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크렌고세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렌고세균
특정 바이러스 STSV-1에 감염된 술폴로부스속 고균
특정 바이러스 STSV-1에 감염된 술폴로부스속 고균
생물 분류ℹ️
역: 고세균역
계: 프로테오고세균계
상문: TACK
문: 크렌고세균문
(Crenarchaeota)
cavalier-Smith 2002

크렌고세균(Crenarchaeota) 또는 크렌아르케오타분류학에서 (門)[1] ,혹은 (界)에 속한다.[2] 처음에, 크렌고세균은 극한미생물에 속한다고 여겨졌지만, 최근 연구로 바다에서 가장 많이 분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3] 본래, 크렌고세균은 rRNA에 기반한 다른 고세균과 분리된 고세균이었다. 그러나, 몇몇 크렌고세균은 히스톤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4] 현재 배양되는 모든 크렌고세균은 호열성이거나 극호열성 생물이고, 그 중 일부는 섭씨 113 °C에 이르러도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5] 크렌고세균은 그람 음성균이며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6]

술포로부스속

[편집]

가장 특색있는 크렌고세균 중 하나는 술포로부스 솔파타리쿠스(Sulfolobus solfataricus)이다. 이 고세균은 최초로 이탈리아의 유황 온천에 발견된 고세균이다. 이 온천의 온도는 섭씨 80 °C, pH는 2 - 4였다.[7] 이 고세균은 울프람 질리그가 최초로 특징을 밝혔다. 대부분의 배양된 호열성 생물과 달리 술포로부스속(sulfolobus)은 호기성 생물 혹은 화학유기종속영양생물로 자란다. 이런 특징은 혐기성 생물보다 더 성장하기 쉬운 이점이 되고, 극호열성 생물을 연구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해양 종

[편집]

1992년 초, 바다에 분포하는 크렌고세균의 유전자 배열에 대한 정보가 발표되었다.[8],[9] 그 때부터 바다에 분포하는 크렌고세균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지질(脂質) 분석 연구가 시작되어 "저온에서의 크렌고세균"의 분포를 아는데 기여했다. 이런 연구로 크렌고세균은 그 수가 매우 많고 탄소 고정을 일으키는 주 기여자 중 하나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크렌고세균의 DNA 서열이 토양과 민물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크렌고세균문(phylum)은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0]

2005년, 최초로 배양된 "저온에서의 크렌고세균"의 증거가 발표되었다. 니트로소푸밀루스 마르티무스(Nitrosopumilus maritimus)로 명명된 이 고세균은 28 °C에서 서식하는 암모니아 산화 생물이다.[11]

원시세포 이론

[편집]
원시세포 이론[12]

원시세포 이론은 1980년대, 제임스 레이크가 진핵생물원핵생물에서 진화한다고 주장한 이론이다.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프로테오고균의 계통 분류이다.[13][14][15][16]

프로테오고세균
TACK군

코르고세균

크렌고세균

아이가르고세균

게오아르고세균

타움고세균

바티아르고세균

아스가르드고세균

로키고세균

오딘고세균

토르고세균

헤임달고세균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진핵생물역

각주

[편집]
  1. See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webpage on Crenarchaeota. Data extracted from the “NCBI taxonomy resources”.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07년 3월 19일에 확인함. 
  2. Tree of Life: Crenarchaeota
  3. Madigan M; Martinko J (editors). (2005).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1판. Prentice Hall. ISBN 0-13-144329-1. 
  4. Cubonova L, Sandman K, Hallam SJ, Delong EF, Reeve JN (2005). “Histones in crenarchaea”. 《Journal of Bacteriology》 187 (15): 5482–5485. doi:10.1128/JB.187.15.5482-5485.2005. PMC 1196040. PMID 16030242. 
  5. Blochl E, Rachel R, Burggraf S, Hafenbradl D, Jannasch HW, Stetter KO (1997). “Pyrolobus fumarii, gen. and sp. nov., represents a novel group of archaea, extending the upper temperature limit for life to 113 °C”. 《Extremophiles》 1 (1): 14–21. doi:10.1007/s007920050010. PMID 9680332. 
  6. Garrity GM, Boone DR (editors) (2001).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ume 1: The Archaea and the Deeply Branching and Phototrophic Bacteria》 2판. Springer. ISBN 0-387-98771-1. 
  7. Zillig W, Stetter KO, Wunderl S, Schulz W, Priess H, Scholz I (1980). “The Sulfolobus-"Caldariellard" group: Taxonomy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DNA-dependent RNA polymerases”. 《Arch. Microbiol.》 125: 259–269. doi:10.1007/BF00446886. 
  8. Fuhrman JA, McCallum K, Davis AA (1992). “Novel major archaebacterial group from marine plankton”. 《Nature》 356 (6365): 148–9. doi:10.1038/356148a0. PMID 1545865. 
  9. DeLong EF (1992). “Archaea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Proc Natl Acad Sci USA》 89 (12): 5685–9. doi:10.1073/pnas.89.12.5685. PMC 49357. PMID 1608980. 
  10. Barns SM, Delwiche CF, Palmer JD, Pace NR (1996). “Perspectives on archaeal diversity, thermophily and monophyly from environmental rRNA sequences”. 《Proc Natl Acad Sci USA》 93 (17): 9188–93. doi:10.1073/pnas.93.17.9188. PMC 38617. PMID 8799176. 
  11. Könneke M, Bernhard AE, de la Torre JR, Walker CB, Waterbury JB, Stahl DA (2005). “Isolation of an autotrophic ammonia-oxidizing marine archaeon”. 《Nature》 437 (7058): 543–6. doi:10.1038/nature03911. PMID 16177789. 
  12. Cox, C. J., Foster, P. G., Hirt, R. P., Harris, S. R., Embley, T. M. (2008). “The archaebacterial origin of eukaryotes”. 《Proc Natl Acad Sci USA》 105 (51): 20356–61. doi:10.1073/pnas.0810647105. PMC 2629343. PMID 19073919. 
  13. Spang, Anja; Saw, Jimmy H.; Jørgensen, Steffen L.;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Martijn, Joran; Lind, Anders E.; van Eijk, Roel; Schleper, Christa; Guy, Lionel; Ettema, Thijs J.G. (2015). “Complex archaea that bridge the gap between prokaryotes and eukaryotes”. 《Nature》 521 (7551): 173–179. Bibcode:2015Natur.521..173S. doi:10.1038/nature14447. PMC 4444528. PMID 25945739. 
  14.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Caceres, Eva F.; Saw, Jimmy H.; Bäckström, Disa; Juzokaite, Lina; Vancaester, Emmelien; Seitz, Kiley W.; Anantharaman, Karthik; Starnawski, Piotr; Kjeldsen, Kasper U.; Stott, Matthew B.; Nunoura, Takuro; Banfield, Jillian F.; Schramm, Andreas; Baker, Brett J.; Spang, Anja; Ettema, Thijs J.G. (2017).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Nature》 541 (7637): 353–358. Bibcode:2017Natur.541..353Z. doi:10.1038/nature21031. OSTI 1580084. PMID 28077874. 
  15.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외. (2017년 1월 19일).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Nature》 541 (7637): 353–358. Bibcode:2017Natur.541..353Z. doi:10.1038/nature21031. OSTI 1580084. PMID 28077874. 
  16. Fournier, Gregory P.; Poole, Anthony M. (2018). “A briefly argued case that Asgard Archaea are part of the Eukaryote tree”. 《Frontiers in Microbiology》 (영어) 9: 1896. doi:10.3389/fmicb.2018.01896. ISSN 1664-302X. PMC 6104171. PMID 3015891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