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태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aaknor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sv:Tang Taizong
61번째 줄: 61번째 줄:
*왕소의
*왕소의
*[[측천무후|무재인]]
*[[측천무후|무재인]]
*대희


=== 자녀 ===
=== 자녀 ===

2010년 9월 5일 (일) 16:50 판

당 태종
당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26년 ~ 649년
전임 고조
후임 고종
신상정보
부친 고조
모친 태목황후
배우자 문덕황후

당 태종 이세민(唐太宗 李世民, 599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차남이다. 이름인 '세민'의 본래 뜻은 제세안민(濟世安民), 즉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케 하라는 뜻이다. 그는 실제로 뛰어난 장군이자, 정치가, 전략가, 그리고 서예가이기까지 했으며, 중국 역대 황제 중 최고의 성군으로 불리어 청나라강희제와도 줄곧 비교된다. 그가 다스린 시대를 정관의 치라 했다.

초기 생애

이세민은 개황 19년 (599년)에 당국공 이연(李淵)과 그 처 두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614년에는 장손씨와 혼인을 올렸고, 617년 수 양제 양광고구려 원정과 엄청난 대토목 공사로 이미 피폐해진 수나라 각지에서 반란군이 일어났으며, 이연 역시 여기에 가담, 봉기했다.

그리하여 아버지를 모시고, 수의 수도 장안으로 진격해서 장안을 손에 넣고, 때마침 양광마저 강도에서 그의 시위장이자 우문술의 아들인 우문화급(宇文化及)과 우문지급(宇文智及) 형제에게 암살되자, 이연은 당의 황제의 위에 오르고, 이세민을 진왕(秦王)에 봉했다.

뒤이어, 반란을 일으킨 여러 호족과 귀족들이 당에 충성을 바치지 않자, 이세민은 그들을 격파하러 출병했다. 반역 호족은 왕세충, 두건덕, 설인고, 유무주 등이었는데, 이세민은 이들에게 단 한번도 패하지 않고 모두 제거하여, 아버지인 당 고조 이연에게 천책상장(天策上將), 즉 하늘이 내린 장수라는 별호를 얻었다.

현무문의 변

이후, 이세민의 권세는 점점 커졌고, 인기 또한 높아졌다. 이것을 불안하게 여긴 형 황태자 이건성과 막내동생 제왕(齊王) 이원길은 이세민을 죽일 모책을 세우고, 급히 자신들 계파의 대신들을 불렀다. 이건성파 중에는, 위징(魏徵), 왕규, 배적(裵寂) 등이 있어, 이세민 제거 작전을 세운다. 그러나, 이것을 알아챈 이세민은 처남 장손무기(長孫無忌)와 장군 이정(李靖), 이세적(徐世勣) 등을 이용해, 도리어 역으로 그들을 이용하려 했다.

626년 7월 2일, 이세민은 부황 이연에게, 형제들이 자기를 죽이려 모함한다 아뢰었고, 이연은 그들을 장안의 궁성으로 불렀다. 그들이 궁성의 현무문으로 들어온 순간, 매복한 이세민의 군사들이 이건성과 이원길에게 화살을 쐈고, 그 자리에서 그들은 살해당한다.

이것이 바로 '현무문의 변'이다. 3일 뒤에 이연은 할 수 없이 이세민을 황태자로 삼고, 2개월 뒤에 그에게 양위하였다. 이에 이세민이 9월 4일에 황제에 올랐으며, 이듬해에 연호를 정관(貞觀)이라 하니, 이가 바로 당나라 제2대 황제인 태종이다.

정관의 치

이세민은 황제에 오르고 나서, 농민들에게 균등히 토지를 나누어 주어서, 조·용·조 제도로 세금을 걷었다. 이 제도는 토지를 받은 사람을 국가에 곡물을 바치고, 1년 중 20일을 국가를 위해 일하며, 직물 등도 바침으로서, 국가는 풍족해졌으며, 민생은 안정되었다. 이세민은 형 이건성의 편에 있던 위징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었고, 위징은 명재상이 되어, 중국을 안정시켰다.

또한, 과거제도를 실시하여, 인재를 양성했고, 군사제도는 징병제로 택하였다. 이렇게 많은 인재를 등용시킨 당나라는 나날이 번창해져 갔으며, 백성들도 더더욱 이세민을 우러러 보았다. 또한, 이세민은 아무리 적의 밑에서 일했던 장수라 할지라도 능력이 뛰어나면 무슨 일을 해서라도 자신의 사람으로 만들었다. 이세민은 아무리 신하들이 자기에게 독설을 퍼부어도, 역정을 내지 않고 그 간언을 잘 받아들여 언제나 국가와 백성들을 위해 좋은 정책을 만들 수 있었다.

630년에 이세민은 동돌궐을 정벌하여, 천가한(天可汗), 즉 천하의 칸 중의 칸이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중앙 아시아도 정복해, 당의 영토를 전 황조 수의 2배로 넓혔다.

이세민의 고구려 원정

644년 6월 당은 고구려의 요동 공격을 명령한 후 11월 수륙 양면으로 약 3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해 공격을 시작했다. 이때 당군은 각종 공성용(攻城用) 기구를 총동원했다. 당 태종은 다음해 2월에 뤄양(洛陽)을 출발하여 직접 원정길에 올랐다. 요동에 진입한 이세적(李世勣)의 군대는 개모성(蓋牟城)을 함락시키고, 장량(張亮)의 수군은 비사성(卑沙城)을 함락시켰다. 태종이 직접 독려하는 가운데 645년 5월에는 요동성까지 함락시킨 뒤 백암성(白巖城)을 공격했다.

백암성이 6월에 함락되자 태종은 안시성이 연개소문의 정변 때도 안시성 성주(양만춘이라고 전해지기도 한다.)가 복종하지 않아 공격을 받았으나, 항복시키지 못한 점을 들어 우회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보급로가 차단될 것을 염려한 이세적의 건의를 받아들여 안시성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고구려의 중앙정부에서는 고연수(高延壽), 고혜진(高惠眞)의 지휘 아래 말갈군을 포함하여 15만 명의 군사를 내어 안시성 구원을 위해 출동시켰으나 당군의 작전에 말려들어 고전 끝에 항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립된 안시성의 저항이 완강하자 이세적은 태종에게 성이 함락되면 남자를 모두 구덩이에 파묻겠다고 했다. 포위공격이 성과가 없자 당의 장군들은 동남쪽에 있는 오골성(烏骨城)을 먼저 치고 곧바로 평양으로 직공하자고 건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태종의 손자 무기(無忌)가 오골성을 공격할 때 후방에서 안시성의 고구려군이 역공할 가능성이 있다며 반대하자 이를 받아들여 계속 안시성을 공격했다. 하루에도 6~7차례에 걸쳐 당군의 공격이 계속되었고 포거(抛車:투석기)가 날린 돌에 성벽이 무너지면 고구려군은 재빨리 목책(木柵)을 세워 방어했다. 당군은 성 동남쪽에 성과 같은 높이로 흙산을 쌓아 성을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흙산이 거의 완성될 즈음에 갑자기 무너지면서 성벽을 무너뜨리자 고구려군은 재빨리 성벽 밖으로 나와 이를 점령하고, 나무를 쌓아 불을 지르니 당군은 접근조차 하지 못했다. 태종은 책임자 부복애의 목을 베고 싸움을 독려하여 마지막 3일간 맹렬한 공격을 퍼부었으나 끝내 실패했다. 안시성 전투에서 많은 병력을 잃은 당군은 뒤이어 쫓아온 연개소문에게 크게 패퇴하고, 태종은 결국 고구려 침공에서 얻은 병이 원인이 되어 사망하였다.

이후 이세민의 아들인 당 고종신라와 협공하여,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킬 때까지, 고구려는 8번에 걸친 당군의 원정을 막아냈다.

후계자와 최후

649년, 당 태종 이세민은 이 때, 이질을 앓고 있었다. 원래 그는 황태자 이승건이 있었으나 폐하고, 이후 4남 복왕 이태를 봉하였으나, 행실을 이유로, 역시 폐하였다. 그리하여, 9남 위진왕 이치를 황태자에 세웠다. 황태자 이치는 이후 당의 제3대 황제 당 고종이 되며, 대리 청정을 했다.

649년 7월 10일, 당 태종 이세민은 장안 함풍전에서 51세를 일기로 붕어했으며, 시호는 태종 문무대성대광효황제(太宗 文武大聖大廣孝皇帝)이며, 능호는 소릉(昭陵)으로 지금의 섬서성 예천현에서 동북쪽으로 50리 떨어져 있는 산에 묻혔다.

가족 관계

황후와 후궁

  • 문덕황후 장손씨 (文德皇后 長孫氏)
  • 위귀비 (장손황후 사후 실질적인 내명부통솔)
  • 서현비
  • 양귀비 (수 양제의 딸)
  • 음현비 (태종을 죽이려해 합장박탈)
  • 연숙비 (무후시절엔 연태비)
  • 양덕비 (동생 이원길의 처)
  • 양덕비 (동명이인)
  • 왕소의
  • 무재인
  • 대희

자녀

아들들

  1. 상산왕 폐황태자 이승건 <常山王 廢皇太子 李承建>
  2. 초왕 이관
  3. 오왕 이각
  4. 복왕 폐황태자 이태 <僕王 廢皇太子 李泰>
  5. 폐서인 이우
  6. 촉왕 이음
  7. 장왕 이운
  8. 월왕 이정
  9. 진왕 이치 (당 고종) <晉王 李治>
  10. 기왕 이신
  11. 강상왕 이효
  12. 대왕 이간
  13. 조왕 이복
  14. 조왕 이명

딸들

  1. 양성공주 <量性公主>
  2. 여남공주 <麗濫公主>
  3. 문성공주 설안<文成公主 說安>
  4. 남평공주 사희<南平公主 四熙>
  5. 수안공주 <修安公主>
  6. 장락공주 <將樂公主>
  7. 예장공주 <藝章公主>
  8. 비경공주 <備景公主>
  9. 보안공주 <寶顔公主>
  10. 동양공주<童陽公主>
  11. 임천공주<任天公主>
  12. 청하공주<靑河公主>
  13. 난릉공주<暖凌公主>
  14. 진안공주<進安公主>
  15. 안강공주<岸鋼公主>
  16. 신흥공주<信興公主>
  17. 성양공주<省亮公主>
  18. 합보공주<合普公主>
  19. 금산공주<琴山公主>
  20. 진양공주 명달<眞洋公主 明達>
  21. 상산공주<床山公主>
  22. 신성공주<新聖公主>

연호

정관(貞觀) 627년 ~ 649년

당 태종을 연기한 배우들

바깥 고리

전임
아버지 당 고조 이연
제2대 중국 당나라 황제
626년 - 649년
후임
9남 당 고종 이치
전임
아버지 당 고조 이연
중국 황제
626년 - 649년
후임
9남 당 고종 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