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레

수레는 바퀴를 달아 굴러가게 만든 기구로, 짐을 싣고 나르거나 사람이 탄다. 몸체, 바퀴, 축, 채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레에 연결된 채를 들고 끌거나 동물에 멍에를 지워 끌게 한다.
역사[편집]
수레는 문학에서 언급되고 있으며, 이는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를 전후하는 기원전 2천년 즈음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
구조[편집]
- 1 - 바퀴
- 2 - 차여(車輿) : 수레의 짐을 받는 평평한 바닥
- 3 - 차축(車軸) : 두개의 바퀴를 연결하는 가로 기둥 장치
- 4 - 복토(伏兔) : 차여와 차축을 만나 힘을 받는 부위로 여기에 차여가 올려진다.[2]
- 5 - 장구통 : 바퀴를 형성하는 부품으로 바퀴살을 모아 연결하는 통모양의 장치롤 여기에 차축을 끼운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 (우리역사넷-차마구)http://contents.history.go.kr/mfront/nh/view.do?levelId=nh_003_0030_0010_0040_0020_0040 Archived 2018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 ↑ (네이버 한자사전)https://hanja.dict.naver.com/search?query=%E8%BC%B9[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수레바퀴 제작에 담긴 조상의 지혜 탐구 - 국립중앙과학관)https://www.science.go.kr/upload/board/EXHIBIT/51/j05120051607.pdf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교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