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베일드카멜레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생물 분류
[[파일:Chamaeleo calyptratus Esapolis 01.jpg|섬네일|베일드카멜레온]]
|이름=베일드카멜레온
|색=동물
|그림=Chamaeleo calyptratus Esapolis 01.jpg
|그림_크기=300px
|그림_설명=[[이탈리아]]의 베일드카멜레온
|상태=LC
|상태_기준=IUCN3.1
|계=[[동물|동물계]]
|문=[[척삭동물|척삭동물문]]
|강=[[파충류|파충강]]
|목=[[뱀목]]
|아목=[[도마뱀아목]]
|하목=[[이구아나하목]]
|과=[[카멜레온과]]
|속=[[베일드카멜레온속]]
|종='''베일드카멜레온'''<br />(''C. calyptratus'')
|학명=''Chamaeleo calyptratus''
|학명_명명=Duméril & Bibron, 1851
|지도=Chamaeleo calyptratus distribution.png
|지도_설명=베일드카멜레온의 분포
}}
'''베일드카멜레온'''(Veiled chameleon)은 [[예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라비아반도]]가 원산지인 [[카멜레온]]의 한 종이다. 다른 흔한 이름으로는 '''콘헤드카멜레온'''(Cone-head chameleon), '''예멘카멜레온'''(Yemen chameleon)이 있다.<ref name=iucn>{{cite iucn |last1=Wilms |first1=T. |last2=Sindaco |first2=R. |last3=Shobrak |first3=M. |year=2012 |title=''Chamaeleo calyptratus'' |volume=2012 |page=e.T176306A1437838 |doi=10.2305/IUCN.UK.2012.RLTS.T176306A1437838.en |access-date=7 October 2021 }}</ref> 그들은 파스텔 그린으로 태어났고 머리에 독특한 주머니가 없다. 그들은 이것을 기를 뿐만 아니라 성숙함에 따라 더욱 다채로워진다. 그들은 공격성, 사회적 지위, 번식,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다양한 색깔의 변화로 알려져 있다. 암컷은 약 5년, 수컷은 약 8년을 살고 일년에 몇 번 번식한다.


== 묘사 ==
'''베일드카멜레온'''(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은 [[예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라비아 반도]]에 자생하는 [[카멜레온]]의 [[종 (생물학)|종]]이다. '''콘헤드카멜레온'''(cone-head chameleon), '''예멘카멜레온'''(Yemen chameleon)이라는 다른 이름이 있다.<ref name=iucn>Wilms, T., R. Sindaco, and M. Shobrak. 2012. [http://www.iucnredlist.org/details/176306/0 ''Chamaeleo calyptrat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4.2. Downloaded on 23 October 2014.</ref>
[[파일:Blumengärten Hirschstetten 2016-02-21 Jemenchamäleon (Chamaeleo calyptratus) a.jpg|left|thumb|[[오스트리아]] [[빈]]의 베일드카멜레온]]


수컷은 주둥이에서 꼬리 끝까지 길이가 43~61 cm(17~24 in)이다. 암컷은 35 cm(14 in) 이하로 짧지만, 두꺼운 몸을 가지고 있다. 암컷 모두 머리에 카멜레온이 성숙함에 따라 커지며, 가장어른들은5 cm(2.0 in)에 이른다. 새로 부화한 자손은 파스텔 그린에서 태어나 성숙함에 따라 줄무늬와 다양한 색깔이 생긴다. 자란 암컷은 녹색에 흰색, 오렌지색, 노란색, 또는 황갈색 얼룩이 있다. 자란 수컷은 더 밝은 색에 노란색 또는 파란색 띠가 있고, 약간의 얼룩이 있다.<ref name=smith>[http://nationalzoo.si.edu/Animals/ReptilesAmphibians/Facts/FactSheets/Veiledchameleon.cfm Veiled Chameleon.]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1217072850/http://nationalzoo.si.edu/Animals/ReptilesAmphibians/Facts/FactSheets/Veiledchameleon.cfm |date=2011-12-17 }} Smithsonian National Zoological Park.</ref>
== 개요 ==
수컷은 코부터 꼬리 끝까지의 길이가 43~61 센티미터에 이른다. 암컷은 짧은 편이며 길면 35 센티미터에 이르지만 더 두꺼운 몸매를 지닌다. 수컷과 암컷 모두 머리에 투구가 있으며 카멜레온이 성장할수록 크기는 더 커지며 것은5센티미터에 이른다. 부화된 어린 것은 파스텔 녹색을 띄며 커갈수록 줄무늬가 발달한다. 다큰 암컷의 몸은 녹색이며 흰색, 오렌지색, 그을린 얼룩이 있다. 다큰 수컷의 몸색은 더 밝은 편으로, 일부 얼룩과 함께 노랗거나 파란 띄가 있다.<ref name=smith>[http://nationalzoo.si.edu/Animals/ReptilesAmphibians/Facts/FactSheets/Veiledchameleon.cfm Veiled Chameleon.] {{웨이백|url=http://nationalzoo.si.edu/Animals/ReptilesAmphibians/Facts/FactSheets/Veiledchameleon.cfm |date=20111217072850 }} Smithsonian National Zoological Park.</ref>


색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여기에는 사회적 지위를 포함한다. 실험 조건에서 격리되어 자란 어린 베일드카멜레온은 다른 개체에 비해 어두운 색을 보였다.<ref name=ballen>Ballen, C., et al. (2014).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03347213005186 Effects of early social isolation on the behaviour and performance of juvenile lizards, ''Chamaeleo calyptratus''.] ''Animal Behaviour'' 88 1-6.</ref> 암컷은 생식 주기에 따라 색을 바꾼다.<ref name=kelso>Kelso, E. C. and P. A. Verrell. (2002).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46/j.1439-0310.2002.00789.x/abstract Do male veiled chameleons, ''Chamaeleo calyptratus'', adjust their courtship displays in response to female reproductive status?] ''Ethology'' 108(6) 495-512.</ref> 카멜레온들은 스트레스를 받을 훨씬 더 어두운 색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ref name=smith/>
색은 사회적 지위를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험 조건에서, 고립되어 자란 어린 베일에 싸인 카멜레온은 다른 개체와 함께 자란 카멜레온에 비해 색이 어둡고 칙칙하게 발달했다.<ref name=ballen>{{cite journal |last1=Ballen |first1=Cissy |last2=Shine |first2=Richard |last3=Olsson |first3=Mats |title=Effects of early social isolation on the behaviour and performance of juvenile lizards, Chamaeleo calyptratus |journal=Animal Behaviour |date=1 February 2014 |volume=88 |pages=1–6 |doi=10.1016/j.anbehav.2013.11.010 |s2cid=53181453 |url=https://ro.uow.edu.au/smhpapers1/996 }}</ref> 암컷은 번식기의 과정에 걸쳐 색이 변한다.<ref name=kelso>{{cite journal |last1=Kelso |first1=Erin C. |last2=Verrell |first2=Paul A. |title=Do Male Veiled Chameleons, Chamaeleo calyptratus, Adjust their Courtship Displays in Response to Female Reproductive Status? |journal=Ethology |date=June 2002 |volume=108 |issue=6 |pages=495–512 |doi=10.1046/j.1439-0310.2002.00789.x }}</ref> 카멜레온은 또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훨씬 더 어두운 색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ref name=smith/>


== 문화 ==
== 서식지 및 분포 ==
베일드카멜레온은 수목성 종이다. 기후가 반 건조하고 열대 기후인 남서부 [[아라비아반도]]가 원산지이다.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해서 감금되어 치료하기 어려운 종이 된다.<ref name="Abou-Madi & Kern 2002">{{cite journal |last1=Abou-Madi |first1=Noha |last2=Kern |first2=Thomas J. |title=Squamous cell carcinoma associated with a periorbital mass in a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journal=Veterinary Ophthalmology |date=September 2002 |volume=5 |issue=3 |pages=217–220 |doi=10.1046/j.1463-5224.2002.00244.x |pmid=12236875 }}</ref>
베일드카멜레온은 [[수세 리눅스]] 운영 체제의 로고이다.<ref>[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suse-opensuse-60/what-kind-of-lizard-is-the-suse-mascot-370476/ Linux Questions: What kind of lizard is the SUSE mascot]</ref>


이 카멜레온은 고원, 산, 계곡 등 토착 지역의 다양한 서식지 유형에서 살고 있다. 대부분의 다른 카멜레온과 마찬가지로 수목형이며 나무와 다른 큰 식물에서 산다. 일반적으로 24~35°C(75~95°F) 사이의 따뜻한 온도를 선호한다.<ref name=smith/>
== 사진 ==

<gallery>
== 먹이 ==
파일:C Calyptratus female.jpg
베일드카멜레온은 주로 식충성이다. 다른 카멜레온들처럼, 베일드카멜레온은 큰 먹이를 잡는 능력이 있지만, 그들의 먹이는 주로 작은 먹이로 이루어져 있다.<ref>{{cite journal|last1=Anderson|first1=Christopher|title=Ballistic tongue projection in chameleons maintains high performance at low temperature|url=https://www.pnas.org/content/pnas/107/12/5495.full.pdf|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year=2010 |volume=107 |issue=12 |pages=5495–5499 |publisher=Department of Integrative Biology, University of South Florida, Tampa, FL|doi=10.1073/pnas.0910778107 |pmid=20212130 |pmc=2851764 |bibcode=2010PNAS..107.5495A |doi-access=free }}</ref> 하지만, 카멜레온은 식물 물질을 섭취하는 것으로도 알려진 여러 카멜레온 종 중 하나이다. 카멜레온은 아마도 건기에 물의 원천으로 사용될 것으로 여겨진다.<ref name=smith/>
파일:Yemen Chameleon.jpg

파일:Chamaeleo calyptratus - AMNH - DSC06272.JPG
== 질병 ==
</gallery>
베일드카멜레온은 많은 [[파충류]]들과 마찬가지로 안구 감염에 취약하다. 비슷한 피하 붓기는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 종기, 기생충 감염, 그리고 (거의) [[신생물]]과 관련될 수 있다.<ref name="Abou-Madi & Kern 2002"/>

사육 중인 어린 베일드카멜레온은 영양 대사성 골질환이 자주 발생하지만, 자외선에 노출되는 Ca, 비타민 A, 비타민 D, 콜레칼시페롤 등의 식이 보충제를 섭취하면 발병하지 않는다.<ref name="Hoby et al 2010">{{cite journal |last1=Hoby |first1=Stefan |last2=Wenker |first2=Christian |last3=Robert |first3=Nadia |last4=Jermann |first4=Thomas |last5=Hartnack |first5=Sonja |last6=Segner |first6=Helmut |last7=Aebischer |first7=Claude-P |last8=Liesegang |first8=Annette |title=Nutritional Metabolic Bone Disease in Juvenile Veiled Chameleons (''Chamaeleo calyptratus'') and Its Prevention |journal=The Journal of Nutrition |date=November 2010 |volume=140 |issue=11 |pages=1923–1931 |doi=10.3945/jn.110.120998 |pmid=20881081 |doi-access=free }}</ref>

사육 중인 베일드카멜레온은 저비타민증 A, 고비타민증 A, 신부전, 디스토시아(알을 낳는 실패), 호흡기 문제(보통 부적절한 습도로 인해), 기생충 감염 및 구강 문제와 같은 질병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과도한 UVB 방사선으로 인해 각막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ref name="Diaz et al 2015">{{cite journal |last1=Diaz |first1=Raul E. |last2=Anderson |first2=Christopher V. |last3=Baumann |first3=Diana P. |last4=Kupronis |first4=Richard |last5=Jewell |first5=David |last6=Piraquive |first6=Christina |last7=Kupronis |first7=Jill |last8=Winter |first8=Kristy |last9=Greek |first9=Thomas J. |last10=Trainor |first10=Paul A. |title=Captive Care, Raising, and Breeding of the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journal=Cold Spring Harbor Protocols |date=October 2015 |volume=2015 |issue=10 |pages=943–949 |doi=10.1101/pdb.prot087718 |pmid=26310902 }}</ref>

== 사육장 ==
베일드카멜레온은 애완동물 거래에서 가장 흔한 카멜레온 종이다. 이 종은 거의 30년 동안 감금되어 사육되어 왔다. 베일드카멜레온은 다른 카멜레온 종보다 포획 조건에 더 관대하지만, 여전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애완동물에게 도전적이다.<ref name=":0">{{Cite web|last=Healey|first=Mariah|title=Veiled Chameleon Care Sheet |url=https://reptifiles.com/veiled-chameleon-care-sheet/|access-date=2022-01-18|website=ReptiFiles}}</ref><ref name="smith" />

== 조사 ==
카멜레온은 나무 위의 서식지(잡는 데 쓰이는 갈라진 손과 발, 잡기 쉬운 꼬리, 발사체 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눈, 그리고 옆으로 압축된 몸)에 적합한 해부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베일드카멜레온은 기능적 형태학과 진화 발달 생물학 (ev-devo) 연구의 떠오르는 모델이 되고 있다. 2019년의 연구는 베일드카멜레온이 진화 및 발달 연구의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석이 달린 다중 조직 전사체를 조립했다.

베일드카멜레온은 현재 [[파충류]] [[양막류]]에서 [[포유류]]와 [[새|조류]] 종으로의 진화적 전환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ref name="Diaz-et-al-2017">{{cite book | last1=Diaz | first1=Raul E. | last2=Bertocchini | first2=Federica | last3=Trainor | first3=Paul A. | title=Avian and Reptilian Developmental Biology | chapter=Lifting the Veil on Reptile Embryology: The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as a Model System to Study Reptilian Development | series=Methods in Molecular Biology | publisher=[[Springer New York]] | publication-place=[[New York, NY]] | year=2017 | volume=1650 | issn=1064-3745 | doi=10.1007/978-1-4939-7216-6_18 | pages=269–284| pmid=28809028 | isbn=978-1-4939-7215-9 }}</ref>

비늘이 있는 파충류는 살아있는 모든 양막류 (육상의 알을 낳는 동물)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 종들의 대부분은 난자가 있는 시기에 발달 후기에 있다. 그러나 베일에 싸인 카멜레온은 예외이다. 그들은 쉽게 번식하고, 번식 주기를 유도하기 위해 냉각 기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암컷은 일년에 여러 번 약 45~90개의 알을 낳는다. 따라서, 생산적인 번식 집단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동물은 거의 없다. 이것은 그들을 발달과 진화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훌륭한 모델 유기체로 만든다.

어린 카멜레온은 미궁 턱 부위에 다첨가 치아가 있고 단순한 단첨가 치아가 우둔하게 있는 이질 치열을 가지고 있다. 카멜레온 치아는 또한 턱의 뼈에 강직하게 결합된 아크로돈트이다. 상아질 세포는 구강 밖으로 치아와 뼈가 모두 돌출되어 기능 단위로 작용하면서 상아질을 지지 뼈와 연결하는 프레덴틴 층을 생성한다. 이것은 카멜레온을 생리학적, 병리학적 조건에서 치아-뼈 계면에서의 분자적 상호 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게 만든다.<ref>{{cite journal |last1=Buchtová |first1=Marcela |last2=Zahradníček |first2=Oldřich |last3=Balková |first3=Simona |last4=Tucker |first4=Abigail S. |title=Odontogenesis in the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journal=Archives of Oral Biology |date=1 February 2013 |volume=58 |issue=2 |pages=118–133 |doi=10.1016/j.archoralbio.2012.10.019 |pmid=23200300 }}</ref>


== 각주 ==
== 각주 ==
{{각주}}
{{각주}}

== 추가 문헌 ==
* Andrews, R. M. (2008). [https://web.archive.org/web/20170809120823/http://www.faculty.biol.vt.edu/andrews/pdfs/And_JEZ08.pdf Effects of incubation temperature on growth and performance of the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Journal of Experimental Zoology Part A: Ecological Genetics and Physiology'' 309(8), 435-46.
* Herrel, A., et al. (2014). [http://www.anthonyherrel.fr/publications/Herrel%20et%20al%202014%20Zoology.pdf The scaling of tongue projection in the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Zoology'' 117 227-36.
* McCartney, K. L., et al. (2014). [http://www.frontiersinzoology.com/content/11/1/26/ The effect of carotenoid supplementation on immune system development in juvenile male veiled chameleons (''Chamaeleo calyptratus'').] ''Frontiers in Zoology'' 11 26.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위키공용|Chamaeleo calyptratus|Veiled chameleon}}
* [http://www.the-lizard-lounge.com/content/species/veiled-chameleon.asp Veiled Chameleon Care Sheet.] The Lizard Lounge.
* [http://www.the-lizard-lounge.com/content/species/veiled-chameleon.asp Veiled Chameleon Care Sheet.] The Lizard Lounge.
* [https://web.archive.org/web/20130318220234/http://www.biotropics.com/englisch/html/chamaeleo_calyptratus.html Veiled Chameleon.] Biotropics.com
* [http://www.biotropics.com/englisch/html/chamaeleo_calyptratus.html Veiled Chameleon.] Biotropics.com
{{분류군 식별자|from=Q1124882}}


{{분류군 식별자|from=Q1124882}}
{{전거 통제}}
{{전거 통제}}
{{토막글|파충류}}


[[분류: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분류: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2023년 8월 30일 (수) 19:45 판

베일드카멜레온
이탈리아의 베일드카멜레온
이탈리아의 베일드카멜레온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목: 뱀목
아목: 도마뱀아목
하목: 이구아나하목
과: 카멜레온과
속: 베일드카멜레온속
종: 베일드카멜레온
(C. calyptratus)
학명
Chamaeleo calyptratus
Duméril & Bibron, 1851
베일드카멜레온의 분포

베일드카멜레온의 분포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베일드카멜레온(Veiled chameleon)은 예멘사우디아라비아아라비아반도가 원산지인 카멜레온의 한 종이다. 다른 흔한 이름으로는 콘헤드카멜레온(Cone-head chameleon), 예멘카멜레온(Yemen chameleon)이 있다.[1] 그들은 파스텔 그린으로 태어났고 머리에 독특한 주머니가 없다. 그들은 이것을 기를 뿐만 아니라 성숙함에 따라 더욱 다채로워진다. 그들은 공격성, 사회적 지위, 번식,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다양한 색깔의 변화로 알려져 있다. 암컷은 약 5년, 수컷은 약 8년을 살고 일년에 몇 번 번식한다.

묘사

오스트리아 의 베일드카멜레온

수컷은 주둥이에서 꼬리 끝까지 길이가 43~61 cm(17~24 in)이다. 암컷은 35 cm(14 in) 이하로 더 짧지만, 두꺼운 몸을 가지고 있다. 두 암컷 모두 머리에 카멜레온이 성숙함에 따라 커지며, 가장 큰 어른들은 약 5 cm(2.0 in)에 이른다. 새로 부화한 자손은 파스텔 그린에서 태어나 성숙함에 따라 줄무늬와 다양한 색깔이 생긴다. 다 자란 암컷은 녹색에 흰색, 오렌지색, 노란색, 또는 황갈색 얼룩이 있다. 다 자란 수컷은 더 밝은 색에 노란색 또는 파란색 띠가 있고, 약간의 얼룩이 있다.[2]

색은 사회적 지위를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험 조건에서, 고립되어 자란 어린 베일에 싸인 카멜레온은 다른 개체와 함께 자란 카멜레온에 비해 색이 어둡고 칙칙하게 발달했다.[3] 암컷은 번식기의 과정에 걸쳐 색이 변한다.[4] 카멜레온은 또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훨씬 더 어두운 색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2]

서식지 및 분포

베일드카멜레온은 수목성 종이다. 기후가 반 건조하고 열대 기후인 남서부 아라비아반도가 원산지이다.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해서 감금되어 치료하기 어려운 종이 된다.[5]

이 카멜레온은 고원, 산, 계곡 등 토착 지역의 다양한 서식지 유형에서 살고 있다. 대부분의 다른 카멜레온과 마찬가지로 수목형이며 나무와 다른 큰 식물에서 산다. 일반적으로 24~35°C(75~95°F) 사이의 따뜻한 온도를 선호한다.[2]

먹이

베일드카멜레온은 주로 식충성이다. 다른 카멜레온들처럼, 베일드카멜레온은 큰 먹이를 잡는 능력이 있지만, 그들의 먹이는 주로 작은 먹이로 이루어져 있다.[6] 하지만, 카멜레온은 식물 물질을 섭취하는 것으로도 알려진 여러 카멜레온 종 중 하나이다. 카멜레온은 아마도 건기에 물의 원천으로 사용될 것으로 여겨진다.[2]

질병

베일드카멜레온은 많은 파충류들과 마찬가지로 안구 감염에 취약하다. 비슷한 피하 붓기는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 종기, 기생충 감염, 그리고 (거의) 신생물과 관련될 수 있다.[5]

사육 중인 어린 베일드카멜레온은 영양 대사성 골질환이 자주 발생하지만, 자외선에 노출되는 Ca, 비타민 A, 비타민 D, 콜레칼시페롤 등의 식이 보충제를 섭취하면 발병하지 않는다.[7]

사육 중인 베일드카멜레온은 저비타민증 A, 고비타민증 A, 신부전, 디스토시아(알을 낳는 실패), 호흡기 문제(보통 부적절한 습도로 인해), 기생충 감염 및 구강 문제와 같은 질병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과도한 UVB 방사선으로 인해 각막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8]

사육장

베일드카멜레온은 애완동물 거래에서 가장 흔한 카멜레온 종이다. 이 종은 거의 30년 동안 감금되어 사육되어 왔다. 베일드카멜레온은 다른 카멜레온 종보다 포획 조건에 더 관대하지만, 여전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애완동물에게 도전적이다.[9][2]

조사

카멜레온은 나무 위의 서식지(잡는 데 쓰이는 갈라진 손과 발, 잡기 쉬운 꼬리, 발사체 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눈, 그리고 옆으로 압축된 몸)에 적합한 해부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베일드카멜레온은 기능적 형태학과 진화 발달 생물학 (ev-devo) 연구의 떠오르는 모델이 되고 있다. 2019년의 연구는 베일드카멜레온이 진화 및 발달 연구의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석이 달린 다중 조직 전사체를 조립했다.

베일드카멜레온은 현재 파충류 양막류에서 포유류조류 종으로의 진화적 전환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10]

비늘이 있는 파충류는 살아있는 모든 양막류 (육상의 알을 낳는 동물)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 종들의 대부분은 난자가 있는 시기에 발달 후기에 있다. 그러나 베일에 싸인 카멜레온은 예외이다. 그들은 쉽게 번식하고, 번식 주기를 유도하기 위해 냉각 기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암컷은 일년에 여러 번 약 45~90개의 알을 낳는다. 따라서, 생산적인 번식 집단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동물은 거의 없다. 이것은 그들을 발달과 진화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훌륭한 모델 유기체로 만든다.

어린 카멜레온은 미궁 턱 부위에 다첨가 치아가 있고 단순한 단첨가 치아가 우둔하게 있는 이질 치열을 가지고 있다. 카멜레온 치아는 또한 턱의 뼈에 강직하게 결합된 아크로돈트이다. 상아질 세포는 구강 밖으로 치아와 뼈가 모두 돌출되어 기능 단위로 작용하면서 상아질을 지지 뼈와 연결하는 프레덴틴 층을 생성한다. 이것은 카멜레온을 생리학적, 병리학적 조건에서 치아-뼈 계면에서의 분자적 상호 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게 만든다.[11]

각주

  1. Wilms, T.; Sindaco, R.; Shobrak, M. (2012). Chamaeleo calyptrat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2: e.T176306A1437838. doi:10.2305/IUCN.UK.2012.RLTS.T176306A1437838.en. 2021년 10월 7일에 확인함. 
  2. Veiled Chameleon. 보관됨 2011-12-17 - 웨이백 머신 Smithsonian National Zoological Park.
  3. Ballen, Cissy; Shine, Richard; Olsson, Mats (2014년 2월 1일). “Effects of early social isolation on the behaviour and performance of juvenile lizards, Chamaeleo calyptratus”. 《Animal Behaviour》 88: 1–6. doi:10.1016/j.anbehav.2013.11.010. S2CID 53181453. 
  4. Kelso, Erin C.; Verrell, Paul A. (June 2002). “Do Male Veiled Chameleons, Chamaeleo calyptratus, Adjust their Courtship Displays in Response to Female Reproductive Status?”. 《Ethology》 108 (6): 495–512. doi:10.1046/j.1439-0310.2002.00789.x. 
  5. Abou-Madi, Noha; Kern, Thomas J. (September 2002). “Squamous cell carcinoma associated with a periorbital mass in a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Veterinary Ophthalmology》 5 (3): 217–220. doi:10.1046/j.1463-5224.2002.00244.x. PMID 12236875. 
  6. Anderson, Christopher (2010). “Ballistic tongue projection in chameleons maintains high performance at low temperature” (PDF).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Department of Integrative Biology, University of South Florida, Tampa, FL) 107 (12): 5495–5499. Bibcode:2010PNAS..107.5495A. doi:10.1073/pnas.0910778107. PMC 2851764. PMID 20212130. 
  7. Hoby, Stefan; Wenker, Christian; Robert, Nadia; Jermann, Thomas; Hartnack, Sonja; Segner, Helmut; Aebischer, Claude-P; Liesegang, Annette (November 2010). “Nutritional Metabolic Bone Disease in Juvenile Veiled Chameleons (Chamaeleo calyptratus) and Its Prevention”. 《The Journal of Nutrition》 140 (11): 1923–1931. doi:10.3945/jn.110.120998. PMID 20881081. 
  8. Diaz, Raul E.; Anderson, Christopher V.; Baumann, Diana P.; Kupronis, Richard; Jewell, David; Piraquive, Christina; Kupronis, Jill; Winter, Kristy; Greek, Thomas J.; Trainor, Paul A. (October 2015). “Captive Care, Raising, and Breeding of the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Cold Spring Harbor Protocols》 2015 (10): 943–949. doi:10.1101/pdb.prot087718. PMID 26310902. 
  9. Healey, Mariah. “Veiled Chameleon Care Sheet”. 《ReptiFiles》. 2022년 1월 18일에 확인함. 
  10. Diaz, Raul E.; Bertocchini, Federica; Trainor, Paul A. (2017). 〈Lifting the Veil on Reptile Embryology: The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as a Model System to Study Reptilian Development〉. 《Avian and Reptilian Developmental Biology》.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1650. New York, NY: Springer New York. 269–284쪽. doi:10.1007/978-1-4939-7216-6_18. ISBN 978-1-4939-7215-9. ISSN 1064-3745. PMID 28809028. 
  11. Buchtová, Marcela; Zahradníček, Oldřich; Balková, Simona; Tucker, Abigail S. (2013년 2월 1일). “Odontogenesis in the Veiled Chameleon (Chamaeleo calyptratus)”. 《Archives of Oral Biology》 58 (2): 118–133. doi:10.1016/j.archoralbio.2012.10.019. PMID 2320030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