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5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2015년 동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담당 기관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최초 발생일 2015년 5월 28일
소멸일 2016년 1월 1일
열대 저기압 소멸일 -
발생(명명)수 동태평양 : 열대저기압 22개, 열대폭풍 19개, 허리케인 13개, 메이저 허리케인 10개
중태평양 : 열대저기압 9개, 열대폭풍 7개, 허리케인 3개, 메이저 허리케인 1개[1]
사망자수 -
재산 피해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
연도별 문서
2014년 2015년 2016년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1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1 2 3 4 5

2015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2015 Pacific hurricane season) 은 2015년 동태평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들을 기록한 문서이다. 동태평양 허리케인은 주로 5월 15일에서 11월 30일 사이에 발생하나, 중태평양 제9호 열대저기압처럼 연중 어느 때나 발생할 수 있다. 5월 30일 1호 허리케인 안드레스를 시작으로 한 해 동안 동태평양에서 22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였다. 중태평양도 제1호 열대폭풍 할롤라를 시작으로 9개의 열대저기압이 발생하였다. 한편 중태평양에서 발생하거나 중태평양으로 이동한 열대 저기압이 16개로[2], 관측 사상 가장 많았다. 종전 기록은 11개 (1992년, 1994년)였다.[3] 또한 허리케인 퍼트리샤는 최저 기압이 872헥토파스칼에 달해 서반구에서 가장 강한 열대 저기압으로 기록되었다.

타임라인[편집]

SHSS[편집]

Hurricane Sandra (2015)Hurricane PatriciaHurricane Marty (2015)Hurricane Linda (2015)Typhoon HalolaHurricane Carlos (2015)Hurricane Blanca (2015)Saffir–Simpson hurricane wind scale


활동한 허리케인[편집]

동태평양[편집]

제1호 메이저 허리케인 안드레스[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5월 28일 ~ 6월 4일
최저 기압 93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5m/s (125kt; 230km/h)
태풍 피해 -

제2호 메이저 허리케인 블랑카[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5월 31일 ~ 6월 9일
최저 기압 943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20kt; 220km/h)
태풍 피해 -

제3호 허리케인 카를로스[편집]

1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6월 10일 ~ 6월 17일
최저 기압 978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0m/s (80kt; 150km/h)
태풍 피해 -

제4호 메이저 허리케인 돌로레스[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11일 ~ 7월 18일
최저 기압 944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15kt; 215km/h)
태풍 피해 -

제5호 열대폭풍 엔리케[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12일 ~ 7월 18일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3m/s (45kt; 85km/h)
태풍 피해 -

제6호 열대폭풍 펠리시아[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23일 ~ 7월 25일
최저 기압 1004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18m/s (35kt; 65km/h)
태풍 피해 -

제7호 허리케인 기예르모[편집]

2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29일 ~ 8월 7일
최저 기압 96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0m/s (95kt; 175km/h)
태풍 피해 -

제8호 메이저 허리케인 힐다[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5일 ~ 8월 13일
최저 기압 946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20kt; 220km/h)
태풍 피해 -

제9호 메이저 허리케인 이그나시오[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5일 ~ 9월 5일
최저 기압 94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5m/s (125kt; 230km/h)
태풍 피해 -

제10호 메이저 허리케인 지메나[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6일 ~ 9월 10일
최저 기압 936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5m/s (130kt; 240km/h)
태풍 피해 -

제11호 열대폭풍 케빈[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31일 ~ 9월 5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5m/s (50kt; 95km/h)
태풍 피해 -

제12호 메이저 허리케인 린다[편집]

3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6일 ~ 9월 10일
최저 기압 951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5m/s (110kt; 205km/h)
태풍 피해 -

제13호 허리케인 마르티[편집]

1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26일 ~ 10월 1일
최저 기압 986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5m/s (70kt; 130km/h)
태풍 피해 -

제14호 열대폭풍 노라[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9일 ~ 10월 15일
최저 기압 993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0m/s (60kt; 110km/h)
태풍 피해 -

제15호 메이저 허리케인 올라프[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15일 ~ 10월 27일
최저 기압 938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5m/s (130kt; 240km/h)
태풍 피해 -

제16호 메이저 허리케인 퍼트리샤[편집]

5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20일 ~ 10월 24일
최저 기압 87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100m/s (195kt; 360km/h)
태풍 피해 -

며칠 동안 활동해오던 열대 파동이 서서히 발달하여 10월 20일 오후 3시 제20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4] 제20호 열대저기압은 점차 발달하여 12시간 후인 10월 21일 오전 3시에 열대폭풍 페트리샤 (Patricia)로 발달하였다.[5] 발달하기에 최적화된 조건 속에서 같은 날 오후부터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하여 10월 22일 오전 9시에 1등급 허리케인[6], 오후 3시에 2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7] 이어 오후 6시에 허리케인 헌터의 관측 자료를 토대로 4등급 허리케인으로 격상되었고,[8] 10월 23일 오전 3시에 5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9] 24시간만에 강한 열대폭풍에서 5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한 것이다. 계속해서 급격히 발달하여 오전 9시에 풍속은 175노트, 최저 기압은 872헥토파스칼로 역사상 가장 기압이 낮은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 (북대서양 포함)으로 기록되었다.[10] 참고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했던 열대 저기압은 1979년태풍 팁으로, 최저 기압이 870헥토파스칼이었다. 이 세력을 1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증가하는 윈드 시어의 영향으로 약화되어 오후 11시 15분 (현지시각 오후 6시 15분, 한국시각 24일 오전 8시 15분)에 쿠이스말라(Cuixmala, 만사니요 서북서쪽 약 85 km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다.[11] 상륙 직후 발달한만큼 빠르게 약화되어 10월 24일 오후 6시 열대폭풍,[12], 오후 9시에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다음날 오전 3시 멕시코 몬테레이 남서쪽 70 km 부근 육상에서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소멸하였다.[13]추후 사후해석에서 허리케인 퍼트리샤의 기록을 기존 879헥토파스칼, 풍속 175노트에서 872헥토파스칼, 풍속 185노트로 최종 상향조정했다.[14]

제17호 열대폭풍 릭[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1월 18일 ~ 11월 22일
최저 기압 100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18m/s (35kt; 65km/h)
태풍 피해 -

제18호 메이저 허리케인 산드라[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1월 23일 ~ 11월 29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5m/s (125kt; 230km/h)
태풍 피해 -

중태평양[편집]

제1호 열대폭풍 알라[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8일 ~ 7월 10일
최저 기압 100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0m/s (40kt; 75km/h)
태풍 피해 -

제2호 열대폭풍 할롤라[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10일 ~ 7월 27일(북서 태평양으로 이동)
최저 기압 999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5m/s (50kt; 95km/h)
태풍 피해 -

하와이 열도 남서쪽에서 발생한 열대성 요란(Tropical Disturbance)이 성장해 2015년 7월 10일 제1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고[15], 다음날 열대폭풍 할롤라로 발달했다.[16] 7월 12일에는 날짜 변경선을 통과하여 북서태평양 해역에 진입하였다.[17] 7월 13일 일본 기상청이 열대폭풍 할롤라를 제12호 태풍으로 지정하여 할롤라의 동향을 보고하기 시작했다.

제3호 열대폭풍 이우네[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10일 ~ 7월 13일
최저 기압 1003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18m/s (35kt; 65km/h)
태풍 피해 -

제4호 허리케인 로케[편집]

1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1일 ~ 8월 26일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5m/s (65kt; 120km/h)
태풍 피해 -

제5호 메이저 허리케인 킬로[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2일 ~ 9월 1일(북서태평양으로 이동)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20kt; 220km/h)
태풍 피해 -

제6호 열대폭풍 마리아[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19일 ~ 9월 22일
최저 기압 1001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18m/s (35kt; 65km/h)
태풍 피해 -

제7호 열대폭풍 니알라[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25일 ~ 9월 29일
최저 기압 99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0m/s (55kt; 100km/h)
태풍 피해 -

제8호 허리케인 오호[편집]

2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3일 ~ 10월 8일
최저 기압 95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0m/s (95kt; 175km/h)
태풍 피해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각 등급별 개수는 열대 저기압이 최초로 발생한 해역을 기준으로 하였다. 따라서 실제 그 등급에 도달했을 때의 해역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대폭풍 일라는 동태평양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으나, 중태평양 해역에 진입한 후에 열대폭풍으로 지정되었다. 이 경우 열대폭풍 일라를 중태평양이 아닌 동태평양에서 발생한 것으로 한다는 것이다.
  2. Forecaster Houston (2015년 12월 31일). “Tropical Depression Nine-C Discussion Number 3”.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7일에 확인함. 
  3. Birchard (2015년 10월 3일). “Tropical Depression Seven-C Discussion Number 1”.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4. Todd Kimberlain (2015년 10월 20일). “Tropical Depression Twenty-E Advisory Number 1”. 201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5. Stacy R. Stewart (2015년 10월 21일). “Tropical Storm Patricia Discussion Number 3”. 201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6. Richard Pasch (2015년 10월 22일). “Hurricane Patricia Discussion Number 8”. 201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7. Michael Brennan (2015년 10월 22일). “Hurricane Patricia Discussion Number 9”. 2015년 10월 22일에 확인함. 
  8. Michael Brennan (2015년 10월 22일). “Hurricane Patricia Special Discussion Number 10”. 201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9. Eric Blake (2015년 10월 23일). “Hurricane Patricia Discussion Number 12”. 201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0. Richard Pasch (2015년 10월 23일). “Hurricane Patricia Discussion Number 14”. 2015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1. Eric Blake, Stacy R. Stewart (2015년 10월 23일). “Hurricane Patricia Tropical Cyclone Update”. 201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12. Jack Beven (2015년 10월 24일). “Tropical Storm Patricia Intermediate Advisory 18A”. 201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3. Jack Beven (2015년 10월 25일). “Post-Tropical Cyclone Patricia Advisory 20”. 201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4. “Tropical Cyclone Report for 2015’s Hurricane Patricia released” (PDF). 《NOAA》. NOAA. 2016년 2월 4일.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15. Forecaster Birchard (2015년 7월 9일). “Tropical Depression One-C Discussion Number 1”. 중태평양 허리케인 센터.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6. Forecaster Burke (2015년 7월 10일). “Tropical Storm Halola Discussion Number 4”. 중태평양 허리케인 센터.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7. Forecaster Wroe (2015년 7월 12일). “Tropical Storm Halola Advisory Number 11”. 중태평양 허리케인 센터.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