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니 디드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바깥 고리: 없어진 문서 참조 고리 없앰
89번째 줄: 89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같이 보기==
*[[디드로 효과]]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2010년 9월 22일 (수) 17:30 판

드니 디드로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 1713년 10월 5일 ~ 1784년 7월 31일)는 프랑스백과전서파를 대표하는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다.

그는 프랑스철학자달랑베르와 함께 18세기 계몽철학 사상을 집대성한 기념비적 저작 《백과전서》 편집자이자 철학, 소설, 희곡, 미술비평 등 다방면에서 수많은 저작을 남긴 계몽주의의 대표적 문필가이다.

생애

디드로는 샹파뉴랑그르라는 곳에서 태어났다.

파리 대학에서 고전학·자연학·철학을 배운 후, 1732년부터 그곳에서 머무르면서 문필 생활에 종사하였다. 1745년 샤프츠버리의 <덕과 선행에 관한 연구>를 번역한 후, 신학과 광신을 비판하여 이신론(理神論)에 이르렀으나, <맹인 서간>에서는 무신론의 경향을 보였고, 이로 인해 한때 투옥되었다. 이보다 앞서 <백과전서>의 편찬을 계획하여 달랑베르의 도움을 얻고, 또 몽테스키외·루소·케네·뷔퐁 등 180여 명의 집필자를 동원하였다. 이 <백과전서>는 18세기의 새로운 학문·사상·기술을 집대성하고, 인간적인 지식의 모든 부분을 모아 놓은 책으로 그의 최대의 업적이었다.

만년에는 러시아에서 생활하였고, 1784년 귀국하여 곧 사망하였다. [1]

업적

백과전서

Cover of the Encyclopédie.
Cover of the Encyclopédie.

서적상인 앙드레 르 브르통은 디드로에게 체임버스 백과사전(Cyclopaedia, or Universal Dictionary of Arts and Sciences)을 불어본으로 번역해보지 않겠냐고 제의를 해왔다. 디드로는 그 제안을 받아들였고, 번역의 취지 자체를 바꾸어버렸다. 체임버스 백과사전을 다시 번역하는 것이 그치지 말고, 세상의 모든 새로운 개념, 능동적인 작가, 새로운 지식을 하나의 지붕 아래에 담자고 설득한 것이다.

그의 열정은 서적상들을 자극하였고, 처음보다 더 많은 예산을 만들어내게 했다. 달랑베르는 디드로의 동료가 되기로 하였으며, 정권의 승인을 얻었다. 1750년에 식자층에게 전달된 취지서는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렸으며, 1751년에 첫 번째 권이 출간되었다. 마지막 권이 출간된 것은 1765년이었고 백과전서, 과학-예술-기술의 구조적인 사전의 마지막 권이 독자 손에 쥐여진 것은 1772년이었다.

이 20여 년 동안 디드로는 단지 사전편찬이라는 단조로운 고역만을 감내했던 것이 아니다. 그는 끊임없는 정치적 박해에 시달렸고 동지들의 이탈로 고통받아야 했다.

성직자들은 백과전서파의 성장이 자신들의 철학적 입장을 위태롭게 한다고 인식했지만, 백과전서의 구독자가 2천명에서 4천명으로 늘어났을 때 성직자들의 인내심은 폭발하였다. 또한 프랑스 지배 계층도 백과사전파를 달갑지 않게 생각하기 시작했는데, 백과전서는 종교적 관용, 사상의 자유, 과학과 기술의 가치 등에 대해 논했기 때문이다. 국가권력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이 민중이라며 백과사전파가 강력히 설파했던 점도 프랑스 지배 계층을 위태롭게 만들었다. 덕분에 백과전서는 공개적으로 출판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기 시작했고 1759년부터는 공공연하게 탄압받았다. 법적으로 금지되지는 않았지만, 비밀리에 출판되는 수밖에 없었다.

달랑베르는 백과전서 관련 업무들을 도중에 포기하였다. 튀르고를 비롯한 몇몇 인사들도 악평을 받고 있던 백과전서에 대한 기고를 거부했다. 그래서 디드로는 혼자서 수백 편의 글을 써나가기 시작했다. 짧은 글들도 있었지만, 거의 대부분 꽤나 긴 글들이었다. 게다가 다른 기고자들 원고의 고증 작업을 대신하면서 다듬는 도중 시력에 손상을 입기도 하였다. 그는 낮에는 작업장에서 각종 시스템에 대해 익히고, 밤에는 낮에 익힌 것들을 글로 풀어내는 식으로 집필을 계속해 나갔다. 실로 미치치 않으면 할 수 없었던 그 작업 사이에도 경찰을 비롯한 각종 사람들로부터 지속적인 위협에 시달려야 했다.

끝이 나지 않을 것 같던 작업이 끝났지만 결국 그의 고행은 빛을 발하지 못했다. 권력의 비위를 건드릴까 두려웠던 출판업자들이 위험성 있는 텍스트 일부를 제거하고 출판했기 때문이다. 쓰라린 20여 년이 남긴 기념비는 이렇게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었다.

디드로의 극작

1757년에 그는 희극이라고 자신을 갖고 내놓은 작품 <사생아>와 함께 이 작품의 의도와 테크닉을 분석한 <사생아에 관해서의 도르바르와의 대화>를 출판했다. 이는 대단한 반향을 일으켰으나 동시에 팔리소(Palissot)와 같은 반대파의 맹반격을 받아, 디드로는 이에 답하여 다음 해에 다시 극작 <한 집안의 아버지>와 전년의 <대화>보다 더욱 조직적인 연극론인 <극예술론>을 출판했다. 이 작품은 지난 해에 나온 <대화> 가운데에서 "한 집안의 부친이라는 흥미있는 상황을 지금까지 아무도 쓰려고 하지 않았던 것은 애석한 일이다"라고 말한 데 대해서 스스로가 대답한 것이었다.

그의 연극에서는 고전주의적 문학관과 같이 인간의 보편적인 성격을 문제로 삼지 않고, 시대나 국가나 직업이나 지위에 따라 특정한 처지에 놓인 인간을 묘사하는 것이다. 이는 관념적·추상적인 인간성의 파악에서 리얼리즘적 방향으로 한걸음 더 나아갔다고 하겠다. 동시에 이 처지에 부과되는 의무를 훌륭하게 다하는 시민도덕을 종용하고 이를 무대에서 읊는 긴 대사를 소중히 여겼다. 작품의 예술적 가치보다도 미덕으로 관객을 감동시키고 눈물을 유발시키려 했던 것이다. 그는 시민생활을 다룬 이 새로운 연극을 정극(正劇)이라 이름지어 여기에 어울리는 산문의 채용을 권장했다.

디드로의 연극관은 볼테르의 경우에 비해 훨씬 혁신적이라고는 하나 아직도 많은 고전주의적 희극 요소를 남기고 있었다. 예컨대 그의 정극(正劇)은 비극과 희극이라는 종래의 장르를 파괴한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새로 '시민적 비극' 혹은 '성실한 희극'을 포함하는 중간적 장르를 창시했던 것이며, 고전극의 중요한 규칙인 '삼일치(三一致)의 법칙'도 이를 합리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디드로의 <한 집안의 아버지>는 1761년에 프랑스 극장에서 상연, 상연 횟수 7회라는 당시로서는 명예 있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너무나 도덕과다였다고 하겠으며 예술적 가치가 낮아, 오늘날에 와서는 별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사생아>는 작품으로는 더욱 서투르고 1771년 프랑스 극장에서의 상연은 배우들의 적대감정도 곁들여 참담한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읽어보기

저서

  • 『회의주의자의 산책』(1747)
  • 『고자질쟁이 보석』(1748)
  • 『수학의 여러 상이한 주제들에 대한 보고서』(1749)
  • 『의학과 외과학의 여러 혼란에 대해 외과의사 모랑에게 보내는 서한』(1751)
  • 『맹인에 관한 서한』(1749)
    • 이은주 역, 맹인에 관한 서한. 지만지 1749/2010 ISBN 896406545X
  • 『귀머거리와 벙어리에 관한 서한』(1751)
  • 『자연의 해석에 대한 생각들』(1754)
  • 『결정론과 도덕의 기초에 대해 랑드와에게 보내는 서한』(1756)
  • 『사생아』(1757)
  • 『도르발과의 대담』(1757)
  • 『가장』(1758)
  • 수녀』(1760)
  • 『리처드슨 예찬』(1762)
  • 『백과전서』(1745-1764)
  • 『회화론』(1766)
  • 『달랑베르의 꿈』(1769)
  • 『달랑베르와 디드로의 대화』(1769)
  • 『대담속편』(1769)
  • 『부르봉의 두 친구』(1770)
  • 『갈리아니 변호』(1770)
  • 『아버지와 아들들의 대담』(1771)
  • 『부갱빌 여행기 보유』(1772)
  • 『한 철학자와 드** 원수의 대담』(1773)
  • 『군주정치』(1773)
  • 라모의 조카』(1761∼1773)
    • 황현산 역. 라모의 조카. 세계사/고려대출판부. 1761~1773/1998/2006 ISBN 89-7641-564-7
  • 『배우에 관한 역설』(1773)
  • 『운명론자 자크』(1771∼1774)
  • 『클라우디우스와 네로의 치세에 대한 시론』(1778)
  • 『세네카의 생애에 대한 시론』(1778)
  • 『살롱』(1759∼1781)
  • 『그림 씨에게 보내는 레날 사제 변호 서한』(1781)

연구서

바깥 고리

같이 보기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