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03번째 줄: 103번째 줄:
* {{서적 인용| 성 = Zettl| 이름 = Anton| title = Sturm–Liouville theory| publisher=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날짜 = 2005| isbn= 0-8218-3905-5|언어=en}}
* {{서적 인용| 성 = Zettl| 이름 = Anton| title = Sturm–Liouville theory| publisher=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날짜 = 2005| isbn= 0-8218-3905-5|언어=en}}
* {{서적 인용| 성 = Teschl| 이름 = Gerald| title =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and dynamical systems| 출판사=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날짜 = 2012| isbn= 978-0-8218-8328-0| url = http://www.mat.univie.ac.at/~gerald/ftp/book-ode/ | 언어=en}}
* {{서적 인용| 성 = Teschl| 이름 = Gerald| title =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and dynamical systems| 출판사=American Mathematical Society|날짜 = 2012| isbn= 978-0-8218-8328-0| url = http://www.mat.univie.ac.at/~gerald/ftp/book-ode/ | 언어=en}}
* {{ 인용|url=http://www.math.niu.edu/SL2/papers/birk0.pdf | 날짜=2004|제목=A Catalogue of Sturm-Liouville differential equations|이름=W. N.|성=Everitt|언어=en}}
* {{서적 인용|장url=http://www.math.niu.edu/SL2/papers/birk0.pdf | 날짜=2004|=A catalogue of Sturm-Liouville differential equations|이름=W. N.|성=Everitt|제목=Sturm-Liouville Theory, Past and Present|출판사=Birkhäuser|날짜=2005|쪽=271–331|editor1-first=A. M.|editor1-last=Hinz|editor2-first=D. B.|editor2-last=Pearson|doi=10.1007/3-7643-7359-8_12|언어=en}}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2019년 3월 16일 (토) 14:18 판

상미분 방정식 이론에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Sturm-Liouville演算子, 영어: Sturm–Liouville operator)는 이산 스펙트럼을 갖는 특별한 형태의 2차 미분 연산자이다. 그 고유 함수에 대한 2차 상미분 방정식스튀름-리우빌 방정식(Sturm-Liouville方程式, 영어: Sturm–Liouville equation)이라고 하며, 이에 대한 이론을 스튀름-리우빌 이론(Sturm-Liouville理論, 영어: Sturm–Liouville theory)이라고 한다. 모든 2차 상미분 방정식은 항상 스튀름-리우빌 형으로 놓을 수 있다.

정의

실수의 닫힌구간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 위의 2차 연속 미분 가능 함수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꼴의 2차 미분 연산자이다.

여기서

  • 는 양의 실수 값의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 연속 함수이다.
  • 는 양의 실수 값의 연속 함수이다. (이를 무게 함수 영어: weight function라고 한다.)

닫힌구간 위의 로뱅 경계 조건(Robin境界條件, 영어: Robin boundary condition)이란 위의 연속 미분 가능 함수에 대한, 다음과 같은 꼴의 경계 조건이다.

여기서, 다음 조건이 성립해야 한다.

  • 또는 가운데 하나 이상이 0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또는 가운데 하나 이상이 0이 아니다.

즉, 는 각각 실수 사영 직선 의 두 점의 동차 좌표를 이룬다.

로뱅 경계 조건을 골랐다면,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힐베르트 공간

위의 자기 수반 작용소로 유일하게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확대는 선택한 로뱅 경계 조건에 의존한다.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고유 함수 방정식

즉 선형 상미분 방정식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영어: Sturm–Liouville equation)이라고 한다. 이 방정식은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므로, , 의 값에 따라 해의 공간은 벡터 공간을 이룬다. 스튀름-리우빌 문제는 스튀름-리우빌 미분 연산자고윳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성질

고윳값과 고유 함수

위의 무게 함수

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스펙트럼가산 집합이며, 하계를 가지며, 상계를 갖지 않으며, 중복되지 않는다. 즉, 다음과 같이 놓을 수 있다.

각 고윳값 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의 공간은 1차원이며, 이는 해당 로뱅 경계 조건을 따르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로 구성된다. 또한, 이 함수는 열린구간 속에서 정확히 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고유 함수들의 집합 은 (의 내적에 따라 정규화하였을 때) 정규 직교 기저를 이룬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2차 선형 미분 방정식의 스튀름-리우빌 형태로의 환원

모든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은 좌변에 적당한 적분 인자(integrating factor)를 곱해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의 꼴로 놓을 수 있다. (2차 편미분 방정식이나, y스칼라가 아니라 벡터인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 주어졌다고 하자.

양변을 P(x)로 나누고, 다시 양변에 적분 인자

를 곱한 뒤, 정리하면 스튀름-리우빌 형 방정식을 얻는다.

베셀 방정식

베셀 방정식

은 양변에 적당한 함수를 곱하면 다음과 같은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이 된다.

즉, 이 경우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이다.

르장드르 방정식

르장드르 방정식

은 쉽게 스튀름-리우빌 형으로 만들 수 있다.

이므로, 르장드르 방정식은 다음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은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의 고윳값이다.

더 복잡한 2차 상미분 방정식

좀 더 복잡한 예로 다음 상미분 방정식을 생각하자.

양변을 x3으로 나누고

다시 양변에 다음과 같은 적분 인자를 곱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나온다.

이 방정식은 스튀름-리우빌 형으로 바꿀 수 있는데,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서 말한 미분 방정식은 아래의 스튀름-리우빌 미분 방정식과 같다.

역사

자크 샤를 프랑수아 스튀름조제프 리우빌의 이름을 땄다.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