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하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42번째 줄: 42번째 줄:
:<math>{}_pF_q(a_1,\dots,a_p;b_1,\dots,b_q;z)={}_{p-1}F_{q-1}(a_1,\dots,a_{p-1};b_1,\dots,b_{q-1};z)</math>
:<math>{}_pF_q(a_1,\dots,a_p;b_1,\dots,b_q;z)={}_{p-1}F_{q-1}(a_1,\dots,a_{p-1};b_1,\dots,b_{q-1};z)</math>
이다.
이다.

== 참고 문헌 ==
* {{책 인용|성=Gasper|이름=George|공저자=Mizan Rahman|날짜=2004|제목=Basic hypergeometric series|판=2판|총서=Encyclopedia of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권=96|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0-521-83357-4| doi=10.1017/CBO9780511526251|언어고리=en}}
* {{책 인용 | last= Yoshida | first= Masaaki | title= Hypergeometric functions, my love: modular interpretations of configuration spaces | publisher= Vieweg+Teubner | year= 1997 | isbn= 3-528-06925-2 | mr= 1453580 | 총서=Aspects of Mathematics|권=32|doi=10.1007/978-3-322-90166-8|isbn=978-3-322-90168-2|issn=0179-2156|언어고리=en}}
* {{책 인용 | last= Slater | first= Lucy Joan | title= Generalized hypergeometric functions | publish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 year= 1966 | isbn= 0-521-06483-X | mr= 0201688 | url=http://www.cambridge.org/us/academic/subjects/mathematics/real-and-complex-analysis/generalized-hypergeometric-functions | 언어고리=en}}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2014년 11월 26일 (수) 10:31 판

초기하함수(超幾何函數, 영어: hypergeometric function)는 기하급수를 일반화시키는 일련의 특수 함수들이다. 일련의 거듭제곱 급수로 나타내어지고, 어떤 선형 상미분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정의

초기하 미분 방정식(영어: hypergeometric differential equation)은 미지 함수 에 대한, 다음과 같은 꼴의 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다.

여기서

는 임의의 상수들이다. 이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은 급수로 전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은 상승 포흐하머 기호이며,

이다. 이 급수 초기하급수(영어: hypergeometric series)라고 하며, 만약 이 급수가 수렴하는 경우 초기하함수라고 한다.

0F0

지수 함수이다.

1F0

기하급수이다. 이로부터 "초기하"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0F1

합류 초기하 극한 함수(영어: confluent hypergeometric limit function)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베셀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1F1

제1종 합류 초기하함수(영어: confluent hypergeometric function of the first kind)라고 한다.

2F1

가우스 초기하함수(영어: Gaussian hypergeometric function)라고 하며, 초기하함수 가운데 가장 자주 등장한다. 보통 첨자의 언급 없이 "초기하함수"라고 하면 가우스 초기하함수를 가리킨다.

가우스 초기하함수의 특수한 경우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는 제1종 타원적분이다.

성질

정의에 따라, 초기하함수 의 순서에 관계없다. 또한, 만약 교집합이 있으면, 이들을 서로 약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면

이다.

참고 문헌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