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할 거듭제곱 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다항식을(를) 추가함
일부 내용을 크리스탈린 코호몰로지에서 이동. 내용 정리 · 보충
1번째 줄: 1번째 줄:
[[가환대수학]]에서, '''분할 거듭제곱 환'''(分割-環, {{llang|en|divided power ring}}, {{llang|fr|anneau des puissances divisées}})은 [[환의 표수|표수]]의 배수인 <math>n</math>의 경우에도 “<math>x^n/n!</math>”과 유사한 연산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주어진 [[가환환]]이다.
[[수학]], 특히 [[가환대수학]]에서 '''분할거듭제곱 구조'''라고 하는 것은, 주어진 [[환_(수학)|환]]에서 수학적인 표현 <math>x^n / n! </math>의 연산이 주어진 연산 내부에서는 불가능하더라도, 이를 의미있게 만들어 줄 수 있는 부가 구조를 의미한다. [[크리스탈린 코호몰로지]]이론에서 등장한 [[프랑스어]] ''puissances divisées'' (영어: divided power structure) 를 [[한국어]]로 번역한 표현이다. 이에 수학에서는 간략하게 ''PD-구조''라고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 정의 ==
== 정의 ==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가환환]] <math>A</math>
* <math>A</math>의 [[아이디얼]] <math>\mathfrak I\subseteq A</math>
그렇다면, <math>(A,\mathcal I)</math> 위의 '''분할 거듭제곱 구조'''(分割-構造,{{llang|en|divided power structure}}, {{llang|fr|structure de puissances divisées}}) <math>(\gamma_n)_{n\in\mathbb N}</math>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각 [[자연수]] <math>n\in\mathbb N</math>에 대하여, [[함수]] <math>\gamma_n\colon\mathfrak I\to A</math>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math>\gamma_0(x) = 1\qquad\forall x\in\mathfrak I</math>
:<math>\gamma_1(x)= x\qquad\forall x\in\mathfrak I</math>
:<math>\gamma_n(x)\in\mathfrak I\qquad\forall n\in\mathbb Z^+,\;x\in\mathfrak I</math>
:<math>\gamma_n(x+y)=\sum_{i=0}^n\gamma_{n-i}(x)\gamma_n(y)\qquad\forall x,y\in\mathfrak I</math>
:<math>\gamma_n(\lambda x)=\lambda^n\gamma_n(x)\qquad\forall\lambda\in A,\;x\in\mathfrak I</math>
:<math>\gamma_m(x) \gamma_n(x) = \binom{m+n}m \gamma_{m+n}(x)\qquad\forall m,n\in\mathbb N,\;x\in\mathfrak I</math>
:<math>\gamma_n(\gamma_m(x)) = \frac{(mn)!}{(m!)^nn!}\gamma_{mn}(x)\qquad\forall x\in I</math>


간혹 <math>\gamma_n(x)</math> 대신 <math>x^{[n]}</math>와 같은 표기도 사용된다.
''A''를 [[가환환]]이라고 하고, ''I''를 ''A''의 주어진 [[아이디얼]]이라고 하자. 이때, ''I'' 상에서의 '''분할거듭제곱 구조'''라고 함은, 각각의 정수 ''n''=0, 2, 3, ... 마다 하나씩 주어진 함수 <math> \gamma_n : I \to A </math>들의 모임으로써, 다음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것을 뜻한다:


'''분할 거듭제곱 환''' <math>(A,\mathfrak I,\gamma)</math>은 [[아이디얼]] <math>\mathfrak I\subseteq A</math>과 그 위의 분할 거듭제곱 구조 <math>\gamma</math>가 주어진 [[가환환]]이다.
#<math>\gamma_0(x) = 1</math> 이다.
#각각의 <math> x \in I </math>에 대해, <math>\gamma_1(x) = x</math>이고, 반면에 ''n''>0인 경우 <math>\gamma_n(x) \in I</math> 이다.
#각각의 <math> x , y \in I</math>에 대해, <math>\gamma_n(x + y) = \sum_{i=0}^n \gamma_{n-i}(x) \gamma_i(y)</math>이다.
#각각의 <math>\lambda \in A, x \in I</math>에 대해, <math>\gamma_n(\lambda x) = \lambda^n \gamma_n(x)</math>이다.
#각각의 <math> x \in I </math>에 대해, <math>\gamma_m(x) \gamma_n(x) = ((m, n)) \gamma_{m+n}(x)</math>이다. 이때, <math>((m, n)) = \frac{(m+n)!}{m! n!}</math>를 뜻한다. (이 수는 항상 정수이다.)
#각각의 <math> x \in I </math>에 대해, <math>\gamma_n(\gamma_m(x)) = C_{n, m} \gamma_{mn}(x)</math>이다. 이때, <math>C_{n, m} = \frac{(mn)!}{(m!)^n n!}</math>를 뜻한다. (이 수는 항상 정수이다.)


=== 분할 거듭제곱 환 준동형 ===
만약, 주어진 분할거듭제곱 구조가 명확한 경우에는 <math>\gamma_n (x)</math> 대신에 <math> x^{[n]}</math>라고 쓰기도 한다. ''분할거듭제곱 아이디얼''이라고 하는 것은, 분할거듭제곱 구조가 주어진 아이디얼을 뜻하고, ''분할거듭제곱 환'' 혹은 ''분할거듭제곱 대수''라고 하는 것은, 그 환에 어떤 분할거듭제곱 아이디얼이 주어져 있는 경우를 뜻한다. 하나의 주어진 환에 여러 가지의 분할거듭제곱 구조가 주어질 수 있다.
두 분할 거듭제곱 환 <math>(A,\mathfrak I,\gamma),(B,\mathfrak J,\delta)</math> 사이의 '''준동형''' <math>f\colon A\to B</math>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환 준동형]]이다.
:<math>f(\mathfrak I)B\subseteq\mathfrak J</math>
:<math>f(\gamma_n(x))=\delta_n(f(x))\qquad\forall n\in\mathbb N,\;x\in\mathfrak I</math>


이에 따라, 분할 거듭제곱 환과 그 준동형들로 구성된 [[구체적 범주]]가 존재한다.
분할거듭제곱 환들의 [[준동형사상]](homomorphism)이라고 하는 것은, 환의 준동형사상으로써, 정의역과 치역의 분할거듭제곱 구조와 호환성이 있는 것을 뜻한다.


== 성질 ==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분할 거듭제곱 환 <math>(A,\mathfrak I,\gamma)</math>
* [[가환환]] <math>B</math>
* [[환 준동형]] <math>f\colon A\to B</math>
* <math>B</math>의 [[아이디얼]] <math>\mathfrak J</math>. 또한, <math>f(\mathfrak I)B\subseteq\mathfrak J</math>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보편 성질]]을 만족시키는 분할 거듭제곱 환 <math>(D,\bar{\mathfrak J},\delta)</math>가 항상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임의의 분할 거듭제곱 환 <math>(C,\mathfrak K,\varepsilon)</math>에 대하여,
::<math>\hom_{(A,\mathfrak I,\gamma)}((D,\bar{\mathfrak J},\delta),(C,\mathfrak K,\varepsilon))=\hom_{(A,\mathfrak I)}((B,\mathfrak J),(C,\mathfrak K))</math>
이 [[보편 성질]]을 만족시키는 분할 거듭제곱 환 <math>(D,\bar{\mathfrak J},\delta)</math>을 <math>(B,\mathfrak J)</math> 위의 '''분할 거듭제곱 포락'''(分割-包絡, {{llang|en|divided power envelope}})이라고 한다. 즉, 이는 아이디얼에 분할 거듭제곱 구조를 “가장 자연스럽게” 부여한 것이다.


== 예제 ==
== ==
=== 자유 분할 거듭제곱 구조 ===
[[가환환]]
:<math>\mathbb{Z}\langle{x}\rangle:=\mathbb{Z}[x,\frac{x^2}{2},\ldots,\frac{x^n}{n!},\ldots]\subset \mathbb{Q}[x]</math>
의 [[주 아이디얼]] <math>(x)</math> 위에는 다음과 같은 분할 거듭제곱 구조가 존재한다.
:<math>\gamma_n (x) = \frac{x^n}{n!}\qquad\forall n\in\mathbb N</math>
이 분할 거듭제곱 대수는 하나의 생성원에 대한 자유 <math>\mathbb{Z}</math>-분할 거듭제곱 대수이다. 여기서 “자유”라는 것은, [[범주 이론]]의 의미로 붙인 것이다.


=== 표수 0 ===
표수 0의 [[체 (수학)|체]] <math>K</math> 위의 가환 [[결합 대수]] <math>A</math>의 임의의 [[아이디얼]] <math>\mathfrak I\subseteq A</math> 위에는 유일한 분할 거듭제곱 구조가 존재하며, 다음과 같다.
:<math>\gamma_n(x) = \frac1{n!} \cdot x^n</math>
이는 임의의 분할 거듭제곱 대수에 대해서, 항상 <math>x^n = n! \gamma_n(x)</math>가 성립하기 때문에, 표수 0의 체 위의 대수인 경우에는 특히 <math>n!</math>로 나누어 줌으로써 증명 가능하다.


=== 양의 표수 ===
* <math>\mathbb{Z}\langle{x}\rangle:=\mathbb{Z}[x,\frac{x^2}{2},\ldots,\frac{x^n}{n!},\ldots]\subset \mathbb{Q}[x]</math>은 분할거듭제곱 대수이다. 아이디얼 <math> (x) </math>에 대해, <math> \gamma_n (x) = \frac{x^n}{n!} </math>, ''n''=0, 1, 2, ... 로 정의하면 된다. 사실, 이 분할거듭제곱 대수는, 하나의 생성자에 대한 자유 <math>\mathbb{Z}</math>-분할거듭제곱 대수이다. 자유라는 것은, 범주이론의 의미로 붙인 것이다.
양의 표수의 [[체 (수학)|체]] 위의 가환 [[결합 대수]]의 경우, <math>x^n = n! \gamma_n(x)</math>는 성립하더라도, <math>n!</math>로 나눌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분할 거듭제곱 구조는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 만약 ''A''가 '''Q'''-대수라면, 임의의 아이디얼 ''I'' 위에는 유일한 분할거듭제곱 구조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분할거듭제곱 구조는 <math>\gamma_n(x) = \frac{1}{n!} \cdot x^n</math> 로 결정된다. 이는, 임의의 분할거듭제곱 대수에 대해서, 항상 <math>x^n = n! \gamma_n(x)</math>가 성립하기 때문에, '''Q'''-대수인 경우에는 특히 <math>n!</math>로 나누어 줌으로써 증명가능하다. 하지만, '''Q'''-대수가 아닌 경우에는 <math>x^n = n! \gamma_n(x)</math>는 성립하더라도, <math>n!</math>로 나눌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분할거듭제곱 구조는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 만약 ''A''가 [[종수]](characteristic)이 어떤 [[소수_(수론)|소수]] 값 <math> p>0</math>을 가지는 환이고, 이 환 내부에서 <math>(p-1)!</math>이 곱셈에 대한 역원이 존재하면서 주어진 아이디얼 ''I''이 <math> I^p = 0 </math>를 만족하는 경우라면, 어떤 분할거듭제곱 구조를 아래와 같이 하나 정의해 줄 수 있다. (이 구조만이 유일한 것이 아닐 수 있음에 주의): 만약 ''n''<''p''라면, <math>\gamma_n(x) = \frac{1}{n!} x^n</math>로, 만약 <math> n \geq p</math>라면, <math>\gamma_n(x) = 0</math>로 정의한다.
* [[소수 (수론)|소수]] <math>p</math>의 [[환의 표수|표수]]를 갖는 [[가환환]] <math>A</math>
* <math>\mathfrak I^p=0</math>인 [[멱영 아이디얼]] <math>\mathfrak I\subseteq A</math>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분할 거듭제곱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math>\gamma_n(x)=\begin{cases}
x^n/n!&n<p\\
0&n\ge p
\end{cases}</math>


일반적으로 양의 종수를 가지는 환에서 주의할 점 하나는, 아이디얼 <math> I^p </math>과, 모든 <math> x \in I </math>에 대해 <math> x^p </math>로 생성된 아이디얼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전자는 0이 아닐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는 분할거듭제곱 구조가 존재한다면 항상 0이 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의 표수의 환에서 주의할 점 하나는, 아이디얼 <math>\mathfrak I^p</math>과, 모든 <math> x \in\mathfrak I </math>에 대해 <math> x^p </math>로 생성된 아이디얼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전자는 0이 아닐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는 분할 거듭제곱 구조가 존재한다면 항상 0이 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 응용 ==
== 응용 ==
분할 거듭제곱 구조는 [[분할거듭제곱 미분연산자]]의 이론이나 [[크리스탈린 코호몰로지]] 이론에서 기본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이를 이용하여, 양의 종수를 가지는 환에서의 기술적인 어려움들이 극복될 수 있다.


== 참고 문헌 ==
분할거듭제곱 구조는, [[분할거듭제곱 미분연산자]]의 이론이나 [[크리스탈린 코호몰로지]]이론에서 기본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이를 이용하여, 양의 종수를 가지는 환에서의 기술적인 어려움들이 극복될 수 있다.
* {{서적 인용 | first1=Pierre | last1=Berthelot | first2=Arthur | last2=Ogus| title=Notes on Crystalline Cohomology | series=Annals of Mathematics Studies | 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 | year=1978 | zbl=0383.14010 |언어=en}}

* {{서적 인용 | title=Formal Groups and Applications | volume=78 | series=Pure and applied mathematics | first= Michiel | last= Hazewinkel | publisher=Elsevier | year=1978 | isbn=0123351502 | zbl=0454.14020 | 언어=en}}
== 참고문헌 ==
* {{서적 인용 | last1=Berthelot | first1=Pierre | title=Cohomologie cristalline des schémas de caractéristique ''p''>0 | publisher=Springer-Verlag | series=Lecture Notes in Mathematics |권=407 | doi=10.1007/BFb0068636 | mr=0384804 | year=1974|isbn=978-3-540-06852-5 |언어=fr}}
* Berthelot, Pierre; Ogus, Arthur (1978). Notes on Crystalline Cohomology. Annals of Mathematics Stud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 Hazewinkel, Michiel (1978). Formal Groups and Applications.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a series of monographs and textbooks 78. Elsevier.


[[분류:가환대수학]]
[[분류:가환대수학]]

2017년 6월 6일 (화) 11:11 판

가환대수학에서, 분할 거듭제곱 환(分割-環, 영어: divided power ring, 프랑스어: anneau des puissances divisées)은 표수의 배수인 의 경우에도 “”과 유사한 연산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주어진 가환환이다.

정의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가환환
  • 아이디얼

그렇다면, 위의 분할 거듭제곱 구조(分割-構造,영어: divided power structure, 프랑스어: structure de puissances divisées)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자연수 에 대하여, 함수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간혹 대신 와 같은 표기도 사용된다.

분할 거듭제곱 환 아이디얼 과 그 위의 분할 거듭제곱 구조 가 주어진 가환환이다.

분할 거듭제곱 환 준동형

두 분할 거듭제곱 환 사이의 준동형 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환 준동형이다.

이에 따라, 분할 거듭제곱 환과 그 준동형들로 구성된 구체적 범주가 존재한다.

성질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분할 거듭제곱 환
  • 가환환
  • 환 준동형
  • 아이디얼 . 또한,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보편 성질을 만족시키는 분할 거듭제곱 환 가 항상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임의의 분할 거듭제곱 환 에 대하여,

보편 성질을 만족시키는 분할 거듭제곱 환 위의 분할 거듭제곱 포락(分割-包絡, 영어: divided power envelope)이라고 한다. 즉, 이는 아이디얼에 분할 거듭제곱 구조를 “가장 자연스럽게” 부여한 것이다.

자유 분할 거듭제곱 구조

가환환

주 아이디얼 위에는 다음과 같은 분할 거듭제곱 구조가 존재한다.

이 분할 거듭제곱 대수는 하나의 생성원에 대한 자유 -분할 거듭제곱 대수이다. 여기서 “자유”라는 것은, 범주 이론의 의미로 붙인 것이다.

표수 0

표수 0의 위의 가환 결합 대수 의 임의의 아이디얼 위에는 유일한 분할 거듭제곱 구조가 존재하며, 다음과 같다.

이는 임의의 분할 거듭제곱 대수에 대해서, 항상 가 성립하기 때문에, 표수 0의 체 위의 대수인 경우에는 특히 로 나누어 줌으로써 증명 가능하다.

양의 표수

양의 표수의 위의 가환 결합 대수의 경우, 는 성립하더라도, 로 나눌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분할 거듭제곱 구조는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분할 거듭제곱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의 표수의 환에서 주의할 점 하나는, 아이디얼 과, 모든 에 대해 로 생성된 아이디얼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전자는 0이 아닐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는 분할 거듭제곱 구조가 존재한다면 항상 0이 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응용

분할 거듭제곱 구조는 분할거듭제곱 미분연산자의 이론이나 크리스탈린 코호몰로지 이론에서 기본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이를 이용하여, 양의 종수를 가지는 환에서의 기술적인 어려움들이 극복될 수 있다.

참고 문헌

  • Berthelot, Pierre; Ogus, Arthur (1978). 《Notes on Crystalline Cohomology》. Annals of Mathematics Studies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Zbl 0383.14010. 
  • Hazewinkel, Michiel (1978). 《Formal Groups and Applications》.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78. Elsevier. ISBN 0123351502. Zbl 0454.14020. 
  • Berthelot, Pierre (1974). 《Cohomologie cristalline des schémas de caractéristique p>0》.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프랑스어) 407. Springer-Verlag. doi:10.1007/BFb0068636. ISBN 978-3-540-06852-5. MR 0384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