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어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어카
중국 난징에서 쓰레기를 실은 큰 리어카를 끌고 있는 사람

리어카(일본어: リヤカー)는 대한민국, 일본 등에서 고무 바퀴가 2개 달린 운반용 손수레를 일컫는 말이다.

역사[편집]

1921년경 일본에 들어온 사이드카마차 수레의 장점을 합쳐서 만든 것으로, 처음에는 자전거 뒤에 끌고 다니도록 되어 있었다. 이름은 “옆에 달린 차”라는 뜻인 사이드카(영어: sidecar)를 본 따 “뒤에 달린 차”라는 뜻으로 영어 낱말 “뒤(rear)”와 “차(car)”를 합쳐서 일본에서 만든 말이 한국에 전해진 것이다. 영어권에서는 쓰지 않는 말이다.

리어카가 전래되기 이전에는 한국에서는 이 끄는 수레를 쓰지 않으면 사람이 지게를 져서 물건을 운반했다. 대한민국 한국어 순화어손수레를 쓰도록 되었다.

쓰임[편집]

고무 바퀴와 함께 한국에 들어온 리어카는 사람 한 명이 끌고 다닐 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간단한 살림살이 등 가까운 거리에 물건을 운반하거나 노점에서 물건을 파는데 많이 쓰이게 되었으며, 차량이 발달된 근대화 이후에는 노점상이나 폐지 등 고물 운반, 건설현장에 간단한 자재 소운반용으로 주로 쓰인다.

모터사이클과 결합해 삼륜차로 만들기도 한다.

구조[편집]

보통 쇠 파이프나 철근 등으로 골조를 만들고, 바퀴를 달고, 합판으로 상자를 짜 넣는다. 위에 좌판을 깔면 노점에서 물건을 놓고 팔다가 쉽게 옮길 수 있어 노점상에서 쓰이고, 그 위에 비를 막을 수 있는 천막과 지붕을 덧 대어 포장마차로 쓸 수도 있다. 보통 대한민국에서 쓰이는 리어카 크기는 길이 2미터, 폭 1.5미터, 높이 0.5미터 정도이며, 바퀴 크기는 26인치 두께는 2.5인치이다.

장단점[편집]

장점[편집]

오직 사람의 힘 만으로 움직이므로 무거운 엔진이나 별도의 연료가 필요 없다. 바퀴를 빼고 나면 이렇다 할 구동장치가 없이 구조가 간단해서 정비가 거의 필요 없다. 앞 뒤 구분 없어 밀고 갈 수도 끌고 갈 수도 있다.

단점[편집]

오르막에서 올라가기가 힘들고,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어서 내리막에서 위험하다. 리어카 뒤쪽 아랫부분에 폐타이어 등을 달아 내리막에서 바닥과 마찰하여 천천히 내려 올 수 있도록 만든 것도 있다.[1]

도로교통법상 '우마차'로 분류되므로 보도로 다닐 수 없어 차도로 다녀야 하나, 별도의 전용도로가 없어 차량과 충돌하거나 늦은 주행속도로 인해 교통 정체를 일으키는 수가 있다.[2]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최상진 (2011년 3월 18일). “고물상, 그 이름을 더럽히지 마라”. 한겨레. 2011년 5월 27일에 확인함. 
  2. 이철재 (2011년 5월 12일). “리어카 배달 아버지, 냄새나고 부끄러웠어요”. 오마이뉴스. 2011년 5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리어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