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긍익: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이긍익'''(李肯翊, [[1736년]] ~ [[1806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다. 자는 장경(長卿), 호는 완산(完山) 또는 연려실(燃藜室)이며, [[한성부]] 출생이다. [[이광사]]의 아들이다.<ref>[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front/dirservice/ppl/viewDocumentPpl.jsp?pLevel2Name=&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b_A1567_1_0001427&pPplCount=&pOrderByType=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2Ffront%2Fdirservice%2Fppl%2FviewDocumentPpl.jsp%3FpLevel2Name%3D&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b_A1567_1_0001427&pPplCount=&pOrderByType= }}</ref>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全州)이며, 조선의 제2대 임금인 [[조선 정종|정종 이경]] 서자 [[덕천군 (왕족)|덕천군]](德泉君)의 후손이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9261752595&code=900305 조선 최후의 문장가 이건창의 삶과 사상 上] 《경향신문》, 2008년 9월 26일, 박석무</ref>.
'''이긍익'''(李肯翊, [[1736년]] ~ [[1806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다. 자는 장경(長卿), 호는 완산(完山) 또는 연려실(燃藜室)이며, [[한성부]] 출생이다. [[이광사]]의 아들이다.<ref>[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front/dirservice/ppl/viewDocumentPpl.jsp?pLevel2Name=&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b_A1567_1_0001427&pPplCount=&pOrderByType=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2Ffront%2Fdirservice%2Fppl%2FviewDocumentPpl.jsp%3FpLevel2Name%3D&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b_A1567_1_0001427&pPplCount=&pOrderByType= }}</ref>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全州)이며, 조선의 제2대 임금인 [[조선 정종|정종 이경]] 서자 [[덕천군 (왕족)|덕천군 이후생]](德泉君)의 후손이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9261752595&code=900305 조선 최후의 문장가 이건창의 삶과 사상 上] 《경향신문》, 2008년 9월 26일, 박석무</ref>.


어려서 아버지 이광사에게 수학하여 학문과 글씨가 뛰어났으며, 실학을 제창하고 [[고증학|고증]]학자로서도 유명하였다. 그의 집안은 [[소론]]에 속하였는데, [[노론]]의 집권으로 여러 번 귀양살이를 했으며 온 집안이 크게 화를 입었다. 많은 책을 저술했으나 여러 번 귀양살이를 하느라 대부분 유실되고, 조선 왕조 야사(野史)의 금자탑이라고 할 수 있는 《[[연려실기술]]》만 전한다.
어려서 아버지 이광사에게 수학하여 학문과 글씨가 뛰어났으며, 실학을 제창하고 [[고증학|고증]]학자로서도 유명하였다. 그의 집안은 [[소론]]에 속하였는데, [[노론]]의 집권으로 여러 번 귀양살이를 했으며 온 집안이 크게 화를 입었다. 많은 책을 저술했으나 여러 번 귀양살이를 하느라 대부분 유실되고, 조선 왕조 야사(野史)의 금자탑이라고 할 수 있는 《[[연려실기술]]》만 전한다.

2019년 9월 5일 (목) 16:22 판

이긍익(李肯翊, 1736년 ~ 1806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다. 자는 장경(長卿), 호는 완산(完山) 또는 연려실(燃藜室)이며, 한성부 출생이다. 이광사의 아들이다.[1] 본관전주(全州)이며, 조선의 제2대 임금인 정종 이경 서자 덕천군 이후생(德泉君)의 후손이다[2].

어려서 아버지 이광사에게 수학하여 학문과 글씨가 뛰어났으며, 실학을 제창하고 고증학자로서도 유명하였다. 그의 집안은 소론에 속하였는데, 노론의 집권으로 여러 번 귀양살이를 했으며 온 집안이 크게 화를 입었다. 많은 책을 저술했으나 여러 번 귀양살이를 하느라 대부분 유실되고, 조선 왕조 야사(野史)의 금자탑이라고 할 수 있는 《연려실기술》만 전한다.

저작

이긍익의 역사에 대한 안목을 살펴 볼 수 있는 저작으로 《연려실기술》을 꼽을 수 있다. 이긍익은 고증을 역사에서 제일의 생명으로 여기고 어디까지나 '술이부작(述而不作)'과 '불편부당(不便不黨)'의 정신으로 남인 · 북인 · 노론 · 소론 및 유명 · 무명 인사를 가리지 않고 자료들을 섭렵, 인용하였으며, 거의 국내자료에 국한하였다. 이것은 한치윤(韓致奫, 1765 ~ 1814)이 《해동역사》를 쓸 때 외국자료를 통하여 한국사를 이해하려 한 것과 대조된다. 역사는 내 나라의 자료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강한 자아의식 때문이었다. 뿐만 아니라, 역사서술에서 생명으로 다룬 것은 객관성 · 공정성 · 체계성 · 계기성 · 현실성이었는데 당시 상황에서 앞선 역사의식으로 평가되고 있다.

가계

함께 보기

각주

  1.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조선 최후의 문장가 이건창의 삶과 사상 上 《경향신문》, 2008년 9월 26일, 박석무
  3. 이진검 이진유 형제는 영빈 김씨의 외사촌 아우이다.

참고 문헌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저, 한국사전연구사(1998년)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