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어르 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Osteologia님이 연속함수의 차수 문서를 브라우어르 차수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더 혼동되기 힘든 용어 사용 ({{매스월드|BrouwerDegree}, {{eom|title=Brouwer degree}}, pl:Stopień Brouwera)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두 [[다양체]] 사이의 [[연속 함수]]의 '''차수'''(次數, {{lang|en|degree}})는 함수의 [[정의역]]이 함수의 [[치역]]을 몇 번 감싸는지를 나타내는 정수이다. 기호는 <math>\deg</math>.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두 [[다양체]] 사이의 [[연속 함수]]의 '''브라우어르 차수'''(Brouwer次數, {{lang|en|Brouwer degree}})는 함수의 [[정의역]]이 함수의 [[치역]]을 몇 번 감싸는지를 나타내는 정수이다. 기호는 <math>\deg</math>.


== 정의 ==
== 정의 ==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math>X</math>와 <math>Y</math>가 <math>n</math>차원 [[콤팩트 공간|콤팩트]] [[연결 공간|연결]] [[유향 다양체]]라고 하자. 유향 콤팩트 연결 다양체의 경우, 그 최고 차수 [[호몰로지 군]]은 자연스럽게 <math>H_n(X)\cong H_n(Y)\cong\mathbb Z</math>와 같은 동형을 가진다. [[연속함수]] <math>f\colon X\to Y</math>가 주어지면, 그 [[당김]] <math>f^*\colon H_n(Y)\to H_n(X)</math>를 정의할 수 있다. 연속 함수 <math>f</math>의 '''차수''' <math>\deg f</math>는 다음과 같다.
:<math>\deg f=f^*(1)\in\mathbb Z</math>.
* 자연수 <math>n\in\mathbb N</math>
* 두 <math>n</math>차원 [[콤팩트 공간|콤팩트]] [[연결 공간|연결]] [[다양체]] <math>X</math>, <math>Y</math>
* <math>X</math>와 <math>Y</math> 위의 [[방향 (다양체)|방향]]. 즉, [[기본류]] <math>[X]\in\operatorname H_n(X;\mathbb Z)</math>, <math>[Y]\in\operatorname H_n(X;\mathbb Z)</math>.
* [[연속 함수]] <math>f\colon X\to Y</math>
이에 따라, <math>X</math>와 <math>Y</math>의 최고차 [[호몰로지 군]]은 다음과 같다.
:<math>H_n(X;\mathbb Z)\cong H_n(Y;\mathbb Z)\cong\mathbb Z</math>
그렇다면, 그 [[당김]]
:<math>f^*\colon\operatorname H_n(Y;\mathbb Z)\to\operatorname H_n(X;\mathbb Z)</math>
를 정의할 수 있다. 연속 함수 <math>f</math>의 '''브라우어르 차수''' <math>\deg f</math>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정수이다.
:<math>f^*([X])=(\deg f)[Y]</math>.

== 예 ==
단위 [[절댓값]]의 복소수 집합으로 여긴 원
<math>\mathbb S^1=\{z\in\mathbb Z\colon|z|=1\}</math>
을 생각하자. 이는 표준적인 [[방향 (다양체)|방향]]을 갖는 1차원 [[콤팩트 공간|콤팩트]]] [[다양체]]이다. 이 경우, [[연속 함수]]
:<math>f\colon\mathbb S^1\to\mathbb S^1</math>
:<math>f\colon z\mapsto z^n</math>
의 브라우어르 차수는 다음과 같다.
:<math>\deg f=n</math>


== 역사 ==
== 역사 ==
[[라위트전 브라우어르]]가 1911년 정의하였다.<ref>{{저널 인용|연도=1911|월=3|권=71|호=1|쪽=97–115|제목={{lang|de|Über Abbildung von Mannigfaltigkeiten}}|저널={{lang|de|Mathematische Annalen}}|언어고리=de|이름=L. E. J.|성=Brouwer|저자고리=라위트전 브라우어르|doi=10.1007/BF01456931}}</ref>
[[라위트전 브라우어르]]가 1911년 정의하였다.<ref>{{저널 인용|날짜=1911-03|권=71|호=1|쪽=97–115|제목=Über Abbildung von Mannigfaltigkeiten|저널=Mathematische Annalen|이름=L. E. J.|성=Brouwer|저자고리=라위트전 브라우어르|doi=10.1007/BF01456931|언어=de}}</ref>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12번째 줄: 30번째 줄: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 {{매스월드|id=BrouwerDegree|title=Brouwer degree}}
* {{eom|title=Brouwer degree}}
* {{nlab|id=degree of a continuous function|title=Degree of a continuous function}}
* {{nlab|id=degree of a continuous function|title=Degree of a continuous function}}



2017년 4월 13일 (목) 08:04 판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두 다양체 사이의 연속 함수브라우어르 차수(Brouwer次數, Brouwer degree)는 함수의 정의역이 함수의 치역을 몇 번 감싸는지를 나타내는 정수이다. 기호는 .

정의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자연수
  • 차원 콤팩트 연결 다양체 ,
  • 위의 방향. 즉, 기본류 , .
  • 연속 함수

이에 따라, 의 최고차 호몰로지 군은 다음과 같다.

그렇다면, 그 당김

를 정의할 수 있다. 연속 함수 브라우어르 차수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정수이다.

.

단위 절댓값의 복소수 집합으로 여긴 원 을 생각하자. 이는 표준적인 방향을 갖는 1차원 콤팩트] 다양체이다. 이 경우, 연속 함수

의 브라우어르 차수는 다음과 같다.

역사

라위트전 브라우어르가 1911년 정의하였다.[1]

참고 문헌

  1. Brouwer, L. E. J. (1911년 3월). “Über Abbildung von Mannigfaltigkeiten”.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71 (1): 97–115. doi:10.1007/BF01456931.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