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Jason1016 (토론 | 기여)
ㄹㄷㅈㅂㄹㅈㄼㅈㄹ
태그: 문서 훼손 가능성 (테스트) 욕설
1번째 줄: 1번째 줄:
ewe_name" />
{{생물 분류
|이름=식물
|색=식물
|그림=Diversity of plants image version 3.png
|그림_설명=
|역=[[진핵생물]]
{{미분류|분류=[[원시색소체생물]]}}
|계='''식물계''' (Plantae)
|계_명명=[[에른스트 헤켈|Haeckel]], 1866년
|하위_고리=문
|하위=
'''[[녹조류]]''' (Green algae)<ref name="undetermined_name">이들 이름은 국제, 또는 한국어 공식 명칭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ref>
* [[녹조식물|녹조식물문]] (Chlorophyta)
* [[윤조식물|윤조식물문]] (Charophyta)
'''[[유배식물]]''' (Embryophytes)
* '''[[선태식물|선태식물상문]]''' (Bryophytes)<ref name="undetermined_name" />
** [[우산이끼문]] (Marchantiophyta)
** [[우산이끼문]] (Marchantiophyta)
** [[뿔이끼류|각태식물문]] (Anthocerotophyta)
** [[뿔이끼류|각태식물문]] (Anthocerotophyta)
** [[ㅈㄷㄼㅈㄹㄷㅂㄹㄷㅈㄹㅈㄹㄷㅈㄹㄷㅈㅂㄼㄼㄼㄷㅂㅈㅂㅂㅂ|-
** [[이끼|선태식물문]] (Bryophyta)
** [[멸종|†]] [[호르네오피톤강]] (Horneophytopsida)
* '''[[관다발식물]]''' (Tracheophytes)
** [[멸종|†]] 리니아문 (Rhyniophyta)
** [[멸종|†]] Zosterophyllophyta
** [[석송문]] (Lycopodiophyta)
** [[멸종|†]] Trimerophytophyta
** [[양치식물문]] (Pteridophyta)
** [[멸종|†]] Progymnospermophyta
** '''[[종자식물|종자식물상문]]''' (Spermatophyta)
*** [[멸종|†]] 양치종자식물문 (Pteridospermatophyta)
*** [[구과식물|구과식물문]] (Pinophyta)
*** [[소철류|소철문]] (Cycadophyta)
*** [[은행나무|은행나무문]] (Ginkgophyta)
*** [[마황문]] (Gnetophyta)
*** [[속씨식물|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 [[멸종|†]] '''사상식물''' (Nematophytes)
}}
{{wikispecies|Plantae|식물계}}

'''식물'''(植物)은 분류학적으로 '''식물계'''에 속하는 [[생물]]을 말한다. [[생물]]을 나누는 주요 분류의 하나로, [[나무]], [[풀]] 등이 여기에 속한다. 넓게는 [[동물]]이 아닌 것을 모두 가리킨다. 보통 [[광합성]]을 하여 녹말 등의 광합성을 만드나, 일부 [[기생식물]]이랑 [[공생식물]]처럼, 엽록소를 잃고, 대신 직접 포식하거나, 기생, 공생 등으로 양분을 얻는 종도 있다. 원래 식물은 운동성이 거의 없으나, [[파리지옥]], [[신경초]], [[무초]]처럼 민첩한 운동을 하는 식물도 몇 종 있다.

== 정의 ==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생물을 식물(일반적으로 움직이지 않는)과 동물(가끔씩 먹이를 찾으러 움직이는)로 구분하였다. [[칼 폰 린네]] 시스템에서는 식물[[계 (생물학)|계]]와 [[동물계]]가 되었다. [[균계|균]]과 일부 [[조류 (수생 생물)|조류]] 그룹은 새로운 식물계에서 제거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여러 환경에서 식물이라 불리기도 한다.
{| class="wikitable"
|-
! width="120" | 이름
! width="120" | 이름
! width="150" | 범위fewaewwennwealeawlknlwenfnwealkf역시식물은 동물이야| [[홍조식물]], [[회색조식물]]을 포함하여 위에 언급한 모든 녹색 식물을 이룬다. 가장 넓은 분류이며, [[남조류]]를 직접 환위하여 이언(eon) 이전에 [[엽록체]]를 얻는 대부분의 [[진핵생물]]을 이룬다.
! width="150" | 범위
! 설명
|-
| [[유배식물]]<br />(육상식물)
| 아주 좁은 의미의<br />식물계
| 식물 분류에서 가장 좁은 분류이다.
|-
| [[녹색식물]]
| 좁은 의미의<br />식물계
| 위의 유배식물, [[윤조식물]](이를테면 [[윤조목]]), [[녹조식물]](이를테면 [[파래]]와 같은 [[녹조류]])을 이룬다.
|-
| [[원시색소체생물]]
| 넓은 의미의<br />식물계
| [[홍조식물]], [[회색조식물]]을 포함하여 위에 언급한 모든 녹색 식물을 이룬다. 가장 넓은 분류이며, [[남조류]]를 직접 환위하여 이언(eon) 이전에 [[엽록체]]를 얻는 대부분의 [[진핵생물]]을 이룬다.
|}
|}
{{barlabel
{{barlabelㄷㄹㅈㅂ
[[파일:ㅈㄷㄹㅈㅂ|섬네일]]
|size=4
|at=3|분류=전통적으로 "[[조류 (수생 생물)|조류]]"로<br />불렸던 분류군
|분기도=
{{분기군x
|분류1='''[[원시색소체생물]]'''&nbsp;
|1={{분기군x
|1=[[회색조식물]]|bar1=darkgreen|barbegin1=darkgreen
|2={{분기군x
|1=[[홍조식물]]|bar1=darkgreen|bar1=darkgreen
|2={{분기군x
|분류1='''[[녹색식물]]'''&nbsp;
|1={{분기군x
|1=[[녹조식물]] (녹조류의 일부)|bar1=darkgreen
|분류2=[[스트렙토식물]]&nbsp;
|2={{분기군x
|1=윤조류 (녹조류의 일부)|state1=double|bar1=darkgreen
|2={{분기군x
|1=[[윤조식물]] (차축조류, 종종 녹조류에 포함)|barend1=darkgreen
|2='''[[육상식물]]''' 또는 [[유배식물]]
}}
}}
}}
}}
}}
}}
}}
}}
ㅈㅂㄷㄹㅈㄹㅈㅂㄹ
}}

=== 조류 ===
{{본문|조류 (수생 생물)}}
대부분의 [[조류 (수생 생물)|조류]]는 더 이상 식물계에 속하지 않는다.<ref>Margulis, L. (1974). "Five-kingdom classification and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ells". Evolutionary Biology 7: 45–78.</ref><ref>Raven, Peter H., Ray F. Evert, & Susan E. Eichhorn, 2005. Biology of Plants, 7th edition.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ISBN 0-7167-1007-2.</ref> 조류는 광합성을 통하여 에너지를 만드는 여러 그룹의 유기체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각기 광합성을 띠지 않는 원종(原種)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일어난다. 조류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다세포 조류인 [[바닷말]]인데 토양 식물과 매우 닮았지만 [[녹조류]], [[홍조식물|홍조류]], [[갈조류]]로 분류된다. 이러한 각 조류 그룹은 다양하고도 미시적인 단세포 유기체를 포함하기도 한다.
=== 균 ===
{{본문|균계}}
[[균계|균]]의 분류는 최근의 생물 역사에 이르기까지 논란이 일었다. 이들은 분명히 동물이 아니었기에 [[칼 폰 린네|린네]]의 원래 분류는 균을 식물계 안으로 넣었다. 나중에 [[미생물학]]이 발전하자 19세기 [[에른스트 헤켈]]은 새롭게 발견한 미생물을 분류할 필요를 느꼈다. 이를 동물계에 넣지 않고 대신 [[원생생물|원생생물계]]라는 새로운 계를 만들었는데 균이 식물계에 들어가는 것이 적절한지 원생생물계로 다시 분류되는 것이 맞는지 논란이 일었다. 헤켈은 스스로 이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1969년에 [[로버트 휘태커]]는 균계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휘태커의 재분류는 균계와 식물계의 영양분이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에 기반을 둔다. 광합성을 통하여 탄소를 얻음으로써 [[자가영양생물|스스로 영양분을 얻는]] 다세포 [[광영양생물]]인 식물과는 달리 균은 일반적으로 주변 물질을 분해하거나 흡수하여 탄소를 얻는 [[종속영양생물]](영양소를 다른 생물이 만든 유기물에 의존하는 생물)이거나 다세포 [[부생 생물]]이다.

== 분류 ==
[[녹조류]]와 [[종자식물]], [[선태식물]], [[양치식물]]로 정의되는 약 350,000여 종의 식물 종들이 현존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04년 기준으로 약 287,655 종의 [[속씨식물]]과 11,000여 종의 [[양치식물]] 그리고 8,000여 종의 [[녹조류]]가 보고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align="left" style="margin-left:1em"
|+'''각 식물 [[문 (생물학)|문]](門)의 현존하는 종의 수'''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 | 비공식 그룹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 | 식물 문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 | 현존하는 종의 수
|-
| rowspan=2 style="background:lightgray" valign="top" | [[녹조류]] (Green algae)
| '''[[녹조식물|녹조식물문]]''' (Chlorophyta)
| align="right" | 3,800 <ref>Van den Hoek, C., D. G. Mann, & H. M. Jahns, 1995.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pages 343, 350, 392, 413, 425, 439, & 44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0419-9</ref>
|-
| '''[[윤조식물|윤조식물문]]''' (Charophyta)
| align="right" | 4,000 - 6,000 <ref>Van den Hoek, C., D. G. Mann, & H. M. Jahns, 1995.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pages 457, 463, & 47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0419-9</ref>
|-
| rowspan=3 style="background:lightgray" valign="top" | [[선태식물]] (Bryophytes)
| '''[[우산이끼문]]''' (Marchantiophyta)
| align="right" | 6,000 - 8,000 <ref>Crandall-Stotler, Barbara. & Stotler, Raymond E., 2000.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the Marchantiophyta". page 21 ''in'' A. Jonathan Shaw & Bernard Goffinet (Eds.), ''Bryophyte Bi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66097-1</ref>
|-
| '''[[뿔이끼류|각태식물문]]''' (Anthocerotophyta)
| align="right" | 100 - 200 <ref>Schuster, Rudolf M., ''The Hepaticae and Anthocerotae of North America'', volume VI, pages 712-713. (Chicago: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992). ISBN 0-914868-21-7.</ref>
|-
| '''[[이끼|선태식물문]]''' (Bryophyta)
| align="right" | 12,000 <ref name="Goffinet & Buck 2004">{{저널 인용 | 성=Goffinet | 이름 = Bernard | 공저자 = William R. Buck | 발행년도=2004 | 제목=Systematics of the Bryophyta (Mosses): From molecules to a revised classification | 저널=Monographs in Systematic Botany | volume=98 | 쪽=205–239 | publisher=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ref>
|-
| rowspan=2 style="background:lightgray" valign="top" | [[양치식물]] (Pteridophytes)
| '''[[석송문]]''' (Lycopodiophyta)
| align="right" | 1,200 <ref name="Raven 2005">Raven, Peter H., Ray F. Evert, & Susan E. Eichhorn, 2005. ''Biology of Plants'', 7th edition.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ISBN 0-7167-1007-2.</ref>
|-
| '''[[양치류|양치식물문]]''' (Pteridophyta)
| align="right" | 11,000 <ref name="Raven 2005" />
|-
| rowspan=5 style="background:lightgray" valign="top" | [[종자식물]] (Spermatophyta)
| '''[[소철문]]''' (Cycadophyta)
| align="right" | 160 <ref>Gifford, Ernest M. & Adriance S. Foster, 1988. ''Morphology and Evolution of Vascular Plants'', 3rd edition, page 358.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ISBN 0-7167-1946-0.</ref>
|-
| '''[[은행나무|은행나무문]]''' (Ginkgophyta)
| align="right" | 1 <ref>Taylor, Thomas N. & Edith L. Taylor, 1993. ''The Biology and Evolution of Fossil Plants'', page 636. (New Jersey: Prentice-Hall). ISBN 0-13-651589-4.</ref>
|-
| '''[[구과식물|구과식물문]]''' (Pinophyta)
| align="right" | 630 <ref name="Raven 2005" />
|-
| '''[[마황문]]''' (Gnetophyta)
| align="right" | 70 <ref name="Raven 2005" />
|-
| '''[[속씨식물|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 align="right" | 258,650 <ref>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2006. ''[http://www.iucnredlist.org/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Summary Statistics]''</ref>
|}

{{-}}

== 생리학 ==
{{본문|식물생리학}}
=== 광합성 ===
{{본문|광합성|생물 색소}}
식물은 [[빛]]으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기만의 먹이 분자를 만드는 [[광합성]]을 한다.
=== 면역 체계 ===
마치 신경계처럼 식물은 입사광의 세기와 질에 대한 체계 정보를 주고받는다. 한 잎에 화학 반응을 자극하는 입사광은 [[관다발|유관속초세포]]를 통하여 식물 전체에 연쇄적인 신호 반응을 일으킨다.

=== 내부 분배 ===
{{본문|관다발}}
[[관다발식물]]은 [[물관부]](목질부)와 [[체관부]]로 불리는 특별한 구조를 통하여 다른 부위끼리 영양분을 전달하는 식물과는 다르다. 또, 이들은 물과 무기물을 받아들이는 [[뿌리]]가 있다. 물관부는 물과 무기질을 뿌리로부터 식물 끝으로까지 옮겨 주며 체관부는 잎이 만든 당분과 영양분을 뿌리에 전달한다.<ref>Campbell, Reece, Biology, 7th edition, Pearson/Benjamin Cummings, 2005.</ref>

== 생태학 ==
{{본문|식물생태학}}
육지 식물과 조류가 행하는 광합성은 거의 모든 생태계에 궁극의 에너지 원천이자 유기 물질이다. 광합성은 모든 지구의 대기 성분을 빠르게 바꾸었으며 그 결과 [[산소]]가 21%를 차지한다. 동물과 다른 대부분의 생물은 산소에 의지하여 [[호기성 생물|호흡]]을 한다. 그렇지 않은 생물들은 상대적으로 드문 [[저산소증|저산소 환경]]에 제한을 받으며 살아간다. 식물들은 대부분의 토양 생태계의 [[자가영양생물|주된 생산물]]이며 이러한 생태계에서 [[먹이 사슬]]의 토대를 이룬다. 수많은 동물들은 산소와 먹이뿐 아니라 은신처를 위하여 식물에 의지한다.

토양 식물은 [[물의 순환]]과 다른 몇 가지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의 주된 요소이다. 일부 식물은 [[질소고정]] 박테리아와 [[공진화]]해왔는데 이는 식물을 [[질소의 순환]]의 중요한 일부로 만들어 놓았다. 식물의 뿌리는 [[토양]] 발달과 [[토양 침식]]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중요성 ==
사람들이 식물을 연구하면서 경제식물학이나 [[민족식물학]]이라는 용어가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어떠한 사람들은 경제식물학이 현대의 경작 식물에 초점을 두는 반면 민족식물학이 토착인이 경작하고 사용하는 토착 식물에 초점을 둔다고 여긴다. 인간이 식물을 경작하는 일은 문명의 토대인 [[농업]]의 일부로 되어 있다. 식물 경작은 [[농업 경제학]], [[원예]], [[임업]]으로 나뉜다.
* 음식
* 음식이 아닌 상품
* 미적인 이용
* 과학적이고 문화적인 이용
* 부정적 영향

== 사진첩 ==
<center><gallery widths="180px" heights="120px" perrow="3">
파일:Borassus flabellifer.jpg|Borassus flabellifer
파일:GntTaatiFruit.jpg|인도의 한 시장에 있는 야쟈수 열매 Borassus flabellifer (Thaati Munjelu).
파일:Turmericroot.jpg|Turmeric rhizome
파일:Starr 050407-6233 Ipomoea batatas.jpg|고구마, ''Ipomoea batatas'', Maui Nui Botanical Garden
파일:Pandan wangi.JPG|''Pandanus amaryllifolius''
파일:California Papaya ID.jpg|California Papaya
파일:Papaya sunset.jpg|''Carica papaya'', cultivar 'Sunset'
파일:Prepared lemon grass.JPG|''Cymbopogon citratus'', lemon grass, oil grass
파일:Bangkuang 070612-056 stgd.jpg|''Pachyrhizus erosus'' bulb-root. Situgede, Bogor, West Java, Indonesia.
파일:KIKU brak-ontree.JPG|Fuji (apple)
파일:SauropusAndrogynus.jpg|Sprouting shoots of ''Sauropus androgynus''
파일:Ilaneer.jpg|''Cocos nucifera''
</gallery></center>

==각주==
<references />

== 같이 보기 ==
* [[식물의 진화]]
* [[식물생태학]]
* [[식물의 기형]]
** [[대화 (기형)|대화]](帶化, [[:en:Fasciation]])

{{식물학}}
{{진핵생물}}
{{식물}}
{{Authority control}}

[[분류:식물| ]]

2015년 12월 10일 (목) 23:10 판

ewe_name" />

    • 우산이끼문 (Marchantiophyta)
    • 각태식물문 (Anthocerotophyta)
    • [[ㅈㄷㄼㅈㄹㄷㅂㄹㄷㅈㄹㅈㄹㄷㅈㄹㄷㅈㅂㄼㄼㄼㄷㅂㅈㅂㅂㅂ|-

! width="120" | 이름 ! width="150" | 범위fewaewwennwealeawlknlwenfnwealkf역시식물은 동물이야| 홍조식물, 회색조식물을 포함하여 위에 언급한 모든 녹색 식물을 이룬다. 가장 넓은 분류이며, 남조류를 직접 환위하여 이언(eon) 이전에 엽록체를 얻는 대부분의 진핵생물을 이룬다. |} {{barlabelㄷㄹㅈㅂ

파일:ㅈㄷㄹㅈㅂ

}} ㅈㅂㄷㄹㅈㄹㅈㅂ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