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렌고세균
크렌고세균 | ||
---|---|---|
특정 바이러스 STSV-1에 감염된 술폴로부스속 고균 | ||
생물 분류ℹ️ | ||
역: | 고세균역 | |
계: | 프로테오고세균계 | |
상문: | TACK | |
문: | 크렌고세균문 (Crenarchaeota) cavalier-Smith 2002 | |
강 | ||
|
크렌고세균(Crenarchaeota) 또는 크렌아르케오타는 분류학에서 문(門)[1] ,혹은 계(界)에 속한다.[2] 처음에, 크렌고세균은 극한미생물에 속한다고 여겨졌지만, 최근 연구로 바다에서 가장 많이 분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3] 본래, 크렌고세균은 rRNA에 기반한 다른 고세균과 분리된 고세균이었다. 그러나, 몇몇 크렌고세균은 히스톤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4] 현재 배양되는 모든 크렌고세균은 호열성이거나 극호열성 생물이고, 그 중 일부는 섭씨 113 °C에 이르러도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5] 크렌고세균은 그람 음성균이며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6]
술포로부스속
[편집]가장 특색있는 크렌고세균 중 하나는 술포로부스 솔파타리쿠스(Sulfolobus solfataricus)이다. 이 고세균은 최초로 이탈리아의 유황 온천에 발견된 고세균이다. 이 온천의 온도는 섭씨 80 °C, pH는 2 - 4였다.[7] 이 고세균은 울프람 질리그가 최초로 특징을 밝혔다. 대부분의 배양된 호열성 생물과 달리 술포로부스속(sulfolobus)은 호기성 생물 혹은 화학유기종속영양생물로 자란다. 이런 특징은 혐기성 생물보다 더 성장하기 쉬운 이점이 되고, 극호열성 생물을 연구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해양 종
[편집]1992년 초, 바다에 분포하는 크렌고세균의 유전자 배열에 대한 정보가 발표되었다.[8],[9] 그 때부터 바다에 분포하는 크렌고세균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지질(脂質) 분석 연구가 시작되어 "저온에서의 크렌고세균"의 분포를 아는데 기여했다. 이런 연구로 크렌고세균은 그 수가 매우 많고 탄소 고정을 일으키는 주 기여자 중 하나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크렌고세균의 DNA 서열이 토양과 민물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크렌고세균문(phylum)은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0]
2005년, 최초로 배양된 "저온에서의 크렌고세균"의 증거가 발표되었다. 니트로소푸밀루스 마르티무스(Nitrosopumilus maritimus)로 명명된 이 고세균은 28 °C에서 서식하는 암모니아 산화 생물이다.[11]
원시세포 이론
[편집]원시세포 이론은 1980년대, 제임스 레이크가 진핵생물은 원핵생물에서 진화한다고 주장한 이론이다.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프로테오고균의 계통 분류이다.[13][14][15][16]
프로테오고세균 |
| ||||||||||||||||||||||||||||||||||||||||||||||||||||||||||||
각주
[편집]- ↑ See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webpage on Crenarchaeota. Data extracted from the “NCBI taxonomy resources”.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07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Tree of Life: Crenarchaeota
- ↑ Madigan M; Martinko J (editors). (2005).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1판. Prentice Hall. ISBN 0-13-144329-1.
- ↑ Cubonova L, Sandman K, Hallam SJ, Delong EF, Reeve JN (2005). “Histones in crenarchaea”. 《Journal of Bacteriology》 187 (15): 5482–5485. doi:10.1128/JB.187.15.5482-5485.2005. PMC 1196040. PMID 16030242.
- ↑ Blochl E, Rachel R, Burggraf S, Hafenbradl D, Jannasch HW, Stetter KO (1997). “Pyrolobus fumarii, gen. and sp. nov., represents a novel group of archaea, extending the upper temperature limit for life to 113 °C”. 《Extremophiles》 1 (1): 14–21. doi:10.1007/s007920050010. PMID 9680332.
- ↑ Garrity GM, Boone DR (editors) (2001).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ume 1: The Archaea and the Deeply Branching and Phototrophic Bacteria》 2판. Springer. ISBN 0-387-98771-1.
- ↑ Zillig W, Stetter KO, Wunderl S, Schulz W, Priess H, Scholz I (1980). “The Sulfolobus-"Caldariellard" group: Taxonomy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DNA-dependent RNA polymerases”. 《Arch. Microbiol.》 125: 259–269. doi:10.1007/BF00446886.
- ↑ Fuhrman JA, McCallum K, Davis AA (1992). “Novel major archaebacterial group from marine plankton”. 《Nature》 356 (6365): 148–9. doi:10.1038/356148a0. PMID 1545865.
- ↑ DeLong EF (1992). “Archaea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Proc Natl Acad Sci USA》 89 (12): 5685–9. doi:10.1073/pnas.89.12.5685. PMC 49357. PMID 1608980.
- ↑ Barns SM, Delwiche CF, Palmer JD, Pace NR (1996). “Perspectives on archaeal diversity, thermophily and monophyly from environmental rRNA sequences”. 《Proc Natl Acad Sci USA》 93 (17): 9188–93. doi:10.1073/pnas.93.17.9188. PMC 38617. PMID 8799176.
- ↑ Könneke M, Bernhard AE, de la Torre JR, Walker CB, Waterbury JB, Stahl DA (2005). “Isolation of an autotrophic ammonia-oxidizing marine archaeon”. 《Nature》 437 (7058): 543–6. doi:10.1038/nature03911. PMID 16177789.
- ↑ Cox, C. J., Foster, P. G., Hirt, R. P., Harris, S. R., Embley, T. M. (2008). “The archaebacterial origin of eukaryotes”. 《Proc Natl Acad Sci USA》 105 (51): 20356–61. doi:10.1073/pnas.0810647105. PMC 2629343. PMID 19073919.
- ↑ Spang, Anja; Saw, Jimmy H.; Jørgensen, Steffen L.;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Martijn, Joran; Lind, Anders E.; van Eijk, Roel; Schleper, Christa; Guy, Lionel; Ettema, Thijs J.G. (2015). “Complex archaea that bridge the gap between prokaryotes and eukaryotes”. 《Nature》 521 (7551): 173–179. Bibcode:2015Natur.521..173S. doi:10.1038/nature14447. PMC 4444528. PMID 25945739.
- ↑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Caceres, Eva F.; Saw, Jimmy H.; Bäckström, Disa; Juzokaite, Lina; Vancaester, Emmelien; Seitz, Kiley W.; Anantharaman, Karthik; Starnawski, Piotr; Kjeldsen, Kasper U.; Stott, Matthew B.; Nunoura, Takuro; Banfield, Jillian F.; Schramm, Andreas; Baker, Brett J.; Spang, Anja; Ettema, Thijs J.G. (2017).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Nature》 541 (7637): 353–358. Bibcode:2017Natur.541..353Z. doi:10.1038/nature21031. OSTI 1580084. PMID 28077874.
- ↑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외. (2017년 1월 19일).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Nature》 541 (7637): 353–358. Bibcode:2017Natur.541..353Z. doi:10.1038/nature21031. OSTI 1580084. PMID 28077874.
- ↑ Fournier, Gregory P.; Poole, Anthony M. (2018). “A briefly argued case that Asgard Archaea are part of the Eukaryote tree”. 《Frontiers in Microbiology》 (영어) 9: 1896. doi:10.3389/fmicb.2018.01896. ISSN 1664-302X. PMC 6104171. PMID 30158917.
외부 링크
[편집]- NCBI 분류법
- 생물의 계통수
- Species2000
- 마이크로브위키
- LSPN
- Crenarchaeota 위스콘신 대학교의 시각 미생물학 홈페이지
- 유전자 분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