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2026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6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개최기간2023년 9월 7일 ~ 2025년 9월
통계
최다 득점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6골)
« 2022
2030 »

2026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남미 축구 연맹에 속한 10개국이 월드컵에 진출하기 위해 2023년 부터 2025년까지 진행되는 대회로 보통 최종 예선 이전에 1차, 2차, 3차 또는 4차 예선까지 치르는 다른 대륙과는 다르게 남미는 나라 수가 적고 축구 실력도 상향 평준화가 되어서 다른 대륙과 마찬가지로 홈/어웨이 방식인건 동일하나 풀리그 형식으로 진행한다.

총 18경기를 치러 1위부터 6위까지는 본선에 진출하고 7위는 2025년 11월 또는 2026년 3월에 타 대륙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진출 여부가 가려지며[1] 또한 이번 남미 지역예선은 6+13장(본선 직행 6장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1장)이 걸린 월드컵 48개국 체제의 첫 남미 지역예선이다.

진행 방식

[편집]

남미 축구 연맹 평의회는 2022년 8월 22일에 열린 회의에서 이전 6개 대회에서 사용된 같은 지역 예선 구조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2][3][4] 남미 지역 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 리그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대진은 추첨으로 결정되며, 2023년부터 진행될 예정이다.[5]

남미 지역 예선이 시작되기 전부터, 에콰도르 대표팀은 비론 카스티요이전 월드컵 지역 예선 참가 위해 출생증명서를 위변조행사 때문에 승점 3점 감점되었다.[6]

참가팀

[편집]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모든 10개팀들이 지역 예선에 참가할 것이다.

2022년 12월
FIFA 월드 랭킹[7]
브라질 1
아르헨티나 2
우루과이 16
콜롬비아 17
페루 21
칠레 31
에콰도르 41
파라과이 46
베네수엘라 55
볼리비아 82

일정

[편집]

지역예선 일정은 FIFA 국제경기달력 안에서 떨어질 날짜에 치러질 예정이다.

라운드 일정
1차전 2023년 9월 7일~8일
2차전 2023년 9월 12일
3차전 2023년 10월 12일일
4차전 2023년 10월 17일
5차전 2023년 11월 16일
6차전 2023년 11월 21일
7차전 2024년 9월 5일~6일
8차전 2024년 9월 10일
9차전 2024년 10월 10일~11일
라운드 일정
10차전 2024년 10월 15일
11차전 2024년 11월 14~15일
12차전 2024년 11월 19일
13차전 2025년 3월 27~28일
14차전 2025년 4월 1일
15차전 2025년 6월 6~7일
16차전 2025년 6월 11일
17차전 2025년 9월 5~6일
18차전 2025년 9월 10일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2025년 11월에 시행될 것이다.

순위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우루과이 브라질 파라과이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페루 칠레
1 아르헨티나 (Q) 14 10 1 3 26 8 +18 31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1–0 0-2 4-1 1-0 Jun '25 Sep '25 6-0 1-0 3-0
2 에콰도르 14 7 5 2 13 5 +8 23[a] Sep '25 2-1 Jun '25 0-0 0-0 2-1 4-0 1-0 1-0
3 우루과이 14 5 6 3 17 10 +7 21 0-1 0-0 2-0 0-0 3-2 Jun '25 3-0 Sep '25 3–1
4 브라질 14 6 3 5 20 16 +4 21 0-1 1-0 1-1 Jun '25 2-1 1-1 5–1 4-0 Sep '25
5 파라과이 14 5 6 3 11 9 +2 21 2-1 Sep '25 Jun '25 1-0 0-1 2-1 1-0 0–0 1-0
6 콜롬비아 14 5 5 4 18 14 +4 20 2-1 0-1 2-2 2-1 2-2 1–0 Sep '25 Jun '25 4-0
7 베네수엘라 14 3 6 5 13 17 −4 15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1-1 0-0 0-0 1-1 1-0 Sep '25 Jun '25 1-0 3-0
8 볼리비아 14 4 2 8 14 30 −16 14 0-3 1-1 0-0 Sep '25 2-2 1-0 4-0 2-0 Jun '25
9 페루 14 2 4 8 6 17 −11 10 0-2 Jun '25 1-0 0-1 Sep '25 1-1 1-1 3-1 0-0
10 칠레 14 2 4 8 9 21 −12 10 Jun '25 0-0 Sep '25 1-2 0-0 0-0 4-2 1-2 2-0
2025년 3월 26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FIFA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비고:
  1. 비론 카스티요가 이전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참가하려고 출생증명서를 위변조행사했으므로 에콰도르 대표팀은 승점 3점 감점되었다.[6]

경기 결과

[편집]

매치데이 1

[편집]
파라과이 0 - 0 페루
관중: 16,211
심판: 우루과이 안드레스 마톤테

콜롬비아 1 - 0 베네수엘라
라파엘 산토스 보레 46분에 득점 46′

아르헨티나 1 - 0 에콰도르
리오넬 메시 78분에 득점 78′
관중: 84,500
심판: 콜롬비아 윌마르 롤단

우루과이 3 - 1 칠레
니콜라스 데 라 크루스 38분, 71분에 득점 38′71′
페데리코 발베르데 45+2분에 득점 45+2′
74분에 득점 74′ 아르투로 비달
관중: 49,713
심판: 아르헨티나 다리오 에레라

브라질 5 - 1 볼리비아
호드리구 24분, 53분에 득점 24′53′
하피냐 47분에 득점 47′
네이마르 61분, 90+3분에 득점 61′90+3′
78분에 득점 78′ 빅토르 아브레고
관중: 48,183
심판: 파라과이 후안 가브리엘 베니테스

매치데이 2

[편집]
볼리비아 0 - 3 아르헨티나
관중: 38,000
심판: 우루과이 에스테반 오스토히치

에콰도르 2 - 1 우루과이
펠릭스 토레스 45+5분, 61분에 득점 45+5′61′ 아구스틴 카노비오 38분에 득점 38′
관중: 35,613
심판: 브라질 위우통 상파이우

베네수엘라 1 - 0 파라과이
살로몬 론돈 90+3분에 득점 90+3′ (페널티)
관중: 48,523
심판: 콜롬비아 안드레스 로하스

칠레 0 - 0 콜롬비아
관중: 22,153
심판: 베네수엘라 헤수스 발렌수엘라

페루 0 - 1 브라질
90분에 득점 90′ 마르키뉴스
관중: 36,328
심판: 아르헨티나 페르난도 라팔리니

매치데이 3

[편집]

볼리비아 1 - 2 에콰도르
로드리고 라마요 83분에 득점 83′ 45분에 득점 45′ 켄드리 파에스
90+6분에 득점 90+6′ 케빈 로드리게스
관중: 34,200
심판: 칠레 크리스티안 가라이

아르헨티나 1 - 0 파라과이
니콜라스 오타멘디 3분에 득점 3′
관중: 80,000
심판: 브라질 하파에우 클라우스

칠레 2 - 0 페루
디에고 발데스 콘트레라스 74분에 득점 74′
마르코스 로페스 90+1분에 득점 90+1′ (자책골)

브라질 1 - 1 베네수엘라
가브리에우 마갈량이스 50분에 득점 50′ 85분에 득점 85′ 에두아르드 베요
관중: 39,018
심판: 페루 케빈 오르테가

매치데이 4

[편집]
베네수엘라 3 - 0 칠레
예페르손 소텔도 45+1분에 득점 45+1′
살로몬 론돈 72분에 득점 72′
다르윈 마치스 79분에 득점 79′
관중: 50,932
심판: 브라질 플라비우 데 소우자

파라과이 1 - 0 볼리비아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69분에 득점 69′
관중: 30,681
심판: 우루과이 구스타보 테헤라

에콰도르 0 - 0 콜롬비아
관중: 38,702
심판: 아르헨티나 파쿤도 테요

우루과이 2 - 0 브라질
다르윈 누녜스 42분에 득점 42′
니콜라스 데 라 크루스 77분에 득점 77′
관중: 52,477
심판: 베네수엘라 알렉시스 에레라

페루 0 - 2 아르헨티나
32분, 42분에 득점 32′42′ 리오넬 메시
관중: 37,675
심판: 베네수엘라 헤수스 발렌수엘라

매치데이 5

[편집]
볼리비아 2 - 0 페루
엔리 바카 20분에 득점 20′
라미로 바카 87분에 득점 87′
관중: 28,000
심판: 에콰도르 기예르모 게레로

베네수엘라 0 - 0 에콰도르
관중: 51,083
심판: 파라과이 후안 가브리엘 베니테스

콜롬비아 2 - 1 브라질
루이스 디아스 75분, 79분에 득점 75′79′ 4분에 득점 4′ 가브리엘 마르티넬리

아르헨티나 0 - 2 우루과이
41분에 득점 41′ 로날드 아라우호
87분에 득점 87′ 다르윈 누녜스
관중: 51,900
심판: 콜롬비아 윌마르 롤단

칠레 0 - 0 파라과이
관중: 30,076
심판: 아르헨티나 페르난도 라파지니

매치데이 6

[편집]
파라과이 0 - 1 콜롬비아
11분에 득점 11′ (페널티) 라파엘 산토스 보레 모리
심판: 베네수엘라 헤수스 발렌수엘라

우루과이 3 - 0 볼리비아
다르윈 누녜스 16분, 71분에 득점 16′71′
가브리엘 비야밀 40분에 득점 40′ (자책골)
심판: 페루 케빈 오르테가

에콰도르 1 - 0 칠레
앙헬 메나 20분에 득점 20′
심판: 브라질 안데르송 다롱쿠

브라질 0 - 1 아르헨티나
63분에 득점 63′ 니콜라스 오타멘디

페루 1 - 1 베네수엘라
요시마르 요툰 17분에 득점 17′ 54분에 득점 54′ 헤페르손 사바리노
심판: 아르헨티나 다리오 에레라

매치데이 7

[편집]
볼리비아 4 - 0 베네수엘라
라미로 바카 13분에 득점 13′
카르멜로 알가라냐스 45+5분에 득점 45+5′ (페널티)
미겔 테르세로스 46분에 득점 46′
엔소 몬테이로 89분에 득점 89′
관중: 20,500
심판: 콜롬비아 윌마르 롤단

아르헨티나 3 - 0 칠레
알렉시스 마칼리스테 48분에 득점 48′
훌리안 알바레스 84분에 득점 84′
파울로 디발라 90+1분에 득점 90+1′
관중: 52,160
심판: 베네수엘라 헤수스 발렌수엘라

우루과이 0 - 0 파라과이
관중: 47,741
심판: 아르헨티나 다리오 에레라

브라질 1 - 0 에콰도르
호드리구 30분에 득점 30′
관중: 36,914
심판: 아르헨티나 파쿤도 테요

페루 1 - 1 콜롬비아
알렉산데르 카옌스 68분에 득점 68′ 82분에 득점 82′ 루이스 디아스
심판: 우루과이 에스테반 오스토히치

매치데이 8

[편집]


에콰도르 1 - 0 페루
에네르 발렌시아 54분에 득점 54′
심판: 콜롬비아 안드레스 로하스

베네수엘라 0 - 0 우루과이
심판: 브라질 하파에우 클라우스

파라과이 1 - 0 브라질
디에고 고메스 20분에 득점 20′
관중: 31,962
심판: 우루과이 안드레스 마톤테

매치데이 9

[편집]
볼리비아 1 - 0 콜롬비아
미겔 앙헬 테르세로스 58분에 득점 58′
관중: 17,191
심판: 브라질 위우통 상파이우

에콰도르 0 - 0 파라과이
심판: 브라질 하파에우 클라우스

베네수엘라 1 - 1 아르헨티나
살로몬 론돈 65분에 득점 65′ 13분에 득점 13′ 니콜라스 오타멘디
심판: 우루과이 구스타보 테헤라

칠레 1 - 2 브라질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2분에 득점 2′ 45+1분에 득점 45+1′ 이고르 제주스
90분에 득점 90′ 루이스 엔히키

페루 1 - 0 우루과이
미겔 아라우호 88분에 득점 88′
심판: 아르헨티나 파쿤도 테조

매치데이 10

[편집]
콜롬비아 4 - 0 칠레
다빈손 산체스 34분에 득점 34′
루이스 디아스 52분에 득점 52′
혼 두란 82분에 득점 82′
루이스 시니스테라 90+3분에 득점 90+3′

파라과이 2 - 1 베네수엘라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59분, 74분에 득점 59′74′ 25분에 득점 25′ 혼 아람부루

우루과이 0 - 0 에콰도르
심판: 칠레 크리스티안 가라이

아르헨티나 6 - 0 볼리비아
리오넬 메시 19분, 84분, 86분에 득점 19′84′86′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43분에 득점 43′
훌리안 알바레스 45+3분에 득점 45+3′
티아고 알마다 69분에 득점 69′

브라질 4 - 0 페루
하피냐 38분, 54분에 득점 38′ (페널티)54′ (페널티)
안드레아스 페레이라 71분에 득점 71′
루이스 엔히키 74분에 득점 74′
심판: 우루과이 에스테반 오스토히치

매치데이 11

[편집]
베네수엘라 1 - 1 브라질
텔라스코 세고비아 46분에 득점 46′ 43분에 득점 43′ 하피냐
기념경기장, 마투린
심판: 콜롬비아 안드레스 로하스


에콰도르 4 - 0 볼리비아
에네르 발렌시아 26분에 득점 26′ (페널티)
곤살로 플라타 28분, 49분에 득점 28′49′
알란 민다 61분에 득점 61′
에시드로 로메로 카르보 기념경기장, 과야킬
심판: 아르헨티나 막시밀리아노 라미레스


페루 0 - 0 칠레
심판: 브라질 위우통 상파이우

매치데이 12

[편집]
볼리비아 2 - 2 파라과이
에르빈 바카 15분에 득점 15′
미겔 테르세로스 80분에 득점 80′ (페널티)
71분에 득점 71′ 미겔 알미론
90+1분에 득점 90+1′ 훌리오 엔시소
엘 알토 시립경기장, 엘 알토
심판: 우루과이 안드레스 마톤테

콜롬비아 0 - 1 에콰도르
7분에 득점 7′ 에네르 발렌시아

아르헨티나 1 - 0 페루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55분에 득점 55′
심판: 콜롬비아 윌마르 롤단

칠레 4 - 2 베네수엘라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20분에 득점 20′
토마스 링콘 29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29′ (자책골)
루카스 세페다 38분, 47분에 득점 38′47′
13분에 득점 13′ 헤페르손 사바리노
22분에 득점 22′ 루벤 라미레스
훌리오 마르티네스 프라다노스 국립경기장, 산티아고데칠레
심판: 아르헨티나 파쿤도 테조

브라질 1 - 1 우루과이
제르송 62분에 득점 62′ 55분에 득점 55′ 페데리코 발베르데
심판: 칠레 피에로 마사

매치데이 13

[편집]
파라과이 1 - 0 칠레
오마르 알데레테 60분에 득점 60′
심판: 브라질 라파에우 클라우스

브라질 2 - 1 콜롬비아
하피냐 6분에 득점 6′ (페널티)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90+8분에 득점 90+8′
41분에 득점 41′ 루이스 디아스
심판: 베네수엘라 알렉시스 에레라

페루 3 - 1 볼리비아
안디 폴로 37분에 득점 37′
파올로 게레로 45분에 득점 45′
에디손 플로레스 82분에 득점 82′
58분에 득점 58′ (페널티) 미겔 테르세로스
심판: 아르헨티나 야엘 팔콘 페레스

에콰도르 2 - 1 베네수엘라
에네르 발렌시아 39분, 46분에 득점 39′46′ 90+1분에 득점 90+1′ 혼데르 카디스
에스타디오 로드리고 파스 델가도, 키토
심판: 브라질 라몬 아바티

우루과이 0 - 1 아르헨티나
68분에 득점 68′ 티아고 알마다
심판: 파라과이 후안 가브리엘 베니테스

매치데이 14

[편집]
볼리비아 0 - 0 우루과이
엘 알토 시립경기장, 엘 알토
심판: 에콰도르 아우구스토 아라곤


베네수엘라 1 - 0 페루
살로몬 론돈 41분에 득점 41′ (페널티)
에스타디오 모누멘탈, 마투린
심판: 칠레 크리스티안 가라이


칠레 0 - 0 에콰도르

매치데이 15

[편집]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매치데이 16

[편집]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매치데이 17

[편집]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매치데이 18

[편집]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축구 국가대표팀|]] v [[축구 국가대표팀|]]

대륙간 플레이오프

[편집]


본선 진출

[편집]

다음 팀이 2026년 FIFA 월드컵에 남미 대표로 출전하는 팀이다.

국가대표팀 조별 순위 본선 진출 확정일
아르헨티나 1위 2025년 3월 25일
[[축구 국가대표팀|]] 2위 2025년 11월
[[축구 국가대표팀|]] 3위 2025년 11월
[[축구 국가대표팀|]] 4위 2025년 11월
[[축구 국가대표팀|]] 5위 2025년 11월
[[축구 국가대표팀|]] 6위 2025년 11월

각주

[편집]
  1. “Unanimous decision expands FIFA World Cup to 48 teams from 2026”. FIFA. 2017년 1월 10일. 2017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 “Conselho da Conmebol solicita à Fifa que mantenha formato atual das Eliminatórias para 2026”. 《ge》 (포르투갈어). globo.com. 2022년 8월 22일. 
  3. “CONMEBOL's petition for the 2026 World Cup that could change FIFA's entire plans”. 《Bolavip》. 2022년 8월 22일. 
  4. “Países sudamericanos pedirán a la FIFA mantener el formato de las Eliminatorias” (스페인어). CONMEBOL. 2022년 8월 22일. 
  5. “Conmebol confirmó fecha para el inicio de las Eliminatorias 2026”. 《Bolavip》 (스페인어). 2022년 10월 4일. 
  6. “The CAS confirms the eligibility of the player Byron Castillo (Ecuador) but imposes sanctions against the Ecuadorian Football Federation for a violation of the FIFA regulations” (PDF).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2022년 11월 8일. 
  7. “FIFA Men's Ranking – October 2022 (FIFA)”. FIFA.com. 2022년 10월 6일. 2020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경기 시작 직전 원정서포터석에서 관중난동으로 경기 자체가 28분 지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