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진환
보이기
사영기하학에서 삼진환(三進環, 영어: ternary ring)은 사영 평면의 점의 일종의 좌표계를 구성할 수 있는 대수 구조이며, 하나의 3항 연산을 갖는다.
정의
[편집]삼진환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는 3항 연산이다.
- 및 는 상수(0항 연산)이다.
이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인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인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다음 연립 방정식은 유일한 해 를 갖는다.
성질
[편집]특별한 이항 연산
[편집]삼진환 이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두 연산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및 은 각각 항등원을 갖는 유사군을 이룬다.
삼진환에 대응하는 사영 평면
[편집]삼진환 이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다음과 같은 사영 평면 을 구성할 수 있다. 우선, 점과 직선의 집합은 각각 다음과 같다.
이 사이의 인접 관계
는 다음과 같다.
또한,
은 그 속의 사각형을 이룬다.
사각형이 주어진 모든 사영 평면은 항상 위와 같은 꼴로 구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삼진환이 동형의 사영 평면을 정의할 대수적 필요 충분 조건이 알려져 있다.[1]
예
[편집]가 나눗셈환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를 정의한다면, 이는 삼중환을 이룬다.
역사
[편집]1941년에 마셜 홀(영어: Marshall Hall)이 사영 평면을 연구하기 위하여 삼진환의 개념 및 “삼진환”(영어: ternary ring)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2] 이름과 달리, 삼진환은 환이 아니다.
일부 문헌에서 이 개념은 “삼진체”(三進體, 영어: ternary field) 또는 “평면 삼진환”(平面三進環, 영어: planar ternary ring) 등으로 불린다.
참고 문헌
[편집]- ↑ Grari, A. (2004년 9월).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so that two planar ternary rings induce isomorphic projective planes”. 《Archiv der Mathematik》 (영어) 83 (2): 183–192. doi:10.1007/s00013-003-4580-9. Zbl 1067.51002.
- ↑ Hall, Marshall (1943). “Projective plan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4: 229–277. doi:10.1090/S0002-9947-1943-0008892-4. ISSN 0002-9947. JSTOR 1990331. MR 8892. Zbl 0060.32209.
외부 링크
[편집]- “Ternary field”.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usch, Arthur (2001년 12월 5일). “Planar ternary rings” (영어). 2019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18일에 확인함.
- “When does a planar ternary ring uniquely coordinitise a projective plane?”. 《Math Overflow》 (영어). 2016년 4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