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세포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Yhhoong (토론 | 기여)
Yhhoong (토론 | 기여)
2번째 줄: 2번째 줄:


== 분해대사 ==
== 분해대사 ==
'''분해대사'''는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고분자를 쪼개는 대사 과정이다. [[녹말]], [[셀룰로스]], [[단백질]] 등의 고분자는 세포 내로 빠르게 흡수될 수 없고, 세포 대사에 이용되기 전에 더 작은 단위로 분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효소 몇몇이 이러한 중합체를 소화한다. 소화 효소에는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다당류를 단당류 같은 단순한 당으로 분해하는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글리코시데이스) 등이 있다. 미생물은 단순히 주변에 소화 효소를 분비하고,<ref>{{저널 인용|제목=Bacterial extracellular zinc-containing metalloproteases.|저널=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성=Häse|이름=C. C.|성2=Finkelstein|이름2=R. A.|url=https://mmbr.asm.org/content/57/4/823|날짜=1993-12-01|권=57|호=4|쪽=823–837|언어=en|issn=1092-2172|pmid=8302217}}</ref><ref>{{저널 인용|제목=Bacterial lipases: an overview of production,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properties|저널=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성=Gupta|이름=R.|성2=Gupta|이름2=N.|url=https://doi.org/10.1007/s00253-004-1568-8|날짜=2004-06-01|권=64|호=6|쪽=763–781|언어=en|doi=10.1007/s00253-004-1568-8|issn=1432-0614|성3=Rathi|이름3=P.}}</ref> 동물만이 특수한 세포에서 장으로 효소를 분비한다.<ref>{{저널 인용|제목=The digestive system: linking theory and practice|저널=British Journal of Nursing|성=Hoyle|이름=Terence|url=https://www.magonlinelibrary.com/doi/abs/10.12968/bjon.1997.6.22.1285|날짜=1997-12-11|권=6|호=22|쪽=1285–1291|doi=10.12968/bjon.1997.6.22.1285|issn=0966-0461}}</ref> 세포 바깥에서 효소가 고분자를 분해하여 만들어낸 아미노산과 당은 [[능동수송]] 단백질을 통해 세포 내로 운반된다.<ref>{{저널 인용|제목=Review: How Amino Acids Get Into Cells: Mechanisms, Models, Menus, and Mediators|저널=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성=Souba|이름=Wiley W.|성2=Pacitti|이름2=Anthony J.|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77/0148607192016006569|날짜=1992|권=16|호=6|쪽=569–578|언어=en|doi=10.1177/0148607192016006569|issn=1941-2444}}</ref><ref>{{저널 인용|제목=Structure and function of facultative sugar transporters|저널=Current Opinion in Cell Biology|성=Barrett|이름=Michael P|성2=Walmsleyt|이름2=Adrian R|url=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55067499800726|날짜=1999-08-01|권=11|호=4|쪽=496–502|언어=en|doi=10.1016/S0955-0674(99)80072-6|issn=0955-0674|성3=Gould|이름3=Gwyn W}}</ref>
'''분해대사'''는 복잡한 분자를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쪼개는 세포대사이다. 분해 반응은 일반적으로 [[발열반응]]이다.


=== 탄수화물 분해대사 ===
=== 탄수화물 분해대사 ===

2020년 5월 7일 (목) 23:22 판

세포대사(細胞代謝, 영어: cell metabolism)는 유기체를 이루고 있는 세포가 영양소 분자를 처리해서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이다. 세포대사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분해대사로 복잡한 분자를 에너지를 얻기 위해 분해하는 과정이며, 또 다른 하나는 합성대사로 에너지를 소비해서 보다 복잡한 분자를 합성하며 세포 구조를 형성하는 등의 생명 활동을 하는 것이다. 세포대사는 대사경로라고 불리는 매우 복잡한 일련의 화학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해대사

분해대사는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고분자를 쪼개는 대사 과정이다. 녹말, 셀룰로스, 단백질 등의 고분자는 세포 내로 빠르게 흡수될 수 없고, 세포 대사에 이용되기 전에 더 작은 단위로 분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효소 몇몇이 이러한 중합체를 소화한다. 소화 효소에는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다당류를 단당류 같은 단순한 당으로 분해하는 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글리코시데이스) 등이 있다. 미생물은 단순히 주변에 소화 효소를 분비하고,[1][2] 동물만이 특수한 세포에서 장으로 효소를 분비한다.[3] 세포 바깥에서 효소가 고분자를 분해하여 만들어낸 아미노산과 당은 능동수송 단백질을 통해 세포 내로 운반된다.[4][5]

탄수화물 분해대사

탄수화물 분해대사는 탄수화물을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인 탄수화물의 화학식은 CX(H2YOY)이며, 단량체(monomer) 역시도 비슷하다. 결합체가 가지고 있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추출하기 위해 탄수화물은 대게 단당류로 소화된 다음 세포로 유입된다.[6] 세포로 들어온 단당류(포도당이나 과당)는 해당과정을 거치면서 피루브산으로 전환되고 ATP가 만들어진다.[7] 피루브산은 몇몇 대사 회로의 중간체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아세틸 조효소 A(아세틸-CoA)로 전환되어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간다. 시트르산 회로에서 ATP가 더 많이 생산되기는 하지만, 이 회로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물은 아세틸-CoA가 산화되면서 NAD+에서 생산된 NADH이다. 무산소 조건에서는 젖산 탈수소효소의 작용으로 해당과정을 통해 젖산이 생산되고, NADH는 해당과정에서 재사용되기 위해서 NAD+로 재산화된다. 포도당은 오탄당 인산 경로라는 다른 경로로 분해될 수도 있다. 오탄당 인산 경로는 조효소 NADPH를 환원하고, 핵산의 구성 성분인 리보스와 같은 오탄당을 생산하는 과정이다.

지방 분해대사

지방 분해대사는 지질이나 인지질라이페이스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과정이다. 지방 분해대사의 반대 과정은 지방 합성대사로 에너지의 저장 및 세포막 합성에 관여한다.

단백질 분해대사

단백질 분해대사는 단백질아미노산 및 기타 단순한 화합물로 분해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단순한 아미노산은 세포막을 통해 세포내외로 운반되며 RNA리보솜중합반응을 통해 새로운 단백질로 합성된다.

합성대사

합성대사는 에너지를 소모하여 아미노산과 같은 단순한 물질로부터 효소핵산과 같은 보다 복잡한 화합물을 합성해 내는 물질대사 과정이다.

같이 보기

  1. Häse, C. C.; Finkelstein, R. A. (1993년 12월 1일). “Bacterial extracellular zinc-containing metalloproteases.”.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영어) 57 (4): 823–837. ISSN 1092-2172. PMID 8302217. 
  2. Gupta, R.; Gupta, N.; Rathi, P. (2004년 6월 1일). “Bacterial lipases: an overview of production,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propertie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영어) 64 (6): 763–781. doi:10.1007/s00253-004-1568-8. ISSN 1432-0614. 
  3. Hoyle, Terence (1997년 12월 11일). “The digestive system: linking theory and practice”. 《British Journal of Nursing》 6 (22): 1285–1291. doi:10.12968/bjon.1997.6.22.1285. ISSN 0966-0461. 
  4. Souba, Wiley W.; Pacitti, Anthony J. (1992). “Review: How Amino Acids Get Into Cells: Mechanisms, Models, Menus, and Mediator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영어) 16 (6): 569–578. doi:10.1177/0148607192016006569. ISSN 1941-2444. 
  5. Barrett, Michael P; Walmsleyt, Adrian R; Gould, Gwyn W (1999년 8월 1일). “Structure and function of facultative sugar transporters”. 《Current Opinion in Cell Biology》 (영어) 11 (4): 496–502. doi:10.1016/S0955-0674(99)80072-6. ISSN 0955-0674. 
  6. Bell, G. I.; Burant, C. F.; Takeda, J.; Gould, G. W. (1993년 9월 15일). “Structure and function of mammalian facilitative sugar transporter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영어) 268 (26): 19161–19164. ISSN 0021-9258. PMID 8366068. 
  7. Bouché, Clara; Serdy, Shanti; Kahn, C. Ronald; Goldfine, Allison B. (2004년 10월 1일). “The Cellular Fate of Glucose and Its Relevance in Type 2 Diabetes”. 《Endocrine Reviews》 (영어) 25 (5): 807–830. doi:10.1210/er.2003-0026. ISSN 0163-76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