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반죽동 석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석조을(를) 추가함
문화재 정보 틀 새것으로 바꾸고, 사진 넣고, 내용 더함
1번째 줄: 1번째 줄:

{{유형문화재 정보
{{문화재 정보
| 소재_국가 = {{KOR}}
|이름 = 공주 반죽동 석조</br>(公州 班竹洞 石槽)
| 유형 =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 그림 = Replace this image male-ko.svg | 그림크기 = 150
|그림 = 공주 반죽동 석조.jpg
|국가 = {{KOR}}
| 이름 = 공주 반죽동 석조</br>(公州 班竹洞 石槽)
|유형 = [[대한민국의 보물 (제101호 ~ 제200호)|보물]]
| 지정_번호 = 149
|번호 = 149
| 지정연월일 = [[1963년]] [[1월 21일]]
|지정 = [[1963년]] [[1월 21일]]
| 해지연월일 =
|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br>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br>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시대 = [[백제 시대]]
| 소유자 = 국유
| 수량 = 1개
|소유 = 국유
| 연면적 =
|수량 = 1개
|문화재청 = 12,01490000,34
| 좌표 =
| 제작_시기 = [[백제]]
| 비고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
}}
}}


'''공주 반죽동 석조'''(公州 班竹洞 石槽)는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의 석조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 [[보물]]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공주 반죽동 석조'''(公州 班竹洞 石槽)는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의 석조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공주 중동 석조]](보물 제148호)와 같이 대통사터에 있었다. 절에서 주로 연꽃을 담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공주 중동 석조와는 규모만 다를 뿐 양식이나 조각수법이 거의 같아서, 두 석조는 어느 한 건물 앞에 한 쌍으로 두려고 동시에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 형태 ==
석조는 굽이 높은 사발을 확대한 모양으로 네모난 바닥돌 이외에는 거의 동그란 구조이다. 바닥돌 위에 원기둥으로 된 받침기둥을 세우고, 그 위로 둥글고 큰 석조를 얹었는데, 석조는 화강암의 안을 파내어 만든 것이다. 받침 기둥에는 전형적인 백제 수법으로 12개의 잎을 가진 연꽃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겨 두었는데, 이 무늬는 공주지방에서 나온 기와무늬와도 같은 모양이다. 그 위로 놓여있는 석조는 입구 가장자리에 굽처럼 넓적한 띠를 돌리고, 중앙에는 2줄의 띠를 돌렸으며 띠에는 8개의 연꽃잎을 가진 꽃송이를 사방에 도드라지게 새겨 장식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의 직사각형 석조와는 달리 연꽃잎을 장식한 받침기둥 위에 놓인 이 석조는 바깥 면에도 풍만한 연잎과 단아한 띠를 돌려 귀족적인 느낌을 준다.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http://www.museum.go.kr/program/relic/relicDetail.jsp?langCodeCon=LC1&menuID=001005001003&relicID=4900&relicDetailID=19706 국립중앙박물관 국보·보물 검색-공주 반죽동 석조]
* {{문화재청 문화재|12,01490000,34}}
* {{문화재청 문화재|12,01490000,34}}


{{토막글|불교}}
{{토막글|불교|미술}}


[[분류:충청남도의 보물]]
[[분류:충청남도의 보물]]

2014년 7월 8일 (화) 12:20 판

공주 반죽동 석조
(公州 班竹洞 石槽)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49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수량1개
시대백제 시대
소유국유
주소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공주 반죽동 석조(公州 班竹洞 石槽)는 충청남도 공주시,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의 석조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공주 중동 석조(보물 제148호)와 같이 대통사터에 있었다. 절에서 주로 연꽃을 담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공주 중동 석조와는 규모만 다를 뿐 양식이나 조각수법이 거의 같아서, 두 석조는 어느 한 건물 앞에 한 쌍으로 두려고 동시에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

석조는 굽이 높은 사발을 확대한 모양으로 네모난 바닥돌 이외에는 거의 동그란 구조이다. 바닥돌 위에 원기둥으로 된 받침기둥을 세우고, 그 위로 둥글고 큰 석조를 얹었는데, 석조는 화강암의 안을 파내어 만든 것이다. 받침 기둥에는 전형적인 백제 수법으로 12개의 잎을 가진 연꽃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겨 두었는데, 이 무늬는 공주지방에서 나온 기와무늬와도 같은 모양이다. 그 위로 놓여있는 석조는 입구 가장자리에 굽처럼 넓적한 띠를 돌리고, 중앙에는 2줄의 띠를 돌렸으며 띠에는 8개의 연꽃잎을 가진 꽃송이를 사방에 도드라지게 새겨 장식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의 직사각형 석조와는 달리 연꽃잎을 장식한 받침기둥 위에 놓인 이 석조는 바깥 면에도 풍만한 연잎과 단아한 띠를 돌려 귀족적인 느낌을 준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