File:Ca_cervicis_uteri_T2_SAG.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Ca_cervicis_uteri_T2_SAG.jpg|섬네일|골반 MRI T2 강조 시상면 영상에서 보이는 자궁경부암]]

=== 생검 ===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en:Pap_test|(Pap smear)]] 는 [[:en:Screening_(medicine)|선별 검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최대 50%에서 [[:en:False_positives_and_false_negatives#False_negative_error|거짓 음성]] 이 발생한다.<ref>Cecil Medicine: Expert Consult Premium Edition . {{ISBN|1437736084}}, 9781437736083. Page 1317.</ref><ref>Berek and Hacker's Gynecologic Oncology. {{ISBN|0781795125}}, 9780781795128. Page 342</ref> 다른 우려사항은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의 비용으로, 세계의 많은 영역에서 감당하기 어렵다.<ref>{{cite journal|title=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in developing countries|journal=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date=February 2004|volume=84|issue=2|pages=101–108|doi=10.1016/j.ijgo.2003.09.009|pmid=14871510|vauthors=Cronjé HS|s2cid=21356776}}</ref>

자궁경부암 또는 전암병변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자궁경부의 생검이 필요하다. 생검은 때때로 [[:en:Colposcopy|질확대경]]을 이용한다. 희석된 [[:en:Acetic_acid|아세트산]] 용액을 이용하여 자궁경부 표면의 비정상세포를 강조하고, 루골용액으로 정상세포를 갈색으로 염색하여 대비를 준 뒤, 질확대경을 통해 확대하여 눈으로 직접 확인 후 생검한다. <ref name="Robbins3">{{cite book|title=Robbins Basic Pathology|year=2007|edition=8th|publisher=Saunders Elsevier|pages=718–721|isbn=978-1-4160-2973-1|vauthors=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ref><ref>{{cite book|title=Colposcopy and treat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 beginners' manual|date=2003|publisher=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chapter=Chapter 4: An introduction to colposcopy: indications for colposcopy, instrumentation, principles and documentation of results|isbn=978-92-832-0412-1|vauthors=Sellors JW|chapter-url=http://screening.iarc.fr/colpochap.php?lang=1&chap=4}}</ref>

자궁경부 생검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en:Instruments_used_in_obstetrics_and_gynecology|펀치 포셉]]을 포함한다. 질확대경 시진을 바탕으로 추정한 질병의 심각도는 진단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후 진단 및 치료 방법은 병리학적 검사를 위해 자궁경부 내부 조직을 채취하는 과정인 [[:en:Loop_electrical_excision_procedure|고리 전기 절제술 (LEEP)]] 과 [[:en:Cervical_conization|자궁경부원추절제술]] 이다. 이 절차는 생검에서 고도의 [[:en:Cervical_intraepithelial_neoplasia|자궁목상피내종양 (CIN)]]으로 확진이되었을때 시행한다.

{{medical citation needed|date=September 2020}}
[[File:Squamous_carcinoma_of_the_cervix.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Squamous_carcinoma_of_the_cervix.jpg|오른쪽|섬네일|This large squamous carcinoma (bottom of picture) has obliterated the cervix and invaded the lower uterine segment. The uterus also has a round [[:en:Leiomyoma|leiomyoma]] up higher.]]
생검전에, 증상에 대한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위해 의사가 영상검사를 제안하기도 한다. [[:en:Ultrasound|초음파]], CT, MRI와 같은 영상 진단장비는 감별질환, 암의 확산, 인접 구조에 대한 영향을 찾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은 자궁목에 비균질 종양으로 보입니다.<ref>{{cite journal|title=CT evaluation of cervical cancer: spectrum of disease|journal=Radiographics|date=September–October 2001|volume=21|issue=5|pages=1155–1168|doi=10.1148/radiographics.21.5.g01se311155|pmid=11553823|vauthors=Pannu HK, Corl FM, Fishman EK}}</ref>

검사 중 음악을 재생하거나 모니터로 검사과정을 보여주는 등의 개입은 검사와 관련된 불안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ref>{{cite journal|title=Interventions for reducing anxiety in women undergoing colposcopy|journal=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date=December 2011|volume=2022|issue=12|pages=CD006013|doi=10.1002/14651858.cd006013.pub3|pmc=4161490|pmid=22161395|vauthors=Galaal K, Bryant A, Deane KH, Al-Khaduri M, Lopes AD}}</ref>

=== 전암 병변 ===
[[File:Ca_in_situ,_cervix_2.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Ca_in_situ,_cervix_2.jpg|섬네일|Histopathologic image ([[:en:H&E_stain|H&E stain]]) of carcinoma ''in situ'' (also called CIN3), stage 0: The normal architecture of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is replaced by irregular cells that extend throughout its full thickness. Normal columnar epithelium is also seen.]]
자궁경부암의 잠재력을 가진 자궁목상피내종양 (CIN)은 [[:en:Pathology|병리학자]]에 의한 자궁목 생검을 통해 진단된다. 전암성 이형성 변화에 있어서 [[:en:Cervical_intraepithelial_neoplasia|자궁목상피내종양]] 병기가 사용된다.

자궁경부암 전암병변의 이름 및 [[:en:Histology|조직학적]] 분류는 20세기 동안 변화되어 왔다. [[:en:World_Health_Organization|세계보건기구]] 분류 체계<ref name="CAresearchUK">{{cite web|url=http://info.cancerresearchuk.org/cancerstats/types/cervix/incidence/|title=Cancer Research UK websit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116222837/http://info.cancerresearchuk.org/cancerstats/types/cervix/incidence/|archive-date=16 January 2009|url-status=dead|access-date=3 January 2009}}</ref><ref name="DeMay">{{cite book|title=Practical principles of cytopathology. Revised edition.|year=2007|publisher=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Pathology Press|location=Chicago, IL|isbn=978-0-89189-549-7|vauthors=DeMay M}}</ref> 에서는 경증, 중등증, 중증 [[이형성]] , [[제자리암]] (CIS)으로 명명하고 설명한다. 자궁목상피내종양 (CIN) 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병변의 비정상성에 관한 스펙트럼을 강조하고, 치료의 표준화를 위해 개발되었다.<ref name="DeMay" /> 경증의 이형성을 CIN1, 중등도의 이형성을 CIN2, 중증의 이형성 및 CIS를 CIN3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CIN2 와 CIN3 가 CIN2/3로 병합되었다. 병리학자들은 조직검사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보고한다.

자궁경부세포진 검사 (Pap smear) 결과에 대한 [[:en:Bethesda_system|베데스다 시스템]] 용어와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베데스다 결과에 포함된 것은 다음과 같다 : [[:en:Bethesda_system|저등급편평상피내병터]] (LSIL),[[:en:Bethesda_system#HSIL|고등급편평상피내병터]] (HSIL). LSIL은 CIN1에 해당할 수 있고, HSIL은 CIN2 과 CIN3에 해당 할 수 있지만<ref name="DeMay" /> 서로 다른 검사 결과이며 자궁경부세포진 검사 결과가 조직학적 소견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medical citation needed|date=May 2021}}


== HPV 백신의 부작용사례 ==
== HPV 백신의 부작용사례 ==

2023년 8월 31일 (목) 23:59 판

자궁경부암
진료과종양학
증상조기: 없음[1]
후기: 질출혈, 골반통, 성교통[1]
통상적 발병 시기10~20년 후[2]
유형편평상피세포암, 선암, 기타[3]
병인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4][5],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흡연, 이른 성경험, 성병 감염, 장기간 경구피임약 사용, 많은 출산 경험 등
위험 인자흡연, 면역결핍, 경구피임약, 어린나이에 성관계, 많은 성관계 파트너[1][3][6]
진단 방식자궁경부세포진검사 원추 절제 생체 검사, 자기공명영상 검사, 방광경 검사[1]
예방정기적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인간유두종바이러스 (HPV) 백신, 성관계시 콘돔사용[7][8]
치료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치료, 면역항암요법[1]
예후5년생존률:
68% 미국
46% (인도)[9]
빈도604,127 new cases (2020)[10]
사망341,831 (2020)[10]

자궁경부암(子宮頸部癌, Cervical cancer)은 자궁목(자궁경부)에서 발생하는 이다.[1] 체내의 다른 부위로 침범하거나 전이될 수 있는 비정상 세포에 의해 발생한다.[11]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발현하지 않지만,[1] 후기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질출혈, 골반통 또는 성교통이 발생할 수 있다.[1] 성관계후 발생하는 출혈은 심각한 경우가 아닐 수 있지만, 자궁경부암의 존재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12]

원인 및 진단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감염 (HPV)이 자궁경부암 발생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원인이다.[4][5] 그러나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감염자의 대부분이 자궁경부암에 걸린다는 것은 아니다.[2][13] HPV 16과 18 균주가 고등급 전암병변 원인의 약 50%를 차지한다.[14] 다른 위험 요소로는 흡연, 면역결핍, 경구피임약, 첫 성관계 시기가 이른 경우, 많은 성관계 파트너를 갖는 경우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1][3] 유전적 요인 또한 자궁경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15] 자궁경부암은 일반적으로 10~20년간의 전암성 변화를 거쳐 발생한다.[2] 자궁경부암 중 약 90%는 편평상피세포암, 10%는 선암, 그리고 소수의 경우가 다른 유형들이다.[3]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은 자궁경 검진과 조직 생검을 통해 진단된다.[1] 영상 검사는 암이 전이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쓰인다.[1]

예방 및 선별검사

인간유두종바이러스 (HPV) 백신을 통해 바이러스군의 2가지~7가지의 고위험 균주를 예방할 수 있고, 자궁 경부암의 최대 90%를 예방할 수 있다.[8][16][17] 발암에 대한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정기적인 자궁경부세포진검사 (Pap smear)가 권고된다.[8]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만 20세 이상 여성인 경우 2년에 1회 자궁경부세포진검사를 하는것이 국가건강검진으로 지정되어 있다[18]. 다른 예방 방법으로는 성관계 파트너를 적게 또는 아예 갖지 않는 것이나,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7] 자궁경부세포진검사 (Pap smear) 또는 아세트산 (VIA) 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선별검사는 전암병변을 확인할 수 있고, 치료를 통해 암으로 변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19] 치료방법으로는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한다.[1] 자궁경부암의 미국 5년 생존률 은 68%이다.[20] 치료에 대한 결과는 얼마나 빠르게 암이 발견되었는지에 매우 의존한다.[3]

역학

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은 부인과암 중에서 4번째로 흔한 암이자 4번째로 흔한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이다. 2012년에는 약 528,000건의 자궁경부암이 발생했고 266,000명이 사망했다.[2] 이는 암으로 인한 전체 사망건의 약 8%를 차지한다.[21] 자궁경부암의 약 70%의 발생과, 90%의 사망이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2][22] 저소득 국가에서는 여성 10만명당 유병률이 47.3으로 암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23][19] 선진국에서는 선별검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자궁경부암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켰다.[24]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전세계 사망률 감소에 대한 예상 시나리오는 WHO에서 정의한 3중 개입 전략을 통해 권장된 예방 목표의 달성에 관한 가정을 고려하여 검토되었다.[25] 의학연구에서, HeLa로 알려진 가장 유명한 불사화 세포주Henrietta Lacks라는 여성의 자궁 경부 세포로 만들어 졌다.[26]

징후 및 증상

자궁경부암의 초기단계에서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27][28] 질출혈, 접촉 출혈 (가장 흔한 형태로는 성관계 후 출혈), 또는 (드물게) 질 내 종괴가 악성 종양의 존재를 가리킬 수 있다. 성관계중 나타나는 중등도의 통증과 질 분비물 또한 자궁경부암의 증상 일 수 있다.[29] 진행암의 경우, 복부, , 기타부위에 전이될 수 있다.[30]

진행된 자궁경부암의 증상에는: 식욕부진, 체중감소, 피로, 골반통, 허리통증, 다리 통증, 다리 부종, 심한 질 출혈, 골절, (드물게) 질을 통한 소변 또는 대변의 누출 이 포함 될 수 있다.[31] 질세척(douching) 또는 골반 내진 후에 발생하는 출혈은 자궁경부암의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원인

몇몇 종류의 인간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자궁경부암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고, 흡연이 두번째 요인이다.[32]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HIV) 감염 또한 위험요인이다.[32] 자궁경부암의 모든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몇가지의 요소들이 연관되어 있다.[33][34]

인유두종 바이러스

인유두종 바이러스 (HPV) 16번과 18번은 전세계 자궁경부암의 원인 중 75%를 차지한다. 31번과 45번은 10%를 차지한다.[35]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가지거나, 성별에 관계없이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가진 파트너가 있는 여성은 더 높은 자궁경부암 가능성을 가진다.[36][37]

150-200 종류의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 중,[38][39] 15개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 (16, 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 68, 73, and 82), 3개는 잠재적 고위험군 (26, 53, and 66), 12개는 저위험군으로 분류된다. (6, 11, 40, 42, 43, 44, 54, 61, 70, 72, 81, and CP6108).[40]

상피양성 종양의 일종인 생식기 사마귀 역시 여러 종류의 HPV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마귀를 일으키는 혈청형은 대개 자궁경부암과는 연관되어있지 않다. 동시에 여러 종류의 HPV에 감염되는 것이 흔하여,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종류와 사마귀를 일으키는 종류에 동시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한편 자궁경부암이 발생하려면 HPV 감염이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사실이다.[41]

흡연

직접 흡연이든 간접 흡연이든, 흡연은 자궁경부암 확률을 높인다. 인간유두종바이러스(HPV)에 감염된 여성중, 현재 혹은 과거 흡연자는 침습성 암에대한 발병률이 대략 2~3배 높다. 간접흡연 또한 더 낮은 수준이지만 발병확률을 높이는 것과 관련있다.[42]

흡연은 또한 자궁경부암의 진행과 관련 있다.[43][44][45] 흡연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여성의 위험도를 높이는데, 자궁경부암을 직,간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 [43][45][46] 직접적으로 발암을 유발하는 방법은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자궁목상피내종양 (CIN3)의 발생확률을 높이는 것이다.[43] CIN3 병변이 암으로 진행될 때에 대부분 인간유두종바이러스가 기여하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니므로 자궁경부암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46] 흡연량이 많거나 오랜 기간 흡연을 해왔을 경우 아닌 경우보다 CIN3 병변이 생길 위험도가 더 높아진다.[47] 흡연은 자궁경부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과 동시에, HPV의 발달에도 도움을 주고, 간접적으로 발암의 원인이 된다.[45] 이미 HPV 양성인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 발병 확률이 더 높아진다.[47]

경구 피임약

장기간의 경구 피임약 사용은 HPV 감염 여성에서 자궁경부암 발병률을 높이는 것과 관련있다. 5~9년간 경구 피임약을 복용해온 여성의 경우 침습성 암의 유발율이 3배정도 높고, 10년간 복용해온 사람은 약 4배정도 위험하다.[48]

많은 임신 경험

임신경험이 많은 것은 자궁경부암 위험을 높이는 것과 관련있다. HPV 감염 여성에서, 7번 이상 만기 임신을 한 여성은 미분만부에 비해 약 4배의 위험도를 가지고, 한번 또는 두번의 만기 임신을 한 여성에 비해 약 3배의 위험도를 가진다.[48]

진단

골반 MRI T2 강조 시상면 영상에서 보이는 자궁경부암

생검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Pap smear)선별 검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최대 50%에서 거짓 음성 이 발생한다.[49][50] 다른 우려사항은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의 비용으로, 세계의 많은 영역에서 감당하기 어렵다.[51]

자궁경부암 또는 전암병변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자궁경부의 생검이 필요하다. 생검은 때때로 질확대경을 이용한다. 희석된 아세트산 용액을 이용하여 자궁경부 표면의 비정상세포를 강조하고, 루골용액으로 정상세포를 갈색으로 염색하여 대비를 준 뒤, 질확대경을 통해 확대하여 눈으로 직접 확인 후 생검한다. [52][53]

자궁경부 생검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펀치 포셉을 포함한다. 질확대경 시진을 바탕으로 추정한 질병의 심각도는 진단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후 진단 및 치료 방법은 병리학적 검사를 위해 자궁경부 내부 조직을 채취하는 과정인 고리 전기 절제술 (LEEP)자궁경부원추절제술 이다. 이 절차는 생검에서 고도의 자궁목상피내종양 (CIN)으로 확진이되었을때 시행한다.

틀:Medical citation needed

This large squamous carcinoma (bottom of picture) has obliterated the cervix and invaded the lower uterine segment. The uterus also has a round leiomyoma up higher.

생검전에, 증상에 대한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위해 의사가 영상검사를 제안하기도 한다. 초음파, CT, MRI와 같은 영상 진단장비는 감별질환, 암의 확산, 인접 구조에 대한 영향을 찾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은 자궁목에 비균질 종양으로 보입니다.[54]

검사 중 음악을 재생하거나 모니터로 검사과정을 보여주는 등의 개입은 검사와 관련된 불안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55]

전암 병변

Histopathologic image (H&E stain) of carcinoma in situ (also called CIN3), stage 0: The normal architecture of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is replaced by irregular cells that extend throughout its full thickness. Normal columnar epithelium is also seen.

자궁경부암의 잠재력을 가진 자궁목상피내종양 (CIN)은 병리학자에 의한 자궁목 생검을 통해 진단된다. 전암성 이형성 변화에 있어서 자궁목상피내종양 병기가 사용된다.

자궁경부암 전암병변의 이름 및 조직학적 분류는 20세기 동안 변화되어 왔다. 세계보건기구 분류 체계[56][57] 에서는 경증, 중등증, 중증 이형성 , 제자리암 (CIS)으로 명명하고 설명한다. 자궁목상피내종양 (CIN) 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병변의 비정상성에 관한 스펙트럼을 강조하고, 치료의 표준화를 위해 개발되었다.[57] 경증의 이형성을 CIN1, 중등도의 이형성을 CIN2, 중증의 이형성 및 CIS를 CIN3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CIN2 와 CIN3 가 CIN2/3로 병합되었다. 병리학자들은 조직검사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보고한다.

자궁경부세포진 검사 (Pap smear) 결과에 대한 베데스다 시스템 용어와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베데스다 결과에 포함된 것은 다음과 같다 : 저등급편평상피내병터 (LSIL),고등급편평상피내병터 (HSIL). LSIL은 CIN1에 해당할 수 있고, HSIL은 CIN2 과 CIN3에 해당 할 수 있지만[57] 서로 다른 검사 결과이며 자궁경부세포진 검사 결과가 조직학적 소견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틀:Medical citation needed

HPV 백신의 부작용사례

2016년 4월 17일: 영국 북서부 그레이터 맨체스터(Greater Manchester)주의 13살의 쉐즐 자만(Shazel Zaman) 사망. HPV 백신을 맞은 뒤 4일 후 사망하였다. 아직 부검중.[58]

미국의 의료전문매체 ‘백신임팩트’는 6월 7일, 백신으로 인한 피해여성 34명의 사례를 보도.[58]

  • 뉴질랜드, 12살 소녀 앰버 스미스, 엄마의 증언에 따르면 HPV 백신을 맞은 뒤, 온 몸에 통증을 느껴 잘 걷지도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고 함.
  • 미국, 매디와 올리비아 자매, “HPV 백신을 맞고 나서 임신할 수 없는 불구의 몸이 됐다”고 증언
  • 펜실베니아의 27세 소녀 케이티 로빈슨, 11살 때 처음 HPV 백신을 맞고, 피로와 두통, 복통, 메스꺼움, 관절통, 기억 상실증, 현기증, 피부 질환 등에 시달렸다.

한국의 사례

식약처는 “우리나라에서도 일시마비, 운동장애 등 14건(2013년 기준)의 부작용 사례가 보고됐다”고 발표했다.[58]

2020년 8월 기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국가예방접종 도입 후 약 150만 건 접종 후 113건(0.007%)의 이상반응이 신고되었다.[59] 이 중 심인성 반응인 일시적인 실신 및 실신 전 어지러움 등의 증상(59건, 52.2%)이 가장 많았다.[59]

2020년 8월 기준 국가예방접종 도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59]
총계 국소 전신이상반응
실신 실신전증상 알레르기 및

피부이상반응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등

(비특이적 전신반응)

신경계 및

근골격계a)

기타b)
113 12 42 17 14 14 14 8
  • a) 신경계 및 근골격계: 편두통, 안면신경마비, 하지 통증, 접종 중 양팔떨림, 실신 중 경련 등(대부분 증상 지속없이 소실됨)
  • b) 기타: 염좌, 탈모, 설사 등
  • ※ 신고 된 이상반응 사례들은 의료진 또는 보호자가 신고한 자료로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증명되지 않았다.[59] 또한 증상이 경미하여 신고하지 않은 사례들은 포함되지 않아, 실제 이상반응 발생률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59]

일본의 사례[58]

일본은 2013년 4월부터 HPV 백신을 '필수 정기 접종'으로 의무적으로 지정되어, 만 12세 이상의 여성 청소년들에게 무상으로 맞게 했다. 2014년 11월까지 338만명의 초·중·고교생들이 HPV 백신을 맞았다. 두달 만인 2013년 6월부터 “이 백신을 맞은 13~16세 소녀들에게 만성 통증증후군인 ‘CRPS(복합부위통증증후군)’ 등의 이상 반응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잇따랐다. 주사를 맞은 338만명 중 2584명이 부작용을 호소, 이 가운데 186명은 증상이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자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3년 6월 ‘HPV 백신 필수 접종 정책’을 철회했다.

HPV 백신과 만성피로증후군[58]

일본 센다이사회보험 병원의 오사무 호타 박사는 “만성피로증후군(CFS)을 호소하는 환자 가운데 상당수가 HPV 백신을 맞은 여성이었다”면서 그 관찰 결과를 2016년 4월 독일에서 열린 국제 백신 심포지움에서 발표했다.

호타 박사는 2014년 10월~2015년 9월까지 약 1년 동안 HPV 백신을 맞은 여성 중 이상증세를 보이는 41명을 관찰하였다.

환자들은 아래 증상들을 호소했다고 한다.

  • 수면장애
  • 두통
  • 피로
  • 어지럼증
  • 광선혐기증(빛을 보면 눈에 이상이 나타나는 증상)
  • 관절 통증

박사는 “41명 중 34명(82%)은 이같은 증상 때문에 학교에도 가지 못했다”고 했다.

호타 박사는 이에 대해 “인후염이 심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설명했다. 인후염은 미국 질병관리예방본부(CDC)와 일본 후생성이 만성피로증후군(CFS)을 유발하는 질환 중 하나로 꼽고 있는 질병이다.

호타 박사는 “인후염은 면역체계 손상이란 측면에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사의 연설을 주최한 "아동 의료안전 연구기관(CMSRI)"은 홈페이지를 통해 “백신은 면역체계를 자극해 신경 장애를 일으키며, 이는 만성피로증후군(CFS)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 WHO(세계보건기구)는 일본이 작은 증거를 바탕으로 정책을 결정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의 사용을 줄이게 만들었다. 그것이 진짜 위험을 나을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HPV 해외 부작용에 대한 전문단체의 입장

HPV 예방접종 때문에 걷지 못하게 되었다는데?

일본에서는 HPV 백신 8백만 건 이상이 공급되었으며, 복합부위통증증후군(case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5사례가 보고되었다.[59]

그러나 2014년 일본 후생노동성의 조사결과 전형적인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부합하지 않았으며, 백신과의 관련성은 인정하기 힘들고, 접종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과 긴장에 의한 것으로 잠정결론 내렸다.[59]

또한 2016년 4월 소아과학회, 산부인과학회 등 17개 단체로 이루어진 일본의 예방접종추진 전문협의회는 HPV 예방접종을 적극 권장하는 입장을 밝혔다.[59]

또한 일본 내에서 HPV 예방접종에 대해 공포를 키운 논문(실험쥐에 HPV 백신을 접종 한 후 신경학적 손상을 보이는 결과를 보여줌)이 동물연구의 실험조건을 부풀린 것으로 밝혀져 해당 학회지는 논문 게재를 철회한다⁑(Scientific Reports, ’18.5월)고 밝혔다.[59]

⁑(철회사유) 고농도의 HPV백신과 백일해 독소를 함께 주입함으로써 뇌-신경계에 대한 영향을 최대화 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백일해 독소를 함께 주입하는 것은 HPV 백신 자체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을 보려고 한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음[59]

유럽의약청(EMA) 역시 ’16년 초 HPV 백신과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관련성이 없다고 공식 발표하였다.(’16.1.12.)[59][60]

HPV 예방접종 때문에 임신할 수 없게 되었다는데?

미국질병관리본부(CDC)는 난소부전 증상이 HPV 백신과 관련성이 없으며, 오히려 자궁경부암에 걸렸을 경우 치료 과정에서 임신이 어렵게 될 위험을 백신접종을 통한 암 예방으로 줄일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59]

각주

  1. “Cervical Cancer Treatment (PDQ®)”. 《NCI》. 2014년 3월 14일. 2014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2.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12쪽. ISBN 978-9283204299. 
  3. “Cervical Cancer Treatment (PDQ®)”.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3월 14일. 2014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5일에 확인함. 
  4. 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 (2007). 《Robbins Basic Pathology》 8판. Saunders Elsevier. 718–721쪽. ISBN 978-1-4160-2973-1. 
  5. Kufe D (2009). 《Holland-Frei cancer medicine》 8판. New York: McGraw-Hill Medical. 1299쪽. ISBN 9781607950141. 2015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Bosch FX, de Sanjosé S (2007). “The epidemiolog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cervical cancer”. 《Disease Markers》 23 (4): 213–227. doi:10.1155/2007/914823. PMC 3850867. PMID 17627057. 
  7. “Cervical Cancer Prevention (PDQ®)”.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2월 27일. 2014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5일에 확인함. 
  8.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es”.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년 12월 29일. 2014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5일에 확인함. 
  9. “Global Cancer Facts & Figures 3rd Edition” (PDF). 2015. 9쪽. 2017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9일에 확인함. 
  10. Sung H, Ferlay J, Siegel RL, Laversanne M, Soerjomataram I, Jemal A, Bray F (May 2021). “Global Cancer Statistics 2020: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71 (3): 209–249. doi:10.3322/caac.21660. PMID 33538338. S2CID 231804598. 
  11. “Defining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년 9월 17일. 2014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0일에 확인함. 
  12. Tarney CM, Han J (2014). “Postcoital bleeding: a review on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bstetrics and Gynecology International》 2014: 192087. doi:10.1155/2014/192087. PMC 4086375. PMID 25045355. 
  13. Dunne EF, Park IU (December 2013). “HPV and HPV-associated diseases”. 《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27 (4): 765–778. doi:10.1016/j.idc.2013.09.001. PMID 24275269. 
  14. “Cervical cancer”. 《www.who.int》 (영어). 2022년 5월 13일에 확인함. 
  15. Ramachandran D, Dörk T (October 2021). “Genomic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Cancers》 13 (20): 5137. doi:10.3390/cancers13205137. PMC 8533931. PMID 34680286. 
  16. “FDA approves Gardasil 9 for prevention of certain cancers caused by five additional types of HP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년 12월 10일. 2015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8일에 확인함. 
  17. Tran NP, Hung CF, Roden R, Wu TC (2014). 〈Control of HPV Infection and Related Cancer Through Vaccination〉. 《Viruses and Human Cancer》. Recent Results in Cancer Research 193. 149–171쪽. doi:10.1007/978-3-642-38965-8_9. ISBN 978-3-642-38964-1. PMID 24008298. 
  18. 한국건강관리협회. “한국건강관리협회>국가건강검진>암검진”. 《한국건강관리협회》.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February 2014). “Fact sheet No. 297: Cancer”. 2014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20. “SEER Stat Fact Sheets: Cervix Uteri Cancer”.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11월 10일. 2014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21.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1.1쪽. ISBN 978-9283204299. 
  22. “Cervical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saves lives in the Republic of Kore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년 11월 1일에 확인함. 
  23. Donnez, Jacques (2020년 4월 1일). “An update on uterine cervix pathologies related to infertility”. 《Fertility and Sterility》 113 (4): 683–684. doi:10.1016/j.fertnstert.2020.02.107. ISSN 0015-0282. PMID 32228872. 
  24. Canavan TP, Doshi NR (March 2000). “Cervical cancer”. 《American Family Physician》 61 (5): 1369–1376. PMID 10735343. 2005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5. Canfell K, Kim JJ, Brisson M, Keane A, Simms KT, Caruana M, 외. (February 2020). “Mortality impact of achieving WHO cervical cancer elimination targets: a comparative modelling analysis in 78 low-income and lower-middle-income countries”. 《Lancet》 395 (10224): 591–603. doi:10.1016/S0140-6736(20)30157-4. PMC 7043006. PMID 32007142. 
  26. Carraher Jr CE (2014). 《Carraher's polymer chemistry》 9판. Boca Raton: Taylor & Francis. 385쪽. ISBN 9781466552036. 2015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7. 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 (2007). 《Robbins Basic Pathology》 8판. Saunders Elsevier. 718–721쪽. ISBN 978-1-4160-2973-1. 
  28. Canavan TP, Doshi NR (March 2000). “Cervical cancer”. 《American Family Physician》 61 (5): 1369–1376. PMID 10735343. 2005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9. “Cervical Cancer Symptoms, Signs, Causes, Stages & Treatment”. 《medicinenet.com》. 
  30. Li H, Wu X, Cheng X (July 2016). “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etastatic cervical cancer”.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27 (4): e43. doi:10.3802/jgo.2016.27.e43. PMC 4864519. PMID 27171673. 
  31. Nanda R (2006년 6월 9일). 〈Cervical cancer〉.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7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32. Gadducci A, Barsotti C, Cosio S, Domenici L, Riccardo Genazzani A (August 2011). “Smoking habit, immune suppression, oral contraceptive us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e and cervical carcinogene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Gynecological Endocrinology》 27 (8): 597–604. doi:10.3109/09513590.2011.558953. PMID 21438669. S2CID 25447563. 
  33. Campbell S, Monga A (2006). 《Gynaecology by Ten Teachers》 18판. Hodder Education. ISBN 978-0-340-81662-2. 
  34. “Cervical Cancer Symptoms, Signs, Causes, Stages & Treatment”. 《medicinenet.com》. 
  35. Dillman RK, Oldham RO, 편집. (2009). 《Principles of cancer biotherapy》 5판. Dordrecht: Springer. 149쪽. ISBN 9789048122899. 2015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6. “What Causes Cancer of the Cervix?”. American Cancer Society. 2006년 11월 30일. 2007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37. Marrazzo JM, Koutsky LA, Kiviat NB, Kuypers JM, Stine K (June 2001). “Papanicolaou test screening and prevalence of genital human papillomavirus among women who have sex with wo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1 (6): 947–952. doi:10.2105/AJPH.91.6.947. PMC 1446473. PMID 11392939. 
  38. “HPV Type-Detect”. Medical Diagnostic Laboratories. 2007년 10월 30일.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39. Gottlieb N (2002년 4월 24일). “A Primer on HPV”. 《Benchmarks》.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40. Muñoz N, Bosch FX, de Sanjosé S, Herrero R, Castellsagué X, Shah KV, 외. (February 2003). “Epidemiologic class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8 (6): 518–527. doi:10.1056/NEJMoa021641. hdl:2445/122831. PMID 12571259. S2CID 1451343. 
  41. Snijders PJ, Steenbergen RD, Heideman DA, Meijer CJ (January 2006). “HPV-mediated cervical carcinogenesis: concepts and clinical implications”. 《The Journal of Pathology》 208 (2): 152–164. doi:10.1002/path.1866. PMID 16362994. S2CID 25400770. 
  42. “Cervical Cancer Prevention”. 《PDQ》. Bethesda, MD: 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년 12월 26일. 
  43. Luhn P, Walker J, Schiffman M, Zuna RE, Dunn ST, Gold MA, 외. (February 2013). “The role of co-factors in the progression from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to cervical cancer”. 《Gynecologic Oncology》 128 (2): 265–270. doi:10.1016/j.ygyno.2012.11.003. PMC 4627848. PMID 23146688. 
  44. Remschmidt C, Kaufmann AM, Hagemann I, Vartazarova E, Wichmann O, Deleré Y (March 2013). “Risk factors for cervical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high-grade intraepithelial lesion in women aged 20 to 31 years in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al Cancer》 23 (3): 519–526. doi:10.1097/IGC.0b013e318285a4b2. PMID 23360813. S2CID 205679729. 
  45. Gadducci A, Barsotti C, Cosio S, Domenici L, Riccardo Genazzani A (August 2011). “Smoking habit, immune suppression, oral contraceptive us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e and cervical carcinogene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Gynecological Endocrinology》 27 (8): 597–604. doi:10.3109/09513590.2011.558953. PMID 21438669. S2CID 25447563. 
  46. Agorastos T, Miliaras D, Lambropoulos AF, Chrisafi S, Kotsis A, Manthos A, Bontis J (July 2005). “Detection and typing of human papillomavirus DNA in uterine cervices with coexistent grade I and grade III intraepithelial neoplasia: biologic progression or independent lesions?”.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121 (1): 99–103. doi:10.1016/j.ejogrb.2004.11.024. PMID 15949888. 
  47. Jensen KE, Schmiedel S, Frederiksen K, Norrild B, Iftner T, Kjær SK (November 2012). “Risk for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grade 3 or worse in relation to smoking among women with persistent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21 (11): 1949–1955. doi:10.1158/1055-9965.EPI-12-0663. PMC 3970163. PMID 23019238. 
  48. “Cervical Cancer Prevention”. 《PDQ》. Bethesda, MD: 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년 12월 26일. 
  49. Cecil Medicine: Expert Consult Premium Edition . ISBN 1437736084, 9781437736083. Page 1317.
  50. Berek and Hacker's Gynecologic Oncology. ISBN 0781795125, 9780781795128. Page 342
  51. Cronjé HS (February 2004).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in developing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84 (2): 101–108. doi:10.1016/j.ijgo.2003.09.009. PMID 14871510. S2CID 21356776. 
  52. 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 (2007). 《Robbins Basic Pathology》 8판. Saunders Elsevier. 718–721쪽. ISBN 978-1-4160-2973-1. 
  53. Sellors JW (2003). 〈Chapter 4: An introduction to colposcopy: indications for colposcopy, instrumentation, principles and documentation of results〉. 《Colposcopy and treat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 beginners' manual》.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SBN 978-92-832-0412-1. 
  54. Pannu HK, Corl FM, Fishman EK (September–October 2001). “CT evaluation of cervical cancer: spectrum of disease”. 《Radiographics》 21 (5): 1155–1168. doi:10.1148/radiographics.21.5.g01se311155. PMID 11553823. 
  55. Galaal K, Bryant A, Deane KH, Al-Khaduri M, Lopes AD (December 2011). “Interventions for reducing anxiety in women undergoing colposcop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2 (12): CD006013. doi:10.1002/14651858.cd006013.pub3. PMC 4161490. PMID 22161395. 
  56. “Cancer Research UK website”. 2009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57. DeMay M (2007). 《Practical principles of cytopathology. Revised edition.》. Chicago, IL: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Pathology Press. ISBN 978-0-89189-549-7. 
  58. “‘자궁경부암 백신’ 여학생 47만명에 무료 접종, 그런데… 보도되지 않은 ‘심각한’ 부작용”. 2016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일에 확인함. 
  59. “예방접종 도우미 > 예방접종길잡이 > 국가 예방접종 사업 소개 >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 사업 > HPV 백신 알아보기”. 2020년 9월 27일에 확인함. 
  60. “EMA to further clarify safety profile of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es”. 13/07/2015. 

참고 문헌

  • 국가건강정보포털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자궁경부암의 원인
  • 김영태,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진단>>, 대한의사협회지, 2006년
  • 국가암정보센터 암의종류
  • 자궁경부암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201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