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슬로우 슬립: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8번째 줄: 38번째 줄:
==== 정상 미끄러짐 ====
==== 정상 미끄러짐 ====
{{본문|정상 미끄러짐}}
{{본문|정상 미끄러짐}}

단기 슬로우 슬립과 저주파 미소진동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정상 미끄러짐(ETS)라고 부른다.<ref name=":63">{{Cite journal|last=Rogers|first=Garry|last2=Dragert|first2=Herb|date=2003-06-20|title=Episodic Tremor and Slip on the Cascadia Subduction Zone: The Chatter of Silent Slip|url=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1084783|journal=Science|volume=300|issue=5627|pages=1942–1943|language=en|doi=10.1126/science.1084783|issn=0036-8075}}</ref> 이런 동시 발생 현상은 2003년 북아메리카 대륙 서안에 있는 [[캐스케이디아 섭입대]]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ref name=":63" /> 난카이 해곡 판 경계 깊은 곳과 얕은 곳에서도 정상 미끄러짐의 발생이 확인되었다.<ref>{{Cite journal|last=Obara|first=Kazushige|last2=Hirose|first2=Hitoshi|last3=Yamamizu|first3=Fumio|last4=Kasahara|first4=Keiji|date=2004-12-16|title=Episodic slow slip events accompanied by non-volcanic tremors in southwest Japan subduction zone: EPISODIC SLOW SLIP AND TREMOR IN JAPAN|url=http://doi.wiley.com/10.1029/2004GL020848|journal=Geophysical Research Letters|volume=31|issue=23|language=en|doi=10.1029/2004GL020848}}</ref> 또한 단기 슬로우 슬립과 저주파 미소진동 외에도 초저주파 지진도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ref name=":38" /> 캐스케이디아 섭입대와 난카이 해곡 외에도 [[코스타리카]]와 [[멕시코]]의 태평양 쪽 [[중앙아메리카 해구]]<ref>{{Cite journal|last=Walter|first=Jacob I.|last2=Schwartz|first2=Susan Y.|last3=Protti|first3=Marino|last4=Gonzalez|first4=Victor|date=2013-04-28|title=The synchronous occurrence of shallow tremor and very low frequency earthquakes offshore of the Nicoya Peninsula, Costa Rica: VLFES DURING SLOW SLIP IN COSTA RICA|url=http://doi.wiley.com/10.1002/grl.50213|journal=Geophysical Research Letters|volume=40|issue=8|pages=1517–1522|language=en|doi=10.1002/grl.50213}}</ref><ref>{{Cite journal|last=Rousset|first=B.|last2=Campillo|first2=M.|last3=Lasserre|first3=C.|last4=Frank|first4=W. B.|last5=Cotte|first5=N.|last6=Walpersdorf|first6=A.|last7=Socquet|first7=A.|last8=Kostoglodov|first8=V.|date=2017-12|title=A geodetic matched filter search for slow slip with application to the Mexico subduction zone: GEODETIC MATCHED FILTER FOR SLOW SLIP|url=http://doi.wiley.com/10.1002/2017JB014448|journal=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volume=122|issue=12|pages=10,498–10,514|language=en|doi=10.1002/2017JB014448}}</ref>와 [[미국]] [[알래스카주]]의 [[알류샨 해구]]에서도 발생하기도 했다.<ref>{{Cite journal|last=Rousset|first=Baptiste|last2=Fu|first2=Yuning|last3=Bartlow|first3=Noel|last4=Bürgmann|first4=Roland|date=2019-12|title=Weeks‐Long and Years‐Long Slow Slip and Tectonic Tremor Episodes on the South Central Alaska Megathrust|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29/2019JB018724|journal=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volume=124|issue=12|pages=13392–13403|language=en|doi=10.1029/2019JB018724|issn=2169-9313}}</ref>

==== 단기 슬로우 슬립과 군발지진 ====
단기 슬로우 슬립과 [[군발지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현상은 [[사가미 해곡]]의 [[보소반도]] 해역,<ref name=":64" /><ref name=":48" /> [[일본 해구]],<ref name=":11" /><ref name=":13">{{Cite journal|last=Ito|first=Yoshihiro|last2=Hino|first2=Ryota|last3=Kido|first3=Motoyuki|last4=Fujimoto|first4=Hiromi|last5=Osada|first5=Yukihito|last6=Inazu|first6=Daisuke|last7=Ohta|first7=Yusaku|last8=Iinuma|first8=Takeshi|last9=Ohzono|first9=Mako|date=2013-07-17|title=Episodic slow slip events in the Japan subduction zone before the 2011 Tohoku-Oki earthquake|url=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40195112004994|journal=Tectonophysics|volume=600|pages=14-26|language=en|doi=10.1016/j.tecto.2012.08.022|issn=0040-1951}}</ref> [[뉴질랜드]]의 [[히쿠란기 해구]],<ref>{{Cite journal|last=Delahaye|first=E.J.|last2=Townend|first2=J.|last3=Reyners|first3=M.E.|last4=Rogers|first4=G.|date=2009-01|title=Microseismicity but no tremor accompanying slow slip in the Hikurangi subduction zone, New Zealand|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12821X08006419|journal=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volume=277|issue=1-2|pages=21–28|language=en|doi=10.1016/j.epsl.2008.09.038}}</ref> [[에콰도르 해구]],<ref>{{Cite journal|last=Vallée|first=Martin|last2=Nocquet|first2=Jean-Mathieu|last3=Battaglia|first3=Jean|last4=Font|first4=Yvonne|last5=Segovia|first5=Monica|last6=Régnier|first6=Marc|last7=Mothes|first7=Patricia|last8=Jarrin|first8=Paul|last9=Cisneros|first9=David|date=2013-06|title=Intense interface seismicity triggered by a shallow slow slip event in the Central Ecuador subduction zone|url=https://doi.org/10.1002/jgrb.50216|journal=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volume=118|issue=6|pages=2965–2981|doi=10.1002/jgrb.50216|issn=2169-9313}}</ref> [[페루 해구]],<ref>{{Cite journal|last=Villegas-Lanza|first=J. C.|last2=Nocquet|first2=J.-M.|last3=Rolandone|first3=F.|last4=Vallée|first4=M.|last5=Tavera|first5=H.|last6=Bondoux|first6=F.|last7=Tran|first7=T.|last8=Martin|first8=X.|last9=Chlieh|first9=M.|date=2016-02|title=A mixed seismic–aseismic stress release episode in the Andean subduction zone|url=http://www.nature.com/articles/ngeo2620|journal=Nature Geoscience|volume=9|issue=2|pages=150–154|language=en|doi=10.1038/ngeo2620|issn=1752-0894}}</ref> [[하와이]]의 [[킬라우에아산]]<ref name=":47" /> 등에서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2022년에는 난카이 해곡의 [[구마노나다]]에서도 단기 슬로우 슬립과 미세한 판 경계의 군발지진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ref name=":67">{{Cite journal|last=Yamamoto|first=Yojiro|last2=Yada|first2=Shuichiro|last3=Ariyoshi|first3=Keisuke|last4=Hori|first4=Takane|last5=Takahashi|first5=Narumi|date=2022-06-03|title=Seismicity distribution in the Tonankai and Nankai seismogenic zones and its spatiotemporal relationship with interplate coupling and slow earthquakes|url=https://doi.org/10.1186/s40645-022-00493-4|journal=Progress in Earth and Planetary Science|volume=9|issue=1|pages=32|doi=10.1186/s40645-022-00493-4|issn=2197-4284}}</ref>

==== 저주파 미소진동과 군발지진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4월 4일 (화) 00:24 판

해구 부근의 판 경계의 단면도. 슬로우 슬립은 대부분의 경우 그림에서 노란색 영역인 6번 전이영역에서 발생한다.

슬로우 슬립(Slow Slip)[1][2]지진학에서 일반적인 지진의 미끄러짐(슬립)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을 말한다.[3] 느린 지진(Slow earthquake)[4][5][6]이나 여린 지진[7]이라고도 부른다. 해구섭입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8] 또한 하나의 판 안에 있는 단층면에서도 볼 수 있다.[9]

특히 여기서 느린 지진은 같은 규모의 일반적인 지진에 비해 단층이 매우 천천히 미끄러지는 현상을 한데 묶어 말한다.[10] 여기서 느린 지진에는 저주파 지진, 저주파 미소진동, 초저주파 지진, 단기적 슬로우 슬립, 장기적 슬로우 슬립 등 다양한 시간대를 두고 일어나는 느린 단층 미끄러짐 현상을 말한다.[10] 여기서 저주파 지진은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구축한 고감도 지진관측망에서 처음으로 관측해서 발견했다.[11][12]

저주파 미소진동(low-frequency tremor)은 영어로 tectonic tremor, 혹은 non-volcanic tremor라고도 불리며[13][14] 각각 구조성 미동 혹은 비화산성 미동이라 불린다.[15][16] 슬로우 슬립은 약어로 SSE(Slow Slip Event)라고 부르기도 한다.[17]

느린 지진과 비교하여 보통의 지진을 "빠른 지진"(Fast earthquake)라고 부르기도 한다.[18]

슬로우 슬립이 보통의 지진보다 느리다는 말은 단층이 파괴되는 속도가 느리다는 말이지만[10] 단층 파괴 영역이 넓어지는 속도(단층 파괴 속도)가 느리다는 말이기도 하다.[4] 저주파 지진, 저주파 미소진동, 초저주파 지진은 지진계로 관측할 수 있으며 각각 지진동의 주파수가 일반적인 미소지진보다 매우 낮으며[19] 지진동이 미약하고 지속시간이 매우 길고[11] 지진동이 주기 10-100초 부근의 대역에서 비교적 강하고 매우 느리다는 특징이 있다.[20] 슬로우 슬립은 GPS, 변형계, 경사계, 해저압력계 등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지속시간이 수 일인 단기 슬로우 슬립과 지속시간이 수개월에서 수년으로 긴 장기 슬로우 슬립으로 나뉜다.[21] 하지만 두 종류의 중간 기간인 약 1개월에서 3개월 사이의 슬로우 슬립도 관측되기 때문에 단기 슬로우 슬립과 장기 슬로우 슬립의 구분이 항상 명확하지는 않다.[22]

원인과 특성

판 경계의 특성

해양 지각대륙 지각 아래로 가라앉는 섭입대에서는 해구가 형성되어 판과 판 사이의 경계가 서로 밀착되어 고정되고(Locked), 고착 영역이라고 부르는 판과 판이 서로 움직이지 않는 영역이 생긴다.[23] 판과 판 사이 경계면이 움직이지 않는 현상을 "미끄럼 결손"이라 말하기도 한다.[23] 고착 영역은 오랜 시간 움직이지 않은 채 계속 변형력이 쌓이다가[24] 지진이 일어나면 한꺼번에 미끄러지듯 움직인다.[23] 이 때 가라앉는 해양판은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융기하는 대륙판은 그 방향과는 반대로 움직인다. 지진이 일어났을 때 단층이 크게 어긋난 곳을 애스패리티라고 부른다.[23] 애스패리티와 고착 영역은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대지진이 일어날 때 애스패리티와 고착 영역(미끄럼 결손이 가장 큰 영역)은 거의 비슷하다.[23]

고착 영역은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곳도 있고,[23] 고착 영역이 고르게 쭉 분포하는 곳도 있으며[25] 그 크기와 분포도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26] 난카이 해곡, 일본 해구쿠릴-캄차카 해구 남단에서는 GPS 데이터를 통해 거대한 고착 영역이 분포한 것으로 추정되며[26]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해구와 거의 평행하게 고착 영역이 분포한다. 고착 영역의 분포는 판과 판 사이 경계면의 온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착 영역이 유지될 수 있는 온도의 하한선은 350°C 정도로 알려져 있다.[27] 하지만 고착 영역의 분포에 대한 상세한 상관관계는 온도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판과 판의 경계면 형상, 침강하는 판에 쌓인 퇴적물, 침강한 지각에 있는 해산의 유무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27]

고착 영역 인근 지역(판과 판의 경계 바로 깊은 쪽과 얕은 쪽)에서는 슬로우 슬립이 일어나면서 가라앉는 부분(슬로우 슬립 발생역역, 혹은 전이영역)이 길게 분포하고 있으며,[10][28] 그보다 더 깊은 쪽에서는 고착 영역이 없고[10] 지진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침강하는 지역(안정적 미끄러짐 영역, 혹은 정상 미끄러짐 영역)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29][30] 또한 난카이 해곡에서는 고착 영역에서 바로 얕은 쪽의 슬로우 슬립 발생 영역이 바로 깊은 쪽의 슬로우 슬립 발생 영역보다 더 불연속적으로 분포함이 보인다.[10]

슬로우 슬립의 매커니즘

단층면의 마찰역학에 근거해 판 경계가 이동하는 방식을 모델링할 경우,[31] 고착 영역은 동적(즉 관성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불안정 슬립(자발적으로 진행되는 슬립)이 일어나는 특성이, 전이 영역은 준정적(관성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음) 불안정 슬립이 일어나는 특성이 있으며 안정적 미끄러짐 영역은 안정적 슬립(비자발적 슬립)을 일으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31][32][33] 간단하게 말하면 고착 영역은 큰 지진동을 동반한 지진이, 전이 영역은 지진동을 거의 동반하지 않는 지진이나 '슬립'(슬로우 슬립), 안정적 미끄러짐 영역은 지진동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부드러운 '슬립'이 일어난다. 다만 지진이 일어날 때 고속으로 미끄러지면서 단층면의 마찰력이 크게 감소함을 고려한 모델에서는 어느 시점에서 안정적 미끄러짐 영역에서라도 대지진이 일어날 때 큰 고속 슬립이 발생하며 단층의 움직임도 매우 복잡하게 나타난다.[34]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슬로우 슬립은 판 경계면의 준정적 불안정 슬립으로 모델링할 수 있지만[31] 실제 섭입대에서 어떠한 지질학적 환경인지, 광물상과 암석의 분포, 변성 반응의 정도로 어떠한 변형 매커니즘이 정확하게 판 경계에서 슬로우 슬립 같은 변형이 일어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35] 아래 슬로우 슬립이 발생하는 사례에서와 같이 슬로우 슬립은 다양한 섭입대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나타나며, 어떠한 단일 광물상이나 암석, 변형반응, 매커니즘이 직접 슬로우 슬립을 일으킨다고 말하기는 어렵고[35] 지질학적으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변형 과정이 지진학적, 지형학적으로 동일한 슬로우 슬립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35] 다만 느린 지진에서 발생하는 지질학적 세부 사항을 언급하지 않고 주로 단층의 마찰역학적 슬립을 기반으로 느린 지진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는 많다.[31][36] 하지만 이런 많은 연구에서 나온 발생 원인 후보들 중 지진학, 측지학적 관측이나 지질학적 관찰을 통해 슬로우 슬립 발생 지역에서 실제로 일어났음이 확인된 매커니즘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느린 지진의 분류에서 설명한 다양한 "느린 지진"의 갈래들이 동일한 물리학적 과정으로 발생하는 현상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물리학적 과정으로 발생하는 현상인지도 밝혀지지 않았다.

이와 같이 슬로우 슬립의 물리학적 발생 원인이나 다양한 느린 지진의 지질학적 정체에 대해 밝혀진 것은 거의 없다. 하지만 판 경계에 분포하는 고압의 이 슬로우 슬립의 물리적 과정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은 다양한 지진학 및 지질학적 관찰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35] 예를 들어 느린 지진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Vp/Vs(지진파의 P파 속도와 S파 속도의 비율)이 높고,[37] 느린 지진, 특히 저주파 미소진동에서 조석력에 대한 반응성이 매우 높으며[38]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지진의 표면파로 발생한 작은 응력 변화로 느린 지진, 특히 저주파 미소진동이 발생한다는 점,[39] 과거에는 판 경계의 느린 지진 발생 영역을 구성했던 암석을 광상학적으로 분석하면 암반의 크랙석영이 채워진 광물맥이 다수 존재한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된다.[40] 하지만 판 경계에 존재하는 고압의 물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여러 종류의 느린 지진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느린 지진의 동시 발생 현상

여러 종류의 느린 지진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나[41][42] 느린 지진과 일반적인 지진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도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43][44] 예를 들어 2010년 휴가나다에서 시코쿠 해역 분고 수도 지역에 발생한 느린 지진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난카이 해곡의 판 경계에서는 깊이에 따라 총 3가지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 3가지 종류의 지진은 약 6년 주기로 서로 연동하여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45]

  1. 깊이 30-40 km: 심부 저주파 미동 - P파와 S파의 구분이 불명확한 주기 0.5초의 미약한 진동 현상으로 수 일 정도 지속된다.
  2. 깊이 30 km 부근: 슬로우 슬립 사건 - 지진동을 일으키지 않는 정도의 느린 단층 이동 운동이 발생한다. 최대 수 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3. 깊이 5 km 부근: 초저주파 지진 - 1초보다 짧은 주기의 성분이 없는 주기 10초-100초의 느린 지진동을 일으키는 지진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조합의 느린 지진과 일반적인 지진이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 아래에서는 동시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예시를 소개한다.

정상 미끄러짐

단기 슬로우 슬립과 저주파 미소진동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정상 미끄러짐(ETS)라고 부른다.[46] 이런 동시 발생 현상은 2003년 북아메리카 대륙 서안에 있는 캐스케이디아 섭입대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46] 난카이 해곡 판 경계 깊은 곳과 얕은 곳에서도 정상 미끄러짐의 발생이 확인되었다.[47] 또한 단기 슬로우 슬립과 저주파 미소진동 외에도 초저주파 지진도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41] 캐스케이디아 섭입대와 난카이 해곡 외에도 코스타리카멕시코의 태평양 쪽 중앙아메리카 해구[48][49]미국 알래스카주알류샨 해구에서도 발생하기도 했다.[50]

단기 슬로우 슬립과 군발지진

단기 슬로우 슬립과 군발지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현상은 사가미 해곡보소반도 해역,[51][44] 일본 해구,[43][52] 뉴질랜드히쿠란기 해구,[53] 에콰도르 해구,[54] 페루 해구,[55] 하와이킬라우에아산[9] 등에서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2022년에는 난카이 해곡의 구마노나다에서도 단기 슬로우 슬립과 미세한 판 경계의 군발지진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56]

저주파 미소진동과 군발지진

같이 보기

각주

  1. “海底「ゆっくりすべり」観測成功 南海トラフ解明に一助”.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年1月16日에 확인함. 
  2. “第3部応用編 ゆっくり地震-1 Webテキスト測地学”. 《www.geod.jpn.org》. 日本測地学会. 2021년 10월 14일에 확인함. 
  3. “地震予測の最新研究 スロースリップとは”. 《NHKニュース》 (日本放送協会). 2013년 5월 28일. 2013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4. “新学術領域研究スロー地震学「領域概要」”. 新学術領域研究スロー地震学. 2021年10月7日에 확인함. 
  5. 地震予知連絡会会報第84巻 12-12 東海地域の割れ残りと長期スローイベントとの関係 地震予知連絡会 (PDF)
  6. “史上最長、32年間続いた「ゆっくり地震」を解明”.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サイト. 2021年10月7日에 확인함. 
  7. 防災用語集>ぬるぬる地震とは ハザードラボ틀:リンク切れ
  8. “地震調査研究の最前線 気になる地震スロースリップ”. 政府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21年10月8日에 확인함. 
  9.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47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0. 南海トラフで発生しているスロー地震について 地震予知連絡会 (PDF)
  11. 小原一成 (2003). “断層帯の物質科学と地震の発生過程 深部低周波微動の時系列的特徴―トリガー現象と周期性―:トリガー現象と周期性”. 《地學雜誌》 (東京地学協会) 112 (6): 837–849. doi:10.5026/jgeography.112.6_837. ISSN 0022-135X. NAID 130000794624. 
  12. 短期的スロースリップ・深部低周波微動 地震予知連絡会 (PDF)
  13. Idehara, Koki; Yabe, Suguru; Ide, Satoshi (2014년 7월 7일). “Regional and global variations in the temporal clustering of tectonic tremor activity”. 《Earth, Planets and Space》 66 (1): 66. doi:10.1186/1880-5981-66-66. ISSN 1880-5981. 
  1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2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5. K, TODD Erin; Y, SCHWARTZ Susan (2016). “Tectonic tremor along the northern Hikurangi Margin, New Zealand, between 2010 and 2015 / 2010年から2015年までの間でのニュージーランド,北部ヒクランギ縁辺に沿った構造性微動”.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영어) (Wiley Online Library) 121 (12): 8706–8719. doi:10.1002/2016JB013480. ISSN 2169-9313. 
  16. 地震予知連絡会会報第82巻 12-9 球潮汐と同期して起こる深部非火山性微動 地震予知連絡会 (PDF)
  17. 防災科研ニュース No.169(2009年秋号)特集:地震研究最前線 防災科学技術研究所 (PDF)
  18. “領域概要 – Slow-to-Fast地震学|令和3〜7年度 文部科学省 科学研究費助成事業 学術変革領域研究(A)”. 《slow-to-fast-eq.org》. 2022년 9월 19일에 확인함. 
  19. “低周波地震 | 地震本部”. 《www.jishin.go.jp》. 2021년 11월 1일에 확인함. 
  20. 深部低周波微動/低周波地震/超低周波地震ってなんだ? 日本地震学会広報誌なゐふるNo.106(2016年7月) 日本地震学会 (PDF)
  21. “スロースリップ(ゆっくりすべり) | 地震本部”. 《www.jishin.go.jp》. 2021년 10월 10일에 확인함. 
  22. Kano, Masayuki; Fukuda, Jun'ichi; Miyazaki, Shin'ichi; Nakamura, Mamoru (2018년 8월 29일). “Spatiotemporal Evolution of Recurrent Slow Slip Events Along the Southern Ryukyu Subduction Zone, Japan, From 2010 to 2013”.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영어). doi:10.1029/2018JB016072. 
  23. “Webテキスト 測地学 第3部応用編 プレート間カップリング-6”. 《www.geod.jpn.org》. 日本測地学会. 2021년 10월 9일에 확인함. 
  24. 鷺谷威, 大坪誠 (2019). “日本列島の地殻ひずみ速度: 測地学的データと地質・地形学的データの統一的理解”. 《地学雑誌》 (東京地学協会) 128 (5): 689–705. doi:10.5026/jgeography.128.689. ISSN 0022-135X. NAID 130007745827. 
  25. 日本各地域の繰り返し相似地震発生状況に関する研究 気象研究所技術報告第72号 気象研究所 (PDF)
  26.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前・後の東日本の地殻変動の変化とGPSデータから推定される固着域 | 国土地理院”. 《産総研地質調査総合センター》. 2021년 10월 9일에 확인함. 
  27. “Webテキスト測地学 第3部応用編 プレート間カップリング-5”. 《www.geod.jpn.org》. 日本測地学会. 2021년 10월 9일에 확인함. 
  28. Kawasaki, Ichiro (2004년 8월 1일). “Silent earthquakes occurring in a stable-unstable transition zone and implications for earthquake prediction”. 《Earth, Planets and Space》 56 (8): 813–821. doi:10.1186/BF03353088. ISSN 1880-5981. 
  29. “1994年東南海断層モデルと未破壊領域の境界1 : 防災情報のページ - 内閣府”. 《www.bousai.go.jp》. 2021년 10월 9일에 확인함. 
  30. 一成, 小原 (2009). “フィリピン海プレート沈み込みに伴う浅部および深部スロー地震群”. 《地質学雑誌》 115 (9): 437–447. doi:10.5575/geosoc.115.437. 
  31. 芝崎文一郎 (2009). “沈み込み帯深部で発生するスロースリップイベントのモデル化”. 《地震 第2輯》 (日本地震学会) 61 (Supplement): 415–423. doi:10.4294/zisin.61.415. ISSN 0037-1114. NAID 130004721055. 
  32. 新たな地震「ゆっくり地震」のスケール法則を発見 ネイチャー・アジア (PDF)
  33. 廣瀬仁 (2002). “断層すべりの多様性 : 速度状態依存摩擦則に基づく沈み込み帯3次元地震発生サイクルシミュレーション” (PDF) (名古屋大学 博士 (理学)、 甲第5601号). NAID 500000227996. 
  34. “プレスリリース 海洋研究開発機構 断層が複雑な挙動を示す可能性を数値計算により実証”. 《www.jamstec.go.jp》. 2021년 10월 10일에 확인함. 
  35. Kirkpatrick, James D.; Fagereng, Åke; Shelly, David R. (2021년 4월). “Geological constraints on the mechanisms of slow earthquakes”. 《Nature Reviews Earth & Environment》 (영어) 2 (4): 285–301. doi:10.1038/s43017-021-00148-w. ISSN 2662-138X. 
  36. Im, Kyungjae; Saffer, Demian; Marone, Chris; Avouac, Jean-Philippe (2020년 10월). “Slip-rate-dependent friction as a universal mechanism for slow slip events”. 《Nature Geoscience》 (영어) 13 (10): 705–710. doi:10.1038/s41561-020-0627-9. ISSN 1752-0908. 
  37. Shelly, David R.; Beroza, Gregory C.; Ide, Satoshi; Nakamula, Sho (2006년 7월). “Low-frequency earthquakes in Shikoku, Japan, and their relationship to episodic tremor and slip”. 《Nature》 (영어) 442 (7099): 188–191. doi:10.1038/nature04931. ISSN 1476-4687. 
  38. Ide, Satoshi (2010년 7월). “Striations, duration, migration and tidal response in deep tremor”. 《Nature》 (영어) 466 (7304): 356–359. doi:10.1038/nature09251. ISSN 1476-4687. 
  39. Rubinstein, Justin L.; Vidale, John E.; Gomberg, Joan; Bodin, Paul; Creager, Kenneth C.; Malone, Stephen D. (2007년 8월). “Non-volcanic tremor driven by large transient shear stresses”. 《Nature》 (영어) 448 (7153): 579–582. doi:10.1038/nature06017. ISSN 1476-4687. 
  40. Ujiie, Kohtaro; Saishu, Hanae; Fagereng, Åke; Nishiyama, Naoki; Otsubo, Makoto; Masuyama, Haruna; Kagi, Hiroyuki (2018년 6월 6일). “An Explanation of Episodic Tremor and Slow Slip Constrained by Crack‐Seal Veins and Viscous Shear in Subduction Mélang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5 (11): 5371–5379. doi:10.1029/2018gl078374. ISSN 0094-8276. 
  4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3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42. 東海地域における短期的スロースリップイベント及び深部低周波微動の連続的な移動(2006年1月) 防災科学技術研究所 (PDF)
  43. Kawasaki, Ichiro; Asai, Yasuhiro; Tamura, Yoshiaki; Sagiya, Takeshi; Mikami, Naoya; Okada, Yoshimitsu; Sakata, Masaharu; Kasahara, Minoru (1995). “The 1992 Sanriku-Oki, Japan, Ultra-Slow Earthquake”. 《Journal of Physics of the Earth》 (영어) 43 (2): 105–116. doi:10.4294/jpe1952.43.105. 
  44.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48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45. 3つの異なる「スロー地震」の連動現象の発見 (PDF) 最新成果事例集2014 防災科学技術研究所
  46. Rogers, Garry; Dragert, Herb (2003년 6월 20일). “Episodic Tremor and Slip on the Cascadia Subduction Zone: The Chatter of Silent Slip”. 《Science》 (영어) 300 (5627): 1942–1943. doi:10.1126/science.1084783. ISSN 0036-8075. 
  47. Obara, Kazushige; Hirose, Hitoshi; Yamamizu, Fumio; Kasahara, Keiji (2004년 12월 16일). “Episodic slow slip events accompanied by non-volcanic tremors in southwest Japan subduction zone: EPISODIC SLOW SLIP AND TREMOR IN JAPA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영어) 31 (23). doi:10.1029/2004GL020848. 
  48. Walter, Jacob I.; Schwartz, Susan Y.; Protti, Marino; Gonzalez, Victor (2013년 4월 28일). “The synchronous occurrence of shallow tremor and very low frequency earthquakes offshore of the Nicoya Peninsula, Costa Rica: VLFES DURING SLOW SLIP IN COSTA RIC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영어) 40 (8): 1517–1522. doi:10.1002/grl.50213. 
  49. Rousset, B.; Campillo, M.; Lasserre, C.; Frank, W. B.; Cotte, N.; Walpersdorf, A.; Socquet, A.; Kostoglodov, V. (2017년 12월). “A geodetic matched filter search for slow slip with application to the Mexico subduction zone: GEODETIC MATCHED FILTER FOR SLOW SLIP”.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영어) 122 (12): 10,498–10,514. doi:10.1002/2017JB014448. 
  50. Rousset, Baptiste; Fu, Yuning; Bartlow, Noel; Bürgmann, Roland (2019년 12월). “Weeks‐Long and Years‐Long Slow Slip and Tectonic Tremor Episodes on the South Central Alaska Megathrus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영어) 124 (12): 13392–13403. doi:10.1029/2019JB018724. ISSN 2169-9313. 
  5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64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52. Ito, Yoshihiro; Hino, Ryota; Kido, Motoyuki; Fujimoto, Hiromi; Osada, Yukihito; Inazu, Daisuke; Ohta, Yusaku; Iinuma, Takeshi; Ohzono, Mako (2013년 7월 17일). “Episodic slow slip events in the Japan subduction zone before the 2011 Tohoku-Oki earthquake”. 《Tectonophysics》 (영어) 600: 14–26. doi:10.1016/j.tecto.2012.08.022. ISSN 0040-1951. 
  53. Delahaye, E.J.; Townend, J.; Reyners, M.E.; Rogers, G. (2009년 1월). “Microseismicity but no tremor accompanying slow slip in the Hikurangi subduction zone, New Zealand”.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영어) 277 (1-2): 21–28. doi:10.1016/j.epsl.2008.09.038. 
  54. Vallée, Martin; Nocquet, Jean-Mathieu; Battaglia, Jean; Font, Yvonne; Segovia, Monica; Régnier, Marc; Mothes, Patricia; Jarrin, Paul; Cisneros, David (2013년 6월). “Intense interface seismicity triggered by a shallow slow slip event in the Central Ecuador subduction zon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118 (6): 2965–2981. doi:10.1002/jgrb.50216. ISSN 2169-9313. 
  55. Villegas-Lanza, J. C.; Nocquet, J.-M.; Rolandone, F.; Vallée, M.; Tavera, H.; Bondoux, F.; Tran, T.; Martin, X.; Chlieh, M. (2016년 2월). “A mixed seismic–aseismic stress release episode in the Andean subduction zone”. 《Nature Geoscience》 (영어) 9 (2): 150–154. doi:10.1038/ngeo2620. ISSN 1752-0894. 
  56. Yamamoto, Yojiro; Yada, Shuichiro; Ariyoshi, Keisuke; Hori, Takane; Takahashi, Narumi (2022년 6월 3일). “Seismicity distribution in the Tonankai and Nankai seismogenic zones and its spatiotemporal relationship with interplate coupling and slow earthquakes”. 《Progress i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9 (1): 32. doi:10.1186/s40645-022-00493-4. ISSN 2197-4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