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자리 감마
까마귀자리 감마 Gamma Corvi | ||
까마귀자리. 감마는 γ이다. | ||
명칭 |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까마귀자리 4 (4 Corvi) | |
밝은 별 목록 | HR 4662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06625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57176 | |
소천성표 | BD–16 3424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59803 | |
다른 이름 | FK5 457[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까마귀자리 | |
적경(α) | 12h 15m 48.37081s[2] | |
적위(δ) | –17° 32′ 30.9496″[2] | |
겉보기등급(m) | 2.585[3] | |
절대등급(M) | −0.79[4]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4.2 km/s[5] | |
적경 고유운동 | –158.61 mas/yr[2] | |
적위 고유운동 | +21.86 mas/yr[2] | |
연주시차 | 21.23 ± 0.20 mas[2] | |
성질 | ||
광도 | A: 331 L☉[4] | |
나이 | 160+40 −30 (백만 년)[6] | |
분광형 | B8 III[7] | |
U-B 색지수 | –0.344[3] | |
B-V 색지수 | –0.111[3] | |
추가 사항 | ||
질량 | A: 4.2+0.4 −0.3 M☉[6] B: 0.8 M☉[8] | |
자전 속도 | 30 km/s[9] | |
항성 목록 |
까마귀자리 감마(γ Crv)는 천구 남반구의 까마귀자리 방향에 있는 쌍성으로 겉보기등급은 2.59이다.[10] 이 계는 까마귀자리 감마 A와 B 둘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밝은 쪽인 A에는 감마 계 전체를 전통적으로 불러오던 이름인 기에나 Gienah 가 공식적으로 부여되었다.[11][12] 이 계까지의 거리는 시차 기법을 이용하여 직접 측정되었으며 그 값은 태양으로부터 약 154 광년 (47 파섹)이다.[2]
명칭
[편집]까마귀자리 감마(γ Corvi)는 계 전체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르는 명칭이다. 계를 이루는 구성원 둘은 각각 까마귀자리 감마 A, B로 불리는데 이 방식은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이 다중성계의 구성원들을 구별하기 위해 취한 규칙으로 국제천문연맹(IAU) 역시 이 방식을 채택했다.[13]
까마귀자리 감마의 전통적인 명칭 '기에나' Gienah는 울루그 베그의 아랍어 문구 '알-자나 알-기라브 알-야만' الجناح الغراب اليمن ('까마귀의 오른쪽 날개'. 그러나 근대 성표에서는 왼쪽 날개에 해당된다.)에서 유래한 이름이다.[14] 백조자리 엡실론 역시 이 명칭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까마귀자리 감마를 '까마귀자리의 기에나' Gienah Corvi 또는 '기에나 구라브' Gienah Ghurab 로 부르기도 했다.
2016년 11월 6일 국제천문연맹 산하 WGSN(항성명칭 워킹그룹)은 까마귀자리 감마 A에 기에나 Gienah 명칭을 공식 부여하였다. WGSN은 다중성계의 경우 계 전체가 아니라 구성원 단위로 이름을 부여하기로 규칙을 정했기 때문에 까마귀자리 감마 역시 계 전체가 아니라 가장 밝은 구성원 A에 상기 명칭이 붙었다.[15][16] 이후 2017년 6월 30일 '기에나'를 공유하던 백조자리 엡실론에서 가장 밝은 별 Aa에 '알자나' Aljanah 가 부여되어 고유명칭을 공식적으로 분리시켰다. 두 명칭 모두 현재 IAU 인증 항성명칭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2]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는 까마귀자리 감마의 이름이 '알-자나 알-기라브 알-야만' Al-janāħ al-ghirāb al-yaman 또는 '드제나 알 기라브 알 에이멘' Djenah al Ghyrab al Eymen으로 실려 있다. 이 명칭은 라틴어로 '덱스트라 알라 코르비' Dextra ala Corvi 로 번역되었다.[17]
동아시아 천문학에서 까마귀자리 감마는 까마귀자리 엡실론, 까마귀자리 델타, 까마귀자리 베타와 함께 진수를 구성한다.[18] 이들 중 감마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진수1(軫宿一)이다.[19]
특징
[편집]까마귀자리 감마 계에서 밝은 주성인 A는 분광형 B8 III의 거성이며[7][3] 질량은 태양의 약 4.2 배이다.[6] A는 청백색 빛을 뿜는다.[20] 이 별의 스펙트럼으로부터 항성에 수은과 망가니즈 원소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A를 수은-망가니즈 별로 분류한다.[21] 그러나 그 함유량이 특이하게 많거나 혹은 적은 원소들 역시 존재한다.[22] 안정적인 항성의 대기에 이런 화학적 특이성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이 원소들이 확산과 중력적인 침전을 통해 분리되었기 때문임이 유력하다.[21] 또한 진수를 구성하면서 화학성 특이성을 포함하게 된다.
반성 B는 질량이 태양의 80% 수준으로 주성 A로부터 평균 50 천문단위 떨어져서 158년 주기로 1회 공통의 질량 중심을 공전하고 있다.[6] 측광학적으로 B의 분광형은 K5 ~ M5 V로 보인다.[8]
각주
[편집]- ↑ “gam Crv”.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년 5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Cousins, A. W. J. (1984), “Standardization of Broadband Photometry of Equatorial Standards”, 《South African Astronomical Observatory Circulars》 8: 59, Bibcode:1984SAAOC...8...59C
- ↑ 가 나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 ↑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 ↑ 가 나 다 라 Janson, Markus; 외. (August 2011), “High-contrast Imaging Search for Planets and Brown Dwarfs around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Solar Neighborhood”, 《The Astrophysical Journal》 736 (2): 89, arXiv:1105.2577, Bibcode:2011ApJ...736...89J, doi:10.1088/0004-637X/736/2/89
- ↑ 가 나 Houk, Nancy (1978),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 4》 (Ann Arbor: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4, Bibcode:1988mcts.book.....H
- ↑ 가 나 Roberts, Lewis C. Jr.; Turner, Nils H.; ten Brummelaar, Theo A. (February 2007), “Adaptive Optics Photometry and Astrometry of Binary Stars. II. A Multiplicity Survey of B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33 (2): 545–552, Bibcode:2007AJ....133..545R, CiteSeerX 10.1.1.549.4623, doi:10.1086/510335
- ↑ Abt, Helmut A.; Levato, Hugo; Grosso, Monica (July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B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573 (1): 359–365, Bibcode:2002ApJ...573..359A, doi:10.1086/340590
- ↑ Kaler, James B. (Jim) (2004), “Gienah Corvi”,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5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 ↑ 가 나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astro-ph.SR].
- ↑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New York》 (G.E. Stechert): 182, Bibcode:1899sntm.book.....A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PDF). 5쪽.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29,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 ↑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1월 30, 2011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December 21, 2004,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Adelman, S. J.; 외. (February 2006), “Elemental abundance analyses with DAO spectrograms. XXIX. The mercury-manganese stars 53 Tau, β Tau, γ Crv, and υ Her”, 《Astronomy and Astrophysics》 447 (2): 685–690, Bibcode:2006A&A...447..685A, doi:10.1051/0004-6361:20053581
- ↑ Fremat, Y.; Houziaux, L. (April 1997), “Elemental abundances in the Hg-Mn star γ Corvi”,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0: 580–585, Bibcode:1997A&A...320..580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