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arat2416 (토론 | 기여)
잔글 오타수정
Carat2416 (토론 | 기여)
원인 - 임시저장
태그: 시각 편집 동음이의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질병 정보
{{Use dmy dates|date=September 2021}}
| 병명 = 자궁경부암<br>子宮頸部癌
| 동의어 =
| 그림 = Blausen 0221 CervicalDysplasia.png
| 설명 =
| 발음 =
| 진료과 = [[산부인과]], [[종양학]]
| 증상 = 배변장애, 생식기 출혈, 통증, 비정상적 분비물, 배뇨장애, 악취
| 합병증 =
| 발병 =
| 기간 =
| 유형 = [[편평세포암]], [[선암]]
| 병인 =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흡연, 이른 성경험, [[성병]] 감염, 장기간 경구피임약 사용, 많은 출산 경험 등
| 위험 =
| 진단 = 원추 절제 생체 검사, [[자기공명영상]] 검사, [[방광경]] 검사
| 유사 질병 =
| 예방 = [[HPV 백신]]
| 치료 = 원추 절제술, 근치적 자궁 절제술, 골반 림프절 절제술, 방사선 치료
| 투약 =
| 예후 =
| 빈도 =
| 사망 =
}}{{Use dmy dates|date=September 2021}}


{{Infobox medical condition (new)
{{Infobox medical condition (new)
| name = Cervical cancer
| name = 자궁경부암
| image = File:Blausen 0221 CervicalDysplasia.png
| image = File:Blausen 0221 CervicalDysplasia.png
| alt =
| alt =
| field = [[종양학]]
| caption = Location of cervical cancer and an example of normal and abnormal cells
| symptoms = '''조기''': 없음<ref name=NCI2014Pt/><br />'''후기''': [[질출혈]], [[골반통]], [[성교통]]<ref name=NCI2014Pt/>
| field = [[Oncology]]
| pronounce = {{IPAc-en|uk|ˈ|s|əːr|v|ɪ|k|əl}} {{respell|SUR|vik|əl}}, {{IPAc-en|s|əːr|ˈ|v|aɪ|k|əl}} {{respell|sur|VY|kəl}}<br />{{IPAc-en|us|ˈ|s|əːr|v|ɪ|k|əl}} {{respell|SUR|vik|əl}}<ref>{{cite web |title=CERVICAL {{!}}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url=https://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english/cervical |website=dictionary.cambridge.org |access-date=5 October 2019 }}</ref>
| symptoms = '''Early''': none<ref name=NCI2014Pt/><br />'''Later''': [[vaginal bleeding]], [[pelvic pain]], [[dyspareunia|pain during sexual intercourse]]<ref name=NCI2014Pt/>
| complications =
| complications =
| onset = Over 10 to 20 years<ref name=WCR2014/>
| onset = 10~20년 <ref name=WCR2014/>
| duration =
| duration =
| types = [[Squamous cell carcinoma]], [[adenocarcinoma]], others<ref name=NCI2014Pro/>
| types = [[편평상피세포암]], [[선암]], 기타<ref name=NCI2014Pro/>
| causes =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HPV)<ref name=Robbins/><ref name=Don2009/>
| causes =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ref name=Robbins/><ref name=Don2009/>,[[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흡연, 이른 성경험, [[성병]] 감염, 장기간 경구피임약 사용, 많은 출산 경험 등
| risks = [[Smoking]], [[Immunodeficiency|weak immune system]], [[Oral contraceptive pill|birth control pills]], starting sex at a [[young age]], many sexual partners or a partner with many sexual partners<ref name=NCI2014Pt/><ref name=NCI2014Pro/><ref>{{cite journal | vauthors = Bosch FX, de Sanjosé S | title = The epidemiolog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cervical cancer | journal = Disease Markers | volume = 23 | issue = 4 | pages = 213–227 | date = 2007 | pmid = 17627057 | pmc = 3850867 | doi = 10.1155/2007/914823 | doi-access = free }}</ref>
| risks = [[흡연]], [[면역결핍]], [[경구피임약]], [[어린나이에]] 성관계, 많은 성관계 파트너<ref name=NCI2014Pt/><ref name=NCI2014Pro/><ref>{{cite journal | vauthors = Bosch FX, de Sanjosé S | title = The epidemiolog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cervical cancer | journal = Disease Markers | volume = 23 | issue = 4 | pages = 213–227 | date = 2007 | pmid = 17627057 | pmc = 3850867 | doi = 10.1155/2007/914823 | doi-access = free }}</ref>
| diagnosis = [[Cervical screening]] followed by a [[biopsy]]<ref name=NCI2014Pt/>
| diagnosis = [[자궁경부세포진검사]] 원추 절제 생체 검사, [[자기공명영상]] 검사, [[방광경]] 검사<ref name=NCI2014Pt/>
| differential =
| differential =
| prevention = Regular cervical screening, [[HPV vaccines]], [[sexual intercourse]] with [[condom]]s,<ref name=NCI2014Pre/><ref name=NCI2011HPV/> [[sexual abstinence]]
| prevention = 정기적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인간유두종바이러스 (HPV) 백신, 성관계시 콘돔사용<ref name=NCI2014Pre/><ref name=NCI2011HPV/>
| treatment = [[Surgery]], [[chemotherapy]], [[radiation therapy]], [[cancer immunotherapy|immunotherapy]]<ref name=NCI2014Pt/>
| treatment = [[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치료]], [[면역항암요법]]<ref name=NCI2014Pt/>
| medication =
| medication =
| prognosis = [[Five-year survival rate]]:<br />68% [[United States|(US)]]<br />46% ([[India]])<ref name=Can2015>{{Cite web |url=https://www.cancer.org/content/dam/cancer-org/research/cancer-facts-and-statistics/global-cancer-facts-and-figures/global-cancer-facts-and-figures-3rd-edition.pdf |title=Global Cancer Facts & Figures 3rd Edition |date=2015 |page=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822014408/https://www.cancer.org/content/dam/cancer-org/research/cancer-facts-and-statistics/global-cancer-facts-and-figures/global-cancer-facts-and-figures-3rd-edition.pdf|archive-date=22 August 2017 |url-status=live |access-date=29 August 2017}}</ref>
| prognosis = [[5년생존률]]:<br />68% [[미국]]<br />46% ([[인도]])<ref name=Can2015>{{Cite web |url=https://www.cancer.org/content/dam/cancer-org/research/cancer-facts-and-statistics/global-cancer-facts-and-figures/global-cancer-facts-and-figures-3rd-edition.pdf |title=Global Cancer Facts & Figures 3rd Edition |date=2015 |page=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822014408/https://www.cancer.org/content/dam/cancer-org/research/cancer-facts-and-statistics/global-cancer-facts-and-figures/global-cancer-facts-and-figures-3rd-edition.pdf|archive-date=22 August 2017 |url-status=live |access-date=29 August 2017}}</ref>
| frequency = 604,127 new cases (2020)<!-- incidence --><ref name=Sung2021>{{cite journal | vauthors = Sung H, Ferlay J, Siegel RL, Laversanne M, Soerjomataram I, Jemal A, Bray F | title = Global Cancer Statistics 2020: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 journal =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volume = 71 | issue = 3 | pages = 209–249 | date = May 2021 | pmid = 33538338 | doi = 10.3322/caac.21660 | s2cid = 231804598 | doi-access = free }}</ref>
| frequency = 604,127 new cases (2020)<!-- incidence --><ref name=Sung2021>{{cite journal | vauthors = Sung H, Ferlay J, Siegel RL, Laversanne M, Soerjomataram I, Jemal A, Bray F | title = Global Cancer Statistics 2020: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 journal =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volume = 71 | issue = 3 | pages = 209–249 | date = May 2021 | pmid = 33538338 | doi = 10.3322/caac.21660 | s2cid = 231804598 | doi-access = free }}</ref>
| deaths = 341,831 (2020)<ref name=Sung2021/>
| deaths = 341,831 (2020)<ref name=Sung2021/>
49번째 줄: 26번째 줄:


== '''정의 및 증상''' ==
== '''정의 및 증상''' ==
'''자궁 경부암(子宮頸部癌, Cervical cancer)'''은 [[:en:Cervix|자궁목(자궁경부,cervix)]]에서 발생하는 [[:en:Cancer|암]]이다.<ref name="NCI2014Pt">{{cite web|url=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cervical/Patient/page1/AllPages|title=Cervical Cancer Treatment (PDQ®)|date=14 March 2014|website=NCI|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05230453/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cervical/Patient/page1/AllPages|archive-date=5 July 2014|url-status=live|access-date=24 June 2014}}</ref> 체내의 다른 부위로 침범하거나 전이될 수 있는 비정상 [[:en:Cell_(biology)|세포]] 에 의해 발생한다.<ref name="NCI2014Def">{{cite web|url=http://www.cancer.gov/cancertopics/cancerlibrary/what-is-cancer|title=Defining Cancer|date=17 September 2007|website=National Cancer Institut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625220940/http://www.cancer.gov/cancertopics/cancerlibrary/what-is-cancer|archive-date=25 June 2014|url-status=live|access-date=10 June 2014}}</ref>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발현하지 않지만,<ref name="NCI2014Pt" /> 후기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en:Vaginal_bleeding|자궁출혈]], [[:en:Pelvic_pain|골반통]] 또는 [[:en:Dyspareunia|성교통]]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NCI2014Pt" /> 성관계후 발생하는 출혈은 심각한 경우가 아닐 수 있지만, 자궁경부암의 존재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ref>{{cite journal|title=Postcoital bleeding: a review on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journal=Obstetrics and Gynecology International|date=2014|volume=2014|pages=192087|doi=10.1155/2014/192087|pmc=4086375|pmid=25045355|vauthors=Tarney CM, Han J|doi-access=free}}</ref>
'''자궁 경부암(子宮頸部癌, Cervical cancer)'''은 [[:en:Cervix|자궁목(자궁경부,cervix)]]에서 발생하는 [[:en:Cancer|암]]이다.<ref name="NCI2014Pt">{{cite web|url=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cervical/Patient/page1/AllPages|title=Cervical Cancer Treatment (PDQ®)|date=14 March 2014|website=NCI|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705230453/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cervical/Patient/page1/AllPages|archive-date=5 July 2014|url-status=live|access-date=24 June 2014}}</ref> 체내의 다른 부위로 침범하거나 전이될 수 있는 비정상 [[:en:Cell_(biology)|세포]] 에 의해 발생한다.<ref name="NCI2014Def">{{cite web|url=http://www.cancer.gov/cancertopics/cancerlibrary/what-is-cancer|title=Defining Cancer|date=17 September 2007|website=National Cancer Institut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625220940/http://www.cancer.gov/cancertopics/cancerlibrary/what-is-cancer|archive-date=25 June 2014|url-status=live|access-date=10 June 2014}}</ref>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발현하지 않지만,<ref name="NCI2014Pt" /> 후기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en:Vaginal_bleeding|질출혈]], [[:en:Pelvic_pain|골반통]] 또는 [[:en:Dyspareunia|성교통]]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NCI2014Pt" /> 성관계후 발생하는 출혈은 심각한 경우가 아닐 수 있지만, 자궁경부암의 존재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ref>{{cite journal|title=Postcoital bleeding: a review on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journal=Obstetrics and Gynecology International|date=2014|volume=2014|pages=192087|doi=10.1155/2014/192087|pmc=4086375|pmid=25045355|vauthors=Tarney CM, Han J|doi-access=free}}</ref>


== 원인 및 진단 ==
== 원인 및 진단 ==
60번째 줄: 37번째 줄:
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은 부인과암 중에서 4번째로 흔한 암이자 4번째로 흔한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이다. 2012년에는 약 528,000건의 자궁경부암이 발생했고 266,000명이 사망했다.<ref name="WCR2014" /> 이는 암으로 인한 전체 사망건의 약 8%를 차지한다.<ref name="WCR2014Total">{{cite book|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1.1|isbn=978-9283204299}}</ref> 자궁경부암의 약 70%의 발생과, 90%의 사망이 [[:en:Developing_country|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ref name="WCR2014" /><ref name="WHO2018Ko">{{cite web|url=https://www.who.int/news-room/feature-stories/detail/cervical-cancer-prevention-and-control-saves-lives-in-the-republic-of-korea|title=Cervical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saves lives in the Republic of Korea|website=World Health Organization|access-date=1 November 2018}}</ref> 저소득 국가에서는 여성 10만명당 유병률이 47.3으로 암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ref>{{Cite journal|title=An update on uterine cervix pathologies related to infertility|journal=Fertility and Sterility|last=Donnez|first=Jacques|date=2020-04-01|volume=113|issue=4|pages=683–684|doi=10.1016/j.fertnstert.2020.02.107|issn=0015-0282|pmid=32228872|doi-access=free}}</ref><ref name="WHO2014" /> [[:en:Developed_countries|선진국]]에서는 선별검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자궁경부암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켰다.<ref name="pmid10735343">{{cite journal|title=Cervical cancer|journal=American Family Physician|url=http://www.aafp.org/afp/20000301/1369.html|date=March 2000|volume=61|issue=5|pages=1369–1376|pmid=1073534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50206141303/http://www.aafp.org/afp/20000301/1369.html|archive-date=6 February 2005|url-status=live|vauthors=Canavan TP, Doshi NR}}</ref>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전세계 사망률 감소에 대한 예상 시나리오는 WHO에서 정의한 3중 개입 전략을 통해 권장된 예방 목표의 달성에 관한 가정을 고려하여 검토되었다.<ref>{{cite journal|title=Mortality impact of achieving WHO cervical cancer elimination targets: a comparative modelling analysis in 78 low-income and lower-middle-income countries|journal=Lancet|date=February 2020|volume=395|issue=10224|pages=591–603|doi=10.1016/S0140-6736(20)30157-4|pmc=7043006|pmid=32007142|display-authors=6|vauthors=Canfell K, Kim JJ, Brisson M, Keane A, Simms KT, Caruana M, Burger EA, Martin D, Nguyen DT, Bénard É, Sy S, Regan C, Drolet M, Gingras G, Laprise JF, Torode J, Smith MA, Fidarova E, Trapani D, Bray F, Ilbawi A, Broutet N, Hutubessy R}}</ref> 의학연구에서, [[:en:HeLa|HeLa]]로 알려진 가장 유명한 [[:en:Immortalized_cell_line|불사화 세포주]]는 [[:en:Henrietta_Lacks|Henrietta Lacks]]라는 여성의 자궁 경부 세포로 만들어 졌다.<ref>{{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YXo0AAAAQBAJ&pg=PA385|title=Carraher's polymer chemistry|date=2014|edition=9th|publisher=Taylor & Francis|location=Boca Raton|page=385|isbn=978146655203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022002735/https://books.google.com/books?id=YXo0AAAAQBAJ&pg=PA385|archive-date=22 October 2015|url-status=live|vauthors=Carraher Jr CE}}</ref>
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은 부인과암 중에서 4번째로 흔한 암이자 4번째로 흔한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이다. 2012년에는 약 528,000건의 자궁경부암이 발생했고 266,000명이 사망했다.<ref name="WCR2014" /> 이는 암으로 인한 전체 사망건의 약 8%를 차지한다.<ref name="WCR2014Total">{{cite book|title=World Cancer Report 2014|date=2014|publisher=World Health Organization|pages=Chapter 1.1|isbn=978-9283204299}}</ref> 자궁경부암의 약 70%의 발생과, 90%의 사망이 [[:en:Developing_country|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ref name="WCR2014" /><ref name="WHO2018Ko">{{cite web|url=https://www.who.int/news-room/feature-stories/detail/cervical-cancer-prevention-and-control-saves-lives-in-the-republic-of-korea|title=Cervical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saves lives in the Republic of Korea|website=World Health Organization|access-date=1 November 2018}}</ref> 저소득 국가에서는 여성 10만명당 유병률이 47.3으로 암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ref>{{Cite journal|title=An update on uterine cervix pathologies related to infertility|journal=Fertility and Sterility|last=Donnez|first=Jacques|date=2020-04-01|volume=113|issue=4|pages=683–684|doi=10.1016/j.fertnstert.2020.02.107|issn=0015-0282|pmid=32228872|doi-access=free}}</ref><ref name="WHO2014" /> [[:en:Developed_countries|선진국]]에서는 선별검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자궁경부암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켰다.<ref name="pmid10735343">{{cite journal|title=Cervical cancer|journal=American Family Physician|url=http://www.aafp.org/afp/20000301/1369.html|date=March 2000|volume=61|issue=5|pages=1369–1376|pmid=1073534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50206141303/http://www.aafp.org/afp/20000301/1369.html|archive-date=6 February 2005|url-status=live|vauthors=Canavan TP, Doshi NR}}</ref>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전세계 사망률 감소에 대한 예상 시나리오는 WHO에서 정의한 3중 개입 전략을 통해 권장된 예방 목표의 달성에 관한 가정을 고려하여 검토되었다.<ref>{{cite journal|title=Mortality impact of achieving WHO cervical cancer elimination targets: a comparative modelling analysis in 78 low-income and lower-middle-income countries|journal=Lancet|date=February 2020|volume=395|issue=10224|pages=591–603|doi=10.1016/S0140-6736(20)30157-4|pmc=7043006|pmid=32007142|display-authors=6|vauthors=Canfell K, Kim JJ, Brisson M, Keane A, Simms KT, Caruana M, Burger EA, Martin D, Nguyen DT, Bénard É, Sy S, Regan C, Drolet M, Gingras G, Laprise JF, Torode J, Smith MA, Fidarova E, Trapani D, Bray F, Ilbawi A, Broutet N, Hutubessy R}}</ref> 의학연구에서, [[:en:HeLa|HeLa]]로 알려진 가장 유명한 [[:en:Immortalized_cell_line|불사화 세포주]]는 [[:en:Henrietta_Lacks|Henrietta Lacks]]라는 여성의 자궁 경부 세포로 만들어 졌다.<ref>{{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YXo0AAAAQBAJ&pg=PA385|title=Carraher's polymer chemistry|date=2014|edition=9th|publisher=Taylor & Francis|location=Boca Raton|page=385|isbn=978146655203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022002735/https://books.google.com/books?id=YXo0AAAAQBAJ&pg=PA385|archive-date=22 October 2015|url-status=live|vauthors=Carraher Jr CE}}</ref>


== 정의 ==
== 징후 및 증상 ==
자궁경부암의 초기단계에서는 [[:en:Asymptomatic|증상이 없을]] 수 있다.<ref name="Robbins2">{{cite book|title=Robbins Basic Pathology|year=2007|edition=8th|publisher=Saunders Elsevier|pages=718–721|isbn=978-1-4160-2973-1|vauthors=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ref><ref name="pmid107353432">{{cite journal|title=Cervical cancer|journal=American Family Physician|url=http://www.aafp.org/afp/20000301/1369.html|date=March 2000|volume=61|issue=5|pages=1369–1376|pmid=1073534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50206141303/http://www.aafp.org/afp/20000301/1369.html|archive-date=6 February 2005|url-status=live|vauthors=Canavan TP, Doshi NR}}</ref> [[:en:Vaginal_bleeding|질출혈]], 접촉 출혈 (가장 흔한 형태로는 성관계 후 출혈), 또는 (드물게) 질 내 종괴가 악성 종양의 존재를 가리킬 수 있다. 성관계중 나타나는 중등도의 통증과 질 분비물 또한 자궁경부암의 증상 일 수 있다.<ref>{{cite web|url=https://www.medicinenet.com/cervical_cancer/article.htm#what_is_cervical_cancer|title=Cervical Cancer Symptoms, Signs, Causes, Stages & Treatment|website=medicinenet.com}}</ref> 진행암의 경우, [[:en:Abdomen|복부]], [[:en:Lung|폐]], 기타부위에 [[:en:Metastasis|전이]]될 수 있다.<ref>{{cite journal|title=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etastatic cervical cancer|journal=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date=July 2016|volume=27|issue=4|pages=e43|doi=10.3802/jgo.2016.27.e43|pmc=4864519|pmid=27171673|vauthors=Li H, Wu X, Cheng X}}</ref>
자궁경부암이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이다.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미세한 현미경학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중간)을 거쳐, 상피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하게 되고, 이 단계에서도 발견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정상 상피세포에서 침윤암이 되는 과정은 수년 내지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진행된 자궁경부암의 증상에는: [[:en:Anorexia_(symptom)|식욕부진]], 체중감소, 피로, 골반통, 허리통증, 다리 통증, 다리 부종, 심한 질 출혈, 골절, (드물게) 질을 통한 소변 또는 대변의 누출 이 포함 될 수 있다.<ref name="MedLine Plus Cerv Cancer">{{cite encyclopedia|url=https://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893.htm|title=Cervical cancer|access-date=2 December 2007|vauthors=Nanda R|date=9 June 2006|encyclopedia=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publisher=[[National Institutes of Health]]|url-status=liv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11011822/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893.htm|archive-date=11 October 2007}}</ref> 질세척(douching) 또는 골반 내진 후에 발생하는 출혈은 자궁경부암의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정상 -> 겸증이형성증 -> 중증도이형성증 ->중증이형성증 ->상피내암(0기암) ->자궁경부암 순으로 자궁경부암이 암화된다.

상피란 우리 몸의 가장 바깥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이다. 피부나 우리 몸의 각 장기 모두 가장 바깥층에 상피가 위치하고 그 아래 부분에 기질이 위치하는데 이 상피와 기질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을 기저막이라 한다. 기저막을 침범한 경우를 침윤성 암으로 분류한다.

== 종류 ==
자궁경부암은 두 가지 주된 종류가 있다. 한 종류는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으로 약 80-90%를 차지하며, 다른 한 종류는 선암(adenocarcinoma)으로 10-20%를 차지한다. 편평상피세포암과 선암 두 종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혼합체인 경우는 혼합 암종(mixed carcinoma, 선편평상피세포암)이라고 하며 2-5%를 차지한다.

편평상피세포암은 다시 비각질화 대세포 65%(Large cell non-keratinizing carcinoma), 각질화 대세포 25%(Large cell keratinizing carcinoma), 비각질화 소세포 5%(Small cell carcinoma)로 분류되며 대세포형(large cell type)이 소세포형(small cell type)보다 예후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 원인 ==
== 원인 ==
몇몇 종류의 인간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자궁경부암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고, 흡연이 두번째 요인이다.<ref name="GadducciBarsotti2011">{{cite journal|title=Smoking habit, immune suppression, oral contraceptive us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e and cervical carcinogene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journal=Gynecological Endocrinology|date=August 2011|volume=27|issue=8|pages=597–604|doi=10.3109/09513590.2011.558953|pmid=21438669|vauthors=Gadducci A, Barsotti C, Cosio S, Domenici L, Riccardo Genazzani A|s2cid=25447563}}</ref> [[:en: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HIV)]] 감염 또한 위험요인이다.<ref name="GadducciBarsotti2011" /> 자궁경부암의 모든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몇가지의 요소들이 연관되어 있다.<ref>{{cite book|url=https://archive.org/details/gynaecology0000unse|title=Gynaecology by Ten Teachers|year=2006|edition=18th|publisher=Hodder Education|isbn=978-0-340-81662-2|vauthors=Campbell S, Monga A|url-access=registration}}</ref><ref>{{cite web|url=https://www.medicinenet.com/cervical_cancer/article.htm#cervical_cancer_facts|title=Cervical Cancer Symptoms, Signs, Causes, Stages & Treatment|website=medicinenet.com}}</ref>


===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
자궁경부암은 처음 성행위를 가진 연령이 낮은 경우, 성행위 상대자가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 보균자인 경우, 성행위 상대자가 여러 명인 경우, 성병에 감염된 병력이 있는 경우에 높은 발생률을 보여 성행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사회 경제적 여건이 낮은 계층이나 흡연을 하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en:Human_papillomavirus_infection|HPV]]) 16번과 18번은 전세계 자궁 경부암의 원인중 75%를 차지한다. 31번과 45번은 10%를 차지한다.<ref>{{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emGC_fRJH_IC&pg=PA149|title=Principles of cancer biotherapy|year=2009|edition=5th|publisher=Springer|location=Dordrecht|page=149|isbn=978904812289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029195259/https://books.google.com/books?id=emGC_fRJH_IC&pg=PA149|archive-date=29 October 2015|url-status=live|veditors=Dillman RK, Oldham RO}}</ref>
최근에는 이러한 위험인자들과 더불어 성행위로 인하여 전파될 수 있는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의 감염이 자궁경부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은 대개 "HPV 바이러스와 연관있는 자궁경부암들(HPV-associated cervical caners)"에 관한한 "원인이 되는(causative)"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보다 "연관있는(associated)"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조심하는데, 이 CDC 가 "HPV 바이러스와 연관있는(HPV-associated')이라는 수식이 붙은 모든 암들이 실질적인 HPV 감염들을 반영하지는 않으며, 숫자들은 HPV 바이러스가 원인인(HPV-attributable) 것으로 판단되는 숫자는 단지 추정치들 뿐이다." 라고 이야기했다.<ref name=":1">{{웹 인용|url=http://vaccineimpact.com/2016/gardasil-vaccine-hoax-vaccine-side-effect-risks-higher-than-cervical-cancer-risks/|제목=Gardasil Vaccine Hoax: Vaccine Side Effect Risks Higher than Cervical Cancer Risks|날짜=2016-06-26|확인날짜=2016-07-02}}</re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which is usually careful to use the term “associated” rather than the term “causative” when it comes to HPV-associated cervical cancers, says that '''''“Not all cancers termed ‘HPV-associated’ reflect actual HPV infections, and the numbers judged to be HPV-attributable are only estimates.'''''”

=== HPV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 ===
자궁경부암 발생에 있어 가장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지속적인 고위험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이다.<ref name=":1" />

자궁경부암을 발생시키는 위험인자들은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들로
# 성경험의 연령이 낮은 경우,
# 다수의 남성과 성접촉을 할 경우,
# 다른 성병 감염 경험이 있는 경우,
# 임신 횟수가 많은 경우,
# 다수의 여성과 성접촉을 하는 배우자를 둔 경우
등이 있다.

== 예방법 ==
자궁경부암 검진,
안전한 성생활,
금연,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 예방접종,
카로테노이드, 비타민 C, 비타민 E 섭취,
자궁경부암 백신

== HPV 백신 ==

=== 접종 방법 ===
* 0.5ml 약의 근육주사
* 3차에 걸친 접종
* 1차 접종 2개월 후 2차 접종, 6개월 후 3차 접종
* 다른 기본 예방접종과도 동시 투여가 가능
* 접종 비용 대략 15-20만원

=== 접종 연령 ===
==== 기본 접종 대상 연령 ====
* 9-26세의 여성
* 2009년에 미국 FDA 가 HPV type 6, 11 에 의한 생식기 사마귀(genital warts)의 예방을 위해서 9~26세의 남자에게 백신 '가다실' 을 사용하는 것을 승인<ref>{{웹 인용|url=http://www.fda.gov/NewsEvents/Newsroom/PressAnnouncements/ucm187003.htm|제목=Press Announcements - FDA Approves New Indication for Gardasil to Prevent Genital Warts in Men and Boys - Gardasil, October 16, 2009|웹사이트=www.fda.gov|언어=en|확인날짜=2016-10-27|archive-date=2015-05-1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510013608/http://www.fda.gov/NewsEvents/Newsroom/PressAnnouncements/ucm187003.htm|url-status=dead}}</ref>
* 2014년 12월에 , 미국 FDA 가 '가다실 9'이라는 백신을 9~26세의 여자들과 9~15세의 남자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이 백신으로 9개의 타입의 HPV 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fda.gov/NewsEvents/Newsroom/PressAnnouncements/ucm426485.htm|제목=Press Announcements - FDA approves Gardasil 9 for prevention of certain cancers caused by five additional types of HPV|웹사이트=www.fda.gov|언어=en|확인날짜=2016-10-27}}</ref>
* 성관계를 통해 감염되기 때문에 첫 성관계가 발생하기 전에 HPV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ref>{{웹 인용|url=http://www.cdc.gov/hpv/parents/questions-answers.html|제목=HPV {{!}} Questions and Answers {{!}} Human Papillomavirus {{!}} CDC|웹사이트=www.cdc.gov|확인날짜=2016-10-27}}</ref>
*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15세 미만 어린이는 2번의 접종, 15세 이상은 3번 접종을 권고. 어릴 때 면역체계도 더 잘 반응하기 때문이라고 한다.<ref>{{웹 인용|url=http://www.cnn.com/2016/10/24/health/hpv-vaccination-preteen-two-doses/index.html|제목=Preteens need only two rounds of HPV vaccine, CDC says|성=CNN|이름=Assil Frayha|웹사이트=CNN|확인날짜=2016-10-27}}</ref>

==== 유효성과 면역원성 연구결과에 근거한 접종 가능 연령 ====
27-45세 여성

=== 접종 효과 ===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 6,11,16,18 형에 의한 다음 질병의 예방
# 자궁경부암
# 생식기 사마귀(첨형 콘딜로마)
# 자궁경부 상피내 선암
#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1,2,3 기
# 외음부 상피내 종양 2,3 기
# 질 상피내 종양 2,3 기

=== 주의 및 금기사항 ===
==== 급성질환 ====
설사 또는 감기 등의 경증의 급성질환의 경우 접종 가능
중등도 또는 중증의 급성 질환은 회복 후로 접종을 연기

==== 접종 주사 성분에 과민 또는 알러지 ====
효모 또는 백신 주사 성분에 급성 과민성 면역 반응 병력이 있는 대상자는 접종 불가

==== 접종의 치료효과 ====
자궁경부암 에방백신은 예방을 위한 약제이므로 해당 종류의 HPV 에 의해 감염된 병의 치료 효과는 없음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가지거나, 성별에 관계없이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가진 파트너가 있는 여성은 더 높은 자궁경부암 가능성을 가진다.<ref name="ACS What Causes">{{cite web|url=http://www.cancer.org/docroot/CRI/content/CRI_2_2_2X_What_causes_cancer_of_the_cervix_Can_it_be_prevented_8.asp?sitearea=|title=What Causes Cancer of the Cervix?|date=30 November 2006|publisher=[[American Cancer Society]]|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13160516/http://cancer.org/docroot/CRI/content/CRI_2_2_2X_What_causes_cancer_of_the_cervix_Can_it_be_prevented_8.asp?sitearea= <!-- Bot retrieved archive -->|archive-date=13 October 2007|access-date=2 December 2007}}</ref><ref name="pmid11392939">{{cite journal|title=Papanicolaou test screening and prevalence of genital human papillomavirus among women who have sex with women|journal=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date=June 2001|volume=91|issue=6|pages=947–952|doi=10.2105/AJPH.91.6.947|pmc=1446473|pmid=11392939|vauthors=Marrazzo JM, Koutsky LA, Kiviat NB, Kuypers JM, Stine K}}</ref>
=== 기타 사항 ===
==== 임신부에게 접종은 권하지 않음 ====
1차 또는 2차 접종 후 임신이 확인된 경우 추가 접종은 분만 후로 연기
==== 수유여성 ====
접종 가능
==== 면역 저하 여성 ====
질환 또는 약물로 인하여 면역기능이 저하된 여성의 경우에는 백신 접종 시 충분한 면역 반응이 유도되지 않을 수 있음


150-200 종류의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 중,<ref name="MDL HPV Type-Detect">{{cite web|url=http://www.mdlab.com/html/testing/hpv_typedetect.html|title=HPV Type-Detect|date=30 October 2007|publisher=Medical Diagnostic Laboratorie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927092931/http://www.mdlab.com/html/testing/hpv_typedetect.html <!-- Bot retrieved archive -->|archive-date=27 September 2007|access-date=2 December 2007}}</ref><ref name="NCI:Primer on HPV">{{cite web|url=http://www.cancer.gov/newscenter/benchmarks-vol2-issue4/page2|title=A Primer on HPV|date=24 April 2002|work=Benchmarks|publisher=[[National Cancer Institut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26061233/http://www.cancer.gov/newscenter/benchmarks-vol2-issue4/page2|archive-date=26 October 2007|url-status=dead|access-date=2 December 2007|vauthors=Gottlieb N}}</ref> 15개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 (16, 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 68, 73, and 82), 3개는 잠재적 고위험군 (26, 53, and 66), 12개는 저위험군으로 분류된다. (6, 11, 40, 42, 43, 44, 54, 61, 70, 72, 81, and CP6108).<ref name="pmid12571259">{{cite journal|title=Epidemiologic class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journal=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url=https://revistasojs.ucaldas.edu.co/index.php/hacialapromociondelasalud/article/view/2173|date=February 2003|volume=348|issue=6|pages=518–527|doi=10.1056/NEJMoa021641|pmid=12571259|display-authors=6|vauthors=Muñoz N, Bosch FX, de Sanjosé S, Herrero R, Castellsagué X, Shah KV, Snijders PJ, Meijer CJ|hdl-access=free|hdl=2445/122831|s2cid=1451343}}</ref>
== 증상 ==
자궁경부암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므로 조기진단을 위하여 정기적인 자궁경부의 세포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자궁경부암이 진행되면 질 분비물의 증가, 성교 후 출혈, 간헐적인 질 출혈 등이 발생하므로 이런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도 꼭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야 한다. 병이 더욱 진행된 경우에는 냄새가 심한 질 분비물의 증가, 골반의 통증, 지속적인 질 출혈로 인한 빈혈 증상, 다리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자궁경부의 병변이 방광이나 직장으로 침범할 경우 방광 출혈이나 직장 출혈 등을 유발할 수 있다.


[[:en:Genital_wart|생식기 사마귀]], which are a form of [[:en:Benign_tumor|benign tumor]] of [[:en:Epithelium|epithelial]] cells, are also caused by various strains of HPV. However, these serotypes are usually not related to cervical cancer. Having multiple strains at the same time is common, including those that can cause cervical cancer along with those that cause warts. Infection with HPV is generally believed to be required for cervical cancer to occur.<ref name="pmid16362994">{{cite journal|title=HPV-mediated cervical carcinogenesis: concepts and clinical implications|journal=The Journal of Pathology|date=January 2006|volume=208|issue=2|pages=152–164|doi=10.1002/path.1866|pmid=16362994|vauthors=Snijders PJ, Steenbergen RD, Heideman DA, Meijer CJ|s2cid=25400770|doi-access=free}}</ref>
== 진단 ==
# 자궁경부 세포검사(Cervical Cytologic Test)
# Thin-Prep과 Computer-Assisted Automated Cytologic Screening
# 자궁경부 확대촬영술(Cervicography)
#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 DNA 검사
# 질 및 자궁경부 확대경검사(Colposcopy) 와 질확대경 조준하 생검


== 치료 ==
자궁경부암의 치료방법은 크게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이 있다. 이들 치료법은 암의 진행 정도, 즉 ‘병기’에 의해 선택되는데 암의 크기, 연령, 전신상태, 향후 출산 희망 여부 등을 고려해서 결정한다. 전암성 병변인 경우에는 원추절제술만으로도 완치가 가능하여 치료 후 임신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침윤성 자궁경부암인 경우에는 대부분 광범위 자궁적출술 (radical hysterectomy)이나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지 치료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병변이 많이 진행된 경우는 수술을 하지 않고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한다.
재발성 자궁경부암의 임상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체중감소, 하지 부종, 골반 혹은 허벅지 통증, 질 출혈 혹은 질 분비물의 증가, 진행성 요관 폐색, 쇄골위림프절 비대 등이 나타나며, 폐로 전이했을 경우는 기침, 객혈, 때로는 흉통을 호소할 수 있다. 그러나 특징적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더 많다.
일반적으로 근치적 수술로 치료를 받은 1기 및 2기 초의 자궁경부암 환자 중 5~20%가 재발을 경험하게 되며, 재발 환자들 중 절반은 1차 치료를 시행받은 후 1년 이내에, 나머지 절반의 경우도 대부분 3년 이내에 재발을 보인다. 그 이후에는 재발이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2009년에 발표된 한국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03-2007년의 자궁경부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여자가 80.5%였다.


== HPV 백신의 부작용사례 ==
== HPV 백신의 부작용사례 ==

2023년 8월 31일 (목) 18:13 판

틀:Use dmy dates

자궁경부암
진료과종양학
증상조기: 없음[1]
후기: 질출혈, 골반통, 성교통[1]
통상적 발병 시기10~20년 후[2]
유형편평상피세포암, 선암, 기타[3]
병인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4][5],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흡연, 이른 성경험, 성병 감염, 장기간 경구피임약 사용, 많은 출산 경험 등
위험 인자흡연, 면역결핍, 경구피임약, 어린나이에 성관계, 많은 성관계 파트너[1][3][6]
진단 방식자궁경부세포진검사 원추 절제 생체 검사, 자기공명영상 검사, 방광경 검사[1]
예방정기적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인간유두종바이러스 (HPV) 백신, 성관계시 콘돔사용[7][8]
치료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치료, 면역항암요법[1]
예후5년생존률:
68% 미국
46% (인도)[9]
빈도604,127 new cases (2020)[10]
사망341,831 (2020)[10]

정의 및 증상

자궁 경부암(子宮頸部癌, Cervical cancer)자궁목(자궁경부,cervix)에서 발생하는 이다.[1] 체내의 다른 부위로 침범하거나 전이될 수 있는 비정상 세포 에 의해 발생한다.[11]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발현하지 않지만,[1] 후기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질출혈, 골반통 또는 성교통이 발생할 수 있다.[1] 성관계후 발생하는 출혈은 심각한 경우가 아닐 수 있지만, 자궁경부암의 존재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12]

원인 및 진단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HPV)이 자궁경부암 발생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원인이다.[4][5] 그러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자의 대부분이 자궁경부암에 걸리지 않는다.[2][13] HPV 16 과 18 균주이 고등급 전암병변 원인의 약 50%를 차지한다.[14] 다른 위험 요소로는 흡연, 약한 면역체계, 경구피임약, 첫 성관계 시기가 이른 경우, 많은 성관계 파트너를 갖는 경우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1][3] 유전적 요인 또한 자궁경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15] 자궁경부암은 일반적으로 10~20년간의 전암성 변화 를 거쳐 발생한다.[2] 자궁경부암 중 약 90%는 편평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s), 10%는 선암(adenocarcinoma), 그리고 소수의 경우가 다른 유형들이다.[3] 일반적으로 자궁경부암은 자궁경 검진 (cervical screening)과 조직 생검(biopsy)을 통해 진단된다.[1] 영상 검사 는 암이 전이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쓰인다.[1]

예방 및 선별검사

인간유두종바이러스 (HPV) 백신을 통해 바이러스군의 2가지~7가지의 고위험 균주를 예방할 수 있고, 자궁 경부암의 최대 90%를 예방할 수 있다.[8][16][17] 발암에 대한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정기적인 자궁경부세포진검사 (Pap smear)가 권고된다.[8]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만 20세 이상 여성인 경우 2년에 1회 자궁경부세포진검사를 하는것이 국가건강검진으로 지정되어 있다[18]. 다른 예방 방법으로는 성관계 파트너를 적게 또는 아예 갖지 않는 것이나,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7] 자궁경부세포진검사 (Pap smear) 또는 아세트산 (VIA) 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선별검사는 전암병변을 확인할 수 있고, 치료를 통해 암으로 변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19] 치료방법으로는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한다.[1] 자궁경부암의 미국 5년 생존률 은 68%이다.[20] 치료에 대한 결과는 얼마나 빠르게 암이 발견되었는지에 매우 의존한다.[3]

역학

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은 부인과암 중에서 4번째로 흔한 암이자 4번째로 흔한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이다. 2012년에는 약 528,000건의 자궁경부암이 발생했고 266,000명이 사망했다.[2] 이는 암으로 인한 전체 사망건의 약 8%를 차지한다.[21] 자궁경부암의 약 70%의 발생과, 90%의 사망이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2][22] 저소득 국가에서는 여성 10만명당 유병률이 47.3으로 암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23][19] 선진국에서는 선별검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자궁경부암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켰다.[24]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전세계 사망률 감소에 대한 예상 시나리오는 WHO에서 정의한 3중 개입 전략을 통해 권장된 예방 목표의 달성에 관한 가정을 고려하여 검토되었다.[25] 의학연구에서, HeLa로 알려진 가장 유명한 불사화 세포주Henrietta Lacks라는 여성의 자궁 경부 세포로 만들어 졌다.[26]

징후 및 증상

자궁경부암의 초기단계에서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27][28] 질출혈, 접촉 출혈 (가장 흔한 형태로는 성관계 후 출혈), 또는 (드물게) 질 내 종괴가 악성 종양의 존재를 가리킬 수 있다. 성관계중 나타나는 중등도의 통증과 질 분비물 또한 자궁경부암의 증상 일 수 있다.[29] 진행암의 경우, 복부, , 기타부위에 전이될 수 있다.[30]

진행된 자궁경부암의 증상에는: 식욕부진, 체중감소, 피로, 골반통, 허리통증, 다리 통증, 다리 부종, 심한 질 출혈, 골절, (드물게) 질을 통한 소변 또는 대변의 누출 이 포함 될 수 있다.[31] 질세척(douching) 또는 골반 내진 후에 발생하는 출혈은 자궁경부암의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원인

몇몇 종류의 인간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자궁경부암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고, 흡연이 두번째 요인이다.[32]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HIV) 감염 또한 위험요인이다.[32] 자궁경부암의 모든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몇가지의 요소들이 연관되어 있다.[33][34]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 16번과 18번은 전세계 자궁 경부암의 원인중 75%를 차지한다. 31번과 45번은 10%를 차지한다.[35]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가지거나, 성별에 관계없이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가진 파트너가 있는 여성은 더 높은 자궁경부암 가능성을 가진다.[36][37]

150-200 종류의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HPV) 중,[38][39] 15개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 (16, 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 68, 73, and 82), 3개는 잠재적 고위험군 (26, 53, and 66), 12개는 저위험군으로 분류된다. (6, 11, 40, 42, 43, 44, 54, 61, 70, 72, 81, and CP6108).[40]

생식기 사마귀, which are a form of benign tumor of epithelial cells, are also caused by various strains of HPV. However, these serotypes are usually not related to cervical cancer. Having multiple strains at the same time is common, including those that can cause cervical cancer along with those that cause warts. Infection with HPV is generally believed to be required for cervical cancer to occur.[41]


HPV 백신의 부작용사례

2016년 4월 17일: 영국 북서부 그레이터 맨체스터(Greater Manchester)주의 13살의 쉐즐 자만(Shazel Zaman) 사망. HPV 백신을 맞은 뒤 4일 후 사망하였다. 아직 부검중.[42]

미국의 의료전문매체 ‘백신임팩트’는 6월 7일, 백신으로 인한 피해여성 34명의 사례를 보도.[42]

  • 뉴질랜드, 12살 소녀 앰버 스미스, 엄마의 증언에 따르면 HPV 백신을 맞은 뒤, 온 몸에 통증을 느껴 잘 걷지도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고 함.
  • 미국, 매디와 올리비아 자매, “HPV 백신을 맞고 나서 임신할 수 없는 불구의 몸이 됐다”고 증언
  • 펜실베니아의 27세 소녀 케이티 로빈슨, 11살 때 처음 HPV 백신을 맞고, 피로와 두통, 복통, 메스꺼움, 관절통, 기억 상실증, 현기증, 피부 질환 등에 시달렸다.

한국의 사례

식약처는 “우리나라에서도 일시마비, 운동장애 등 14건(2013년 기준)의 부작용 사례가 보고됐다”고 발표했다.[42]

2020년 8월 기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국가예방접종 도입 후 약 150만 건 접종 후 113건(0.007%)의 이상반응이 신고되었다.[43] 이 중 심인성 반응인 일시적인 실신 및 실신 전 어지러움 등의 증상(59건, 52.2%)이 가장 많았다.[43]

2020년 8월 기준 국가예방접종 도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43]
총계 국소 전신이상반응
실신 실신전증상 알레르기 및

피부이상반응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등

(비특이적 전신반응)

신경계 및

근골격계a)

기타b)
113 12 42 17 14 14 14 8
  • a) 신경계 및 근골격계: 편두통, 안면신경마비, 하지 통증, 접종 중 양팔떨림, 실신 중 경련 등(대부분 증상 지속없이 소실됨)
  • b) 기타: 염좌, 탈모, 설사 등
  • ※ 신고 된 이상반응 사례들은 의료진 또는 보호자가 신고한 자료로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증명되지 않았다.[43] 또한 증상이 경미하여 신고하지 않은 사례들은 포함되지 않아, 실제 이상반응 발생률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43]

일본의 사례[42]

일본은 2013년 4월부터 HPV 백신을 '필수 정기 접종'으로 의무적으로 지정되어, 만 12세 이상의 여성 청소년들에게 무상으로 맞게 했다. 2014년 11월까지 338만명의 초·중·고교생들이 HPV 백신을 맞았다. 두달 만인 2013년 6월부터 “이 백신을 맞은 13~16세 소녀들에게 만성 통증증후군인 ‘CRPS(복합부위통증증후군)’ 등의 이상 반응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잇따랐다. 주사를 맞은 338만명 중 2584명이 부작용을 호소, 이 가운데 186명은 증상이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자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3년 6월 ‘HPV 백신 필수 접종 정책’을 철회했다.

HPV 백신과 만성피로증후군[42]

일본 센다이사회보험 병원의 오사무 호타 박사는 “만성피로증후군(CFS)을 호소하는 환자 가운데 상당수가 HPV 백신을 맞은 여성이었다”면서 그 관찰 결과를 2016년 4월 독일에서 열린 국제 백신 심포지움에서 발표했다.

호타 박사는 2014년 10월~2015년 9월까지 약 1년 동안 HPV 백신을 맞은 여성 중 이상증세를 보이는 41명을 관찰하였다.

환자들은 아래 증상들을 호소했다고 한다.

  • 수면장애
  • 두통
  • 피로
  • 어지럼증
  • 광선혐기증(빛을 보면 눈에 이상이 나타나는 증상)
  • 관절 통증

박사는 “41명 중 34명(82%)은 이같은 증상 때문에 학교에도 가지 못했다”고 했다.

호타 박사는 이에 대해 “인후염이 심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설명했다. 인후염은 미국 질병관리예방본부(CDC)와 일본 후생성이 만성피로증후군(CFS)을 유발하는 질환 중 하나로 꼽고 있는 질병이다.

호타 박사는 “인후염은 면역체계 손상이란 측면에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사의 연설을 주최한 "아동 의료안전 연구기관(CMSRI)"은 홈페이지를 통해 “백신은 면역체계를 자극해 신경 장애를 일으키며, 이는 만성피로증후군(CFS)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 WHO(세계보건기구)는 일본이 작은 증거를 바탕으로 정책을 결정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의 사용을 줄이게 만들었다. 그것이 진짜 위험을 나을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HPV 해외 부작용에 대한 전문단체의 입장

HPV 예방접종 때문에 걷지 못하게 되었다는데?

일본에서는 HPV 백신 8백만 건 이상이 공급되었으며, 복합부위통증증후군(case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5사례가 보고되었다.[43]

그러나 2014년 일본 후생노동성의 조사결과 전형적인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부합하지 않았으며, 백신과의 관련성은 인정하기 힘들고, 접종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과 긴장에 의한 것으로 잠정결론 내렸다.[43]

또한 2016년 4월 소아과학회, 산부인과학회 등 17개 단체로 이루어진 일본의 예방접종추진 전문협의회는 HPV 예방접종을 적극 권장하는 입장을 밝혔다.[43]

또한 일본 내에서 HPV 예방접종에 대해 공포를 키운 논문(실험쥐에 HPV 백신을 접종 한 후 신경학적 손상을 보이는 결과를 보여줌)이 동물연구의 실험조건을 부풀린 것으로 밝혀져 해당 학회지는 논문 게재를 철회한다⁑(Scientific Reports, ’18.5월)고 밝혔다.[43]

⁑(철회사유) 고농도의 HPV백신과 백일해 독소를 함께 주입함으로써 뇌-신경계에 대한 영향을 최대화 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백일해 독소를 함께 주입하는 것은 HPV 백신 자체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을 보려고 한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음[43]

유럽의약청(EMA) 역시 ’16년 초 HPV 백신과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관련성이 없다고 공식 발표하였다.(’16.1.12.)[43][44]

HPV 예방접종 때문에 임신할 수 없게 되었다는데?

미국질병관리본부(CDC)는 난소부전 증상이 HPV 백신과 관련성이 없으며, 오히려 자궁경부암에 걸렸을 경우 치료 과정에서 임신이 어렵게 될 위험을 백신접종을 통한 암 예방으로 줄일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43]

각주

  1. “Cervical Cancer Treatment (PDQ®)”. 《NCI》. 2014년 3월 14일. 2014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2.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5.12쪽. ISBN 978-9283204299. 
  3. “Cervical Cancer Treatment (PDQ®)”.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3월 14일. 2014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5일에 확인함. 
  4. 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 (2007). 《Robbins Basic Pathology》 8판. Saunders Elsevier. 718–721쪽. ISBN 978-1-4160-2973-1. 
  5. Kufe D (2009). 《Holland-Frei cancer medicine》 8판. New York: McGraw-Hill Medical. 1299쪽. ISBN 9781607950141. 2015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Bosch FX, de Sanjosé S (2007). “The epidemiolog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cervical cancer”. 《Disease Markers》 23 (4): 213–227. doi:10.1155/2007/914823. PMC 3850867. PMID 17627057. 
  7. “Cervical Cancer Prevention (PDQ®)”.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2월 27일. 2014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5일에 확인함. 
  8.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es”.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년 12월 29일. 2014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5일에 확인함. 
  9. “Global Cancer Facts & Figures 3rd Edition” (PDF). 2015. 9쪽. 2017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9일에 확인함. 
  10. Sung H, Ferlay J, Siegel RL, Laversanne M, Soerjomataram I, Jemal A, Bray F (May 2021). “Global Cancer Statistics 2020: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71 (3): 209–249. doi:10.3322/caac.21660. PMID 33538338. S2CID 231804598. 
  11. “Defining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년 9월 17일. 2014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0일에 확인함. 
  12. Tarney CM, Han J (2014). “Postcoital bleeding: a review on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bstetrics and Gynecology International》 2014: 192087. doi:10.1155/2014/192087. PMC 4086375. PMID 25045355. 
  13. Dunne EF, Park IU (December 2013). “HPV and HPV-associated diseases”. 《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27 (4): 765–778. doi:10.1016/j.idc.2013.09.001. PMID 24275269. 
  14. “Cervical cancer”. 《www.who.int》 (영어). 2022년 5월 13일에 확인함. 
  15. Ramachandran D, Dörk T (October 2021). “Genomic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Cancers》 13 (20): 5137. doi:10.3390/cancers13205137. PMC 8533931. PMID 34680286. 
  16. “FDA approves Gardasil 9 for prevention of certain cancers caused by five additional types of HP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년 12월 10일. 2015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8일에 확인함. 
  17. Tran NP, Hung CF, Roden R, Wu TC (2014). 〈Control of HPV Infection and Related Cancer Through Vaccination〉. 《Viruses and Human Cancer》. Recent Results in Cancer Research 193. 149–171쪽. doi:10.1007/978-3-642-38965-8_9. ISBN 978-3-642-38964-1. PMID 24008298. 
  18. 한국건강관리협회. “한국건강관리협회>국가건강검진>암검진”. 《한국건강관리협회》.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February 2014). “Fact sheet No. 297: Cancer”. 2014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4일에 확인함. 
  20. “SEER Stat Fact Sheets: Cervix Uteri Cancer”.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년 11월 10일. 2014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21.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hapter 1.1쪽. ISBN 978-9283204299. 
  22. “Cervical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saves lives in the Republic of Kore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년 11월 1일에 확인함. 
  23. Donnez, Jacques (2020년 4월 1일). “An update on uterine cervix pathologies related to infertility”. 《Fertility and Sterility》 113 (4): 683–684. doi:10.1016/j.fertnstert.2020.02.107. ISSN 0015-0282. PMID 32228872. 
  24. Canavan TP, Doshi NR (March 2000). “Cervical cancer”. 《American Family Physician》 61 (5): 1369–1376. PMID 10735343. 2005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5. Canfell K, Kim JJ, Brisson M, Keane A, Simms KT, Caruana M, 외. (February 2020). “Mortality impact of achieving WHO cervical cancer elimination targets: a comparative modelling analysis in 78 low-income and lower-middle-income countries”. 《Lancet》 395 (10224): 591–603. doi:10.1016/S0140-6736(20)30157-4. PMC 7043006. PMID 32007142. 
  26. Carraher Jr CE (2014). 《Carraher's polymer chemistry》 9판. Boca Raton: Taylor & Francis. 385쪽. ISBN 9781466552036. 2015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7. Kumar V, Abbas AK, Fausto N, Mitchell RN (2007). 《Robbins Basic Pathology》 8판. Saunders Elsevier. 718–721쪽. ISBN 978-1-4160-2973-1. 
  28. Canavan TP, Doshi NR (March 2000). “Cervical cancer”. 《American Family Physician》 61 (5): 1369–1376. PMID 10735343. 2005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9. “Cervical Cancer Symptoms, Signs, Causes, Stages & Treatment”. 《medicinenet.com》. 
  30. Li H, Wu X, Cheng X (July 2016). “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etastatic cervical cancer”.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27 (4): e43. doi:10.3802/jgo.2016.27.e43. PMC 4864519. PMID 27171673. 
  31. Nanda R (2006년 6월 9일). 〈Cervical cancer〉.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7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32. Gadducci A, Barsotti C, Cosio S, Domenici L, Riccardo Genazzani A (August 2011). “Smoking habit, immune suppression, oral contraceptive us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e and cervical carcinogene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Gynecological Endocrinology》 27 (8): 597–604. doi:10.3109/09513590.2011.558953. PMID 21438669. S2CID 25447563. 
  33. Campbell S, Monga A (2006). 《Gynaecology by Ten Teachers》 18판. Hodder Education. ISBN 978-0-340-81662-2. 
  34. “Cervical Cancer Symptoms, Signs, Causes, Stages & Treatment”. 《medicinenet.com》. 
  35. Dillman RK, Oldham RO, 편집. (2009). 《Principles of cancer biotherapy》 5판. Dordrecht: Springer. 149쪽. ISBN 9789048122899. 2015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6. “What Causes Cancer of the Cervix?”. American Cancer Society. 2006년 11월 30일. 2007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37. Marrazzo JM, Koutsky LA, Kiviat NB, Kuypers JM, Stine K (June 2001). “Papanicolaou test screening and prevalence of genital human papillomavirus among women who have sex with wom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1 (6): 947–952. doi:10.2105/AJPH.91.6.947. PMC 1446473. PMID 11392939. 
  38. “HPV Type-Detect”. Medical Diagnostic Laboratories. 2007년 10월 30일.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39. Gottlieb N (2002년 4월 24일). “A Primer on HPV”. 《Benchmarks》.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일에 확인함. 
  40. Muñoz N, Bosch FX, de Sanjosé S, Herrero R, Castellsagué X, Shah KV, 외. (February 2003). “Epidemiologic class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8 (6): 518–527. doi:10.1056/NEJMoa021641. hdl:2445/122831. PMID 12571259. S2CID 1451343. 
  41. Snijders PJ, Steenbergen RD, Heideman DA, Meijer CJ (January 2006). “HPV-mediated cervical carcinogenesis: concepts and clinical implications”. 《The Journal of Pathology》 208 (2): 152–164. doi:10.1002/path.1866. PMID 16362994. S2CID 25400770. 
  42. “‘자궁경부암 백신’ 여학생 47만명에 무료 접종, 그런데… 보도되지 않은 ‘심각한’ 부작용”. 2016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일에 확인함. 
  43. “예방접종 도우미 > 예방접종길잡이 > 국가 예방접종 사업 소개 > 건강여성 첫걸음 클리닉 사업 > HPV 백신 알아보기”. 2020년 9월 27일에 확인함. 
  44. “EMA to further clarify safety profile of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es”. 13/07/2015. 

참고 문헌

  • 국가건강정보포털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자궁경부암의 원인
  • 김영태,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진단>>, 대한의사협회지, 2006년
  • 국가암정보센터 암의종류
  • 자궁경부암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201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