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보이기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
---|---|
2006 AFC Youth Championship 2006 एएफसी यूथ चैम्पियनशिप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0월 29일 ~ 11월 12일 |
참가팀 | 16개국 (1개 대륙) |
경기장 | 4개 (2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통계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 2004 2008 » |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2006년 10월 29일부터 11월 12일까지 인도에서 개최된 34번째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이 대회에서 준결승전에 진출한 4개 팀은 캐나다에서 열린 2007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자격을 획득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편집]- 콜카타 - 솔트레이크 스타디움
- 콜카타 - 사일렌 만나 스타디움
- 방갈로르 - 스리 칸티라바 스타디움
- 방갈로르 - 방갈로르 풋볼 스타디움
예선
[편집]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본선 조 추첨은 2006년 4월 16일에 인도 콜카타에서 진행되었다. A조에는 대한민국·인도·키르기스스탄·요르단, B조에는 오스트레일리아·중국·태국·아랍에미리트, C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이란·타지키스탄, D조에는 이라크·말레이시아·베트남·사우디아라비아가 각각 편성되었다.[1][2]
인도 (개최국)
이라크 (예선 1조 1위)
사우디아라비아 (예선 2조 1위)
아랍에미리트 (예선 3조 1위)
요르단 (예선 4조 1위)
타지키스탄 (예선 5조 1위)
키르기스스탄 (예선 6조 1위)
오스트레일리아 (예선 7조 1위)
이란 (예선 8조 1위)
말레이시아 (예선 9조 1위)
태국 (예선 10조 1위)
베트남 (예선 11조 1위)
중화인민공화국 (예선 12조 1위)
대한민국 (예선 13조 1위)
일본 (예선 14조 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예선 14조 2위)
조별 예선
[편집]A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13 | 0 | +13 | 9 |
![]() |
3 | 1 | 1 | 1 | 3 | 5 | -2 | 4 |
![]() |
3 | 0 | 2 | 1 | 1 | 8 | -7 | 2 |
![]() |
3 | 0 | 1 | 2 | 3 | 7 | -4 | 1 |
B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4 | 1 | +3 | 9 |
![]() |
3 | 2 | 0 | 1 | 5 | 2 | +3 | 6 |
![]() |
3 | 1 | 0 | 2 | 3 | 5 | -2 | 3 |
![]() |
3 | 0 | 0 | 3 | 2 | 6 | -4 | 0 |
C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0 | 1 | 7 | 2 | +5 | 6 |
![]() |
3 | 2 | 0 | 1 | 6 | 2 | +4 | 6 |
![]() |
3 | 2 | 0 | 1 | 5 | 7 | -2 | 6 |
![]() |
3 | 0 | 0 | 3 | 1 | 8 | -7 | 6 |
일본 ![]() |
2 - 0 | ![]() |
---|---|---|
가와하라 가즈히사 ![]() 가시와기 요스케 ![]() |
이란 ![]() |
3 - 1 | ![]() |
---|---|---|
샤흐람 구다르지 ![]() 모스타파 차트라브군 ![]() |
아흐탐 함라쿨로프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5 - 0 | ![]() |
---|---|---|
정철민 ![]() 김금일 ![]() 리흥룡 ![]() |
일본 ![]() |
1 - 2 | ![]() |
---|---|---|
우메사키 쓰카사 ![]() |
카말레딘 카미아비니아 ![]() 파르하드 알레하미스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1 - 0 | ![]() |
---|---|---|
박철민 ![]() |
D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1 | 0 | 8 | 3 | +5 | 7 |
![]() |
3 | 2 | 1 | 0 | 6 | 2 | +4 | 7 |
![]() |
3 | 1 | 0 | 2 | 3 | 6 | -3 | 3 |
![]() |
3 | 0 | 0 | 3 | 1 | 7 | -6 | 0 |
이라크 ![]() |
2 - 2 | ![]() |
---|---|---|
알라 압둘자흐라 ![]() 할쿠르드 물라 모함메드 ![]() |
아흐마드 카비 ![]() 모하메드 알살라위 ![]() |
말레이시아 ![]() |
1 - 2 | ![]() |
---|---|---|
모드 히릴 무히멘 잠브리 ![]() |
바드롤 박티아르 ![]() 응우옌꽝틴 ![]() |
결선 토너먼트
[편집]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1월 6일 - 콜카타 | ||||||||||
![]() | 2 | |||||||||
11월 9일 - 콜카타 | ||||||||||
![]() | 1 | |||||||||
![]() | 2 (2) | |||||||||
11월 6일 - 방갈로르 | ||||||||||
![]() | 2 (3) | |||||||||
![]() | 2 | |||||||||
11월 12일 - 콜카타 | ||||||||||
![]() | 1 | |||||||||
![]() | 1 (3) | |||||||||
11월 6일 - 콜카타 | ||||||||||
![]() | 1 (5) | |||||||||
![]() | 1 | |||||||||
11월 9일 - 콜카타 | ||||||||||
![]() | 2 | |||||||||
![]() | 0 | |||||||||
11월 6일 - 방갈로르 | ||||||||||
![]() | 1 | 3위 결정전 | ||||||||
![]() | 0 | |||||||||
11월 12일 - 콜카타 | ||||||||||
![]() | 2 | |||||||||
![]() | 2 | |||||||||
![]() | 0 | |||||||||
8강전
[편집]이라크 ![]() |
0 - 2 | ![]() |
---|---|---|
김금일 ![]() 윤용일 ![]() |
준결승전
[편집]요르단 ![]() |
0 - 1 | ![]() |
---|---|---|
김금일 ![]() |
3·4위전
[편집]결승전
[편집]우승
[편집]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번째 우승 |
수상
[편집]득점왕 | 대회 MVP | 페어 플레이 트로피 |
---|---|---|
![]() |
![]() |
![]() |
2007년 FIFA U-20 월드컵 참가 팀
[편집]다음 4개 팀은 캐나다에서 열린 2007년 FIFA U-20 월드컵 참가 자격을 획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일본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대한민국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3위)
요르단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4위)
각주
[편집]- ↑ “한국, 아시아청소년대회서 무난한 조편성”. 《마이데일리》. 2006년 4월 17일. 2023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한국, 亞청소년축구 조편성 무난”. 《연합뉴스》. 2006년 4월 17일. 2023년 7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