쾨세다그 전투
쾨세다그 전투 | |||||||
---|---|---|---|---|---|---|---|
몽골의 아나톨리아 침공의 일부 | |||||||
몽골인들이 셀주크인을 쫓고있다. 코리커스의 헤이턴, Fleur des histoires d'orient. | |||||||
| |||||||
교전국 | |||||||
몽골 제국 몽골령 아르메니아 용병: 조지아 왕국[1] |
룸 술탄국 지원: 조지아 왕국 트라페주스 제국 용병: 라틴 제국 | ||||||
지휘관 | |||||||
바이주 노얀 |
카이쿠스로 2세 아할치헤의 파라다블라 다딘 셰르바시체 † | ||||||
병력 | |||||||
30,000명[3][4]-40,000명[5][6] |
60,000명[3][6]-80,000명[4] (20,000명–25,000명 참전했고 나머지는 떠났다.)[5][7][8][9] | ||||||
피해 규모 | |||||||
약 5,000명 | 약 3,000명[5] |
쾨세다그 전투는 현대 터키 북동부의 에르진잔과 귀뮈샤네 사이의 위치인 쾨세다그(Köse Dağ)의 협곡에서 셀주크 왕조가 통치하는 룸 술탄국과 몽골 제국 사이에 1243년 6월 26일에 벌어진 전투였다.[10][11] 몽골군은 이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배경
[편집]오고타이 칸 재위 기간 동안 룸 술탄국은 케식이자 몽골의 가장 위대한 장군 중 한 사람인 en:Chormaqan과 우정을 쌓고 겸손한 헌사를 바쳤다.[12] 그러나 카이쿠스로 2세 통치 기간의 몽골인들은 술탄에게 몽골에 가서 직접 인질을 보내고 몽골의 다루가치를 받아들이라고 압력을 가하기 시작했다.
전투
[편집]몽골군 사령관 바이주 노얀의 휘하의 몽골군은 1242~1243년 겨울 룸 술탄국을 공격하여 에르주룸를 점령하였다. 술탄 카이쿠스로 2세는 즉시 이웃 국가들에게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군대를 조직할 것을 요구했다. 트라페주스 제국은 군대를 보냈고 술탄은 프랑크인 용병단을 고용했다.[13] 아할치헤의 파라다블라, 다딘 셰르바시체 등 그루지야 귀족 몇 명도 그와 합류했지만 대부분의 조지아인들은 몽골의 지배층과 함께 싸울 수밖에 없었다.
결정적인 전투는 1243년 6월 26일 쾨세다그에서 치러졌다. 대부분의 매체는 상대군의 규모를 기록하지 않고 몽골군이 수적으로 우월한 군대와 맞닥뜨렸음을 시사한다.[14] 바이주 노얀는 룸 술탄국 군대의 규모에 대해 조지아 장교가 적의 수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하고 "그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승리하는 것이 영광이며, 우리가 약탈을 더 많이 확보하게 될 것이다."라며 우려되는 통고를 무시했다.[15]
카이쿠스로 2세는 몽골군의 공격을 기다리라는 경험 많은 지휘관들의 제안을 거절했다. 대신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들이 이끄는 2만 명의 병력을 몽골에 파병시켰다.[7] 몽골군은 퇴각한 척 뒤로 돌아서서 룸 술탄국의 군대를 포위하고 격파했다.[9]
나머지 룸 술탄국 군대는 그들이 패배하는 모습을 목격하자, 카이쿠스로 2세를 비롯한 룸 술탄국 지휘관들과 그들의 병사들은 전장을 버리고 떠나기 시작했다.[7] 결국 룸 술탄국 군대는 지도자들 없이 남겨졌고 그들의 대부분의 군인들은 아무런 전투도 보지 못한 채 버려졌다.[7][9]
승리한 몽골군은 시바스와 카이세리를 장악했다. 술탄은 안탈리아로 도망갔으나, 그 후 바이주 노얀과 화해하고 몽골 제국에 막대한 공물을 바칠 수밖에 없었다.
전투의 여파
[편집]이 전투에서의 패배로 아나톨리아에 혼란의 시기가 도래했고 셀주크인 국가의 쇠퇴와 해체로 직결되었다. 트라페주스 제국은 몽골 제국의 속국이 되었다. 나아가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또한 몽골의 속국이 되었다.[16] 아나톨리아에 대한 권력은 이제 몽골 제국으로 바뀌게 되었다.[17]
각주
[편집]- ↑ John Freely, Children of Achilles: The Greeks in Asia Minor since the Days of Troy, (I.B. Tauris, 2010), 143.
- ↑ Enver Behnan Şapolyo: Selçuklu İmparatorluğu tarihi, Güven Matbaasi, 1972, page 191 (튀르키예어)
- ↑ 가 나 S. Burhanettin Akbaş: Kayseri yöresine yerleşen Türk boyları ve akraba topluluklar, Geçit, 1997, page 45 (튀르키예어) [Source states= Mongol army: 30,000명 men; Seljuq army: 70,000 men]
- ↑ 가 나 Ali Çimen, Göknur Akçadağ Göğebakan: Tarihi değiştiren savaşlar (engl.: Wars that changed history) ,Timaş Yayınevi, 2. Edition, 2007, ISBN 975-263-486-9, pg 134 (튀르키예어) [Source states= Mongol army: 30,000 men; Seljuq army: 80,000 men]
- ↑ 가 나 다 Hüseyin Köroğlu: Konya ve Anadolu medreseleri, Fen Yayınevi, 1999, pages 29, 367. (튀르키예어)
- ↑ 가 나 Anadolu University, I. Uluslararası Seyahatnamelerde Türk ve Batı İmajı Sempozyumu belgeleri: 28. X-1 XI. 1985, page 28 (튀르키예어) [Source states: Mongol army= 40,000 men; Seljuq army= 60,000 men]
- ↑ 가 나 다 라 Ali Sevim, Erdoğan Merçil: Selçuklu devletleri tarihi: siyaset, teşkilât ve kültür, Türk Tarih Kurumu Basımevi, 1995, ISBN 9789751606907, page 472 (튀르키예어)
- ↑ Murat Ocak: The Turks: Middle ages, Yeni Türkiye, 2002, ISBN 9756782552
- ↑ 가 나 다 Nuri Ünlü: İslâm tarihi 1, Marmara Üniversitesi, İlâhiyat Fakültesi Vakfı, 1992, ISBN 9755480072, page 492. (튀르키예어)
- ↑ Anthony Bryer and David Winfield, The Byzantine Monuments and Topography of the Pontos, vol. 1,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1985) 172, 353.
- ↑ Köy Köy Türkiye Yol Atlası (Istanbul: Mapmedya, 2006), map 61.
- ↑ C. P. Atwood,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p. 555
- ↑ Claude Cahen, Pre-Ottoman Turkey: a general survey of the material and spiritual culture and history, trans. J. Jones-Williams, (New York: Taplinger, 1968) 137.
- ↑ Claude Cahen, “Köse Dagh” Encyclopaedia of Islam, ed. by P. Bearman, et al. (Brill 2007)
- ↑ Henry Desmond Martin, "The Mongol army", en: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1943/1-2, pp. 46–85
- ↑ İdris Bal, Mustafa Çufalı: Dünden bugüne Türk Ermeni ilişkileri, Nobel, 2003, ISBN 9755914889, page 61.
- ↑ Josef W. Meri, Jere L. Bacharach-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K, index, p.442
외부 링크
[편집]- 키라코스 갠드자켓: 아르메니아의 역사 (35쪽) 13세기
- 셀주크 아나톨리아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