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황옥
허황후
許皇后 | |
---|---|
보주태후 | |
금관가야의 왕후 목록 | |
재위 | ? ~189년 음력 3월 1일 |
대관식 | 허황옥(許黃玉) |
후임 | 모정부인(慕貞夫人) |
이름 | |
휘 | 허황옥(許黃玉) |
이칭 | 미상 |
별호 | 미상 |
묘호 | 허황옥(許黃玉) 허황후(許皇后) |
시호 | 보주태후(普州太后) |
신상정보 | |
출생일 | 32년 |
출생지 | 아유타국(阿踰陁國) |
사망일 | 189년 음력 3월 1일(157세) |
사망지 | 경상남도 김해(慶尙南道 金海) |
가문 | 김해 허씨(金海 許氏) |
배우자 | 수로왕(首露王) |
자녀 | 10남 2녀, 거등왕(居登王) |
종교 | 불교 |
묘소 | 수로왕비릉 |
허황옥(許黃玉, 32년 ~ 189년)은 금관가야의 시조인 수로왕의 왕후로, 허황후 또는 보주태후라고도 하며 슈리라트나(힌디어: सुरीरत्न, 영어: Princess Suriratna),[1][2][3] 심바발람(타밀어: சீம்பவலம்)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있다.《삼국유사》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따르면, 아요디아의 공주로, 48년에 오빠 장유화상 및 수행원들과 배를 타고 가락국에 와서 왕후가 되었다. 거등왕을 비롯해 아들 10명을 낳았다.
생애
[편집]허황후(許皇后)라고도 하며,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시조모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따르면, 허황옥은 본래 아유타국(阿踰陁國)의 공주인데 부왕(父王)과 왕후가 꿈에 상제(上帝)의 명을 받아 공주를 가락국 수로왕의 배필이 되게 하였다. 공주는 많은 종자(從者)를 거느리고 김해 남쪽 해안에 이르렀다. 이에 수로왕은 유천간(留天干), 신귀간(神鬼干) 등 많은 신하들을 보내어 맞으며, 황후로 삼았다고 전한다. 황후는 태자 거등(居登)을 낳았으며, 188년에 죽으니 나이 157세였다고 한다. 구지봉 동북쪽 언덕에 장사지냈다고 하는데, 현재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龜山洞)의 고분이 허황후의 능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허황옥이 먼 곳에서 왔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설(異說)이 별로 없으나, 인도 아유타국에서 왔다는 것에 대해서는 불교가 들어온 이후에 이야기가 덧붙여졌다고 보아 본래의 시조설화가 윤색되었다는 견해가 많다.시호는 보주태후(普州太后)이다.
김해(양천) 허씨
[편집]그녀는 10명의 아들 중 2명에게 허씨 성을 쓰게 해달라고 수로왕에게 부탁했다고 한다. 아들 10명을 낳았는데, 맏아들 거등(居登)은 김씨로 왕통을 잇게 하고, 두 아들은 허황후의 뜻을 살려 허씨(許氏)로 사성(賜姓)했으며, 나머지 일곱 아들은 불가에 귀의(歸依)하여 하동칠불(河東七佛)로 성불(成佛)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이후 어머니의 성을 따라 허씨 성을 사용하던 두 왕자로부터 한국의 허씨 성이 유래되어 김해 허씨로 이어지고 있다.
태생
[편집]허황옥의 전설은 현재 유실된 가락국기의 내용을 참고한 삼국유사에서 찾을 수 있다.[4] 전설에 따르면 허황옥은 "아유타 왕국"의 공주였다. 현존하는 기록은 먼 나라를 제외하고는 아유타를 식별하지 않는다. 문헌과 대중 문화는 종종 아유타를 인도와 연관짓는다. 현재 인도 공화국에 아유타에 대한 전설이 기록된 문헌은 존재하지 않으나 유실되었을 수도 있고 역사의 모든 내용이 문헌에 적히지는 않는다.[5] 한양대학교 인류학자 김병모 박사는 음성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아유타를 인도의 아요디아와 동일시했다.[6] 그래프턴 K. 민츠와 하태흥은 아유타가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론했지만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은 시기적으로 맞지 않아 아유타가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일 가능성은 매우 적다.[7] 그러나 조르주 코데스(조지 코데스)에 따르면 태국의 도시는 삼국유사(삼국유사)가 구성된 1350년까지 건설되지 않았다.[7][8] 역사학자 이이화는 불교하면 인도를 떠오르기 쉬우나, 당시 간다라와 간다라 불교 양식의 시초는 중앙아시아 월지국이였으며 월지족의 정치세력이 실크로드를 따라 한반도에 들어온 것이 후세에 배를 타고 온 것으로 각색되었다고 주장하였다.[9] 아유타 왕국의 정체가 타밀라캄(오늘날의 남인도)에 있었던 판디아의 봉신국이었던 아이라는 주장도 있다.[10] 왕후가 배를 타고 한국에 갔을 때 그녀의 배에는 쌍물고기와 삼지창 등 판디아 왕조의 여러 상징들이 실려 있었다.[11][12]
불교 전파설
[편집]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5월) |
일설에는 가야의 불교 전래에 기여했다고 한다. 불교의 승려였던 친정오빠 장유화상은 금관가야 지역에 장유암(長游庵)이란 사찰을 짓고 불상을 모셨으며 이후 가야지역에 불교가 전래되었라고 한다. 다만 김해시 장유면 대청리 장유암(長游庵) 경내에는 장유화상사리탑이 현존하고 있다. 장유화상의 사리탑은 1983년 7월 20일 경남도 문화재자료 31호로 등재되었다.
가계
[편집]10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두었다. 이 중 남편인 수로왕에게 청하여 2명의 아들은 자신의 성을 따라 허씨(許氏) 성을 쓰게끔 하게 해달라고 간청하여 수로왕의 동의를 얻으니 2명의 아들은 허씨 성을 쓰게 되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등장하지 않으나 1명의 딸이 더 있었다고 한다.
- 남편 : 수로왕(首露王, 42?~199, 재위:42~199)
- 왕비 : 허황옥(許黃玉, 33?~189)
- 아들 : 거등왕(居登王, ? ~253 재위:199~253
- 며느리 : 모정부인(慕貞夫人) 천부경(泉府卿)
- 손자 : 마품왕(麻品王, ? ~291 재위:253~291)
- 차남 : 거칠군 허석(居漆君 許錫) - 진례성(進禮城) 성주
- 3남 : 허명(許明)
- 4남 : 혜진(慧眞) - 금왕광불(金王光佛)
- 5남 : 각초(覺初) - 금왕당불(金王幢佛)
- 6남 : 지감(智鑑) - 금왕상불(金王相佛)
- 7남 : 등연(等演) - 금왕행불(金王行佛)
- 8남 : 주순(柱淳) - 금왕향불(金王香佛)
- 9남 : 정영(淨英) - 금왕성불(金王性佛)
- 10남 : 계영(戒英) - 금왕공불(金王空佛)
- 장녀 : 영안공주(永安公主) - 태사 배열문(裴烈文)의 처
- 외손 : 배숙(裴肅)
- 차녀 : 태자 석구광(昔仇光)의 처
- 외손녀 : 마정부인(摩貞夫人), 김알지(金閼智)의 처
- 남동생 : 장유화상(長遊和尙)
- 사돈 : 탈해 이사금(脫解尼師今)
허황옥이 등장하는 작품
[편집]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각주
[편집]- ↑ “The Indian princess who became a South Korean queen”. 《BBC News》 (영국 영어). 2018년 11월 4일. 2021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Princess Suriratna of India marries King Suro of the Gaya Kingdom nearly 2,000 years ago”. 《The Korea Post》. 2020년 9월 8일. 2021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The Legend of Princess Sriratna | Official website of Indian Council for Cultural Relations, Government of India”. 《www.iccr.gov.in》. 2022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Il-yeon (tr. by Ha Tae-Hung & Grafton K. Mintz) (1972). 《Samguk Yusa》.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ISBN 89-7141-017-5.
- ↑ “Korean memorial to Indian princess”. BBC News. 2001년 5월 3일.
- ↑ Choong Soon Kim (2011). 《Voices of Foreign Brides: The Roots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AltaMira. 34쪽. ISBN 978-0-7591-2037-2.
- ↑ 가 나 Robert E. Buswell (1991). 《Tracing Back the Radiance: Chinul's Korean Way of Zen》. University of Hawaii Press. 74쪽. ISBN 978-0-8248-1427-4.
- ↑ Skand R. Tayal (2015). 《India and the Republic of Korea: Engaged Democracies》. Taylor & Francis. 23쪽. ISBN 978-1-317-34156-7.
Historians, however, believe that the Princess of Ayodhya is only a myth.
- ↑ 한국사 이야기 1998년 39-40페이지
- ↑ Hyŏphoe, Han'guk Kwan'gwang (1968). 《Beautiful Korea》 (영어). Huimang Publishing Company. 619쪽.
Aboard the ship were Princess Ho Hwang-Ok of Ayut'a in the south of India.
- ↑ 이거룡. 2017, "가락국(駕洛國)과 고대 남인도(南印度)의 문화적 접촉에 관한 고찰: 물고기숭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Contacts between Garak Kingdom and Ancient South India: With Special Reference to 'Fish Worship'], 인도연구, vol. 22, no. 1, pp. 85–121. doi 10.21758/jis.2017.22.1.85
- ↑ “Korea’s intriguing Tamil connect”. 《The New Indian Express》. 2022년 1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