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 | ||
---|---|---|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곡비원아목 | |
하목: | 여우원숭이하목 | |
상과: | 여우원숭이상과 | |
과: | 여우원숭이과 | |
아과: | 여우원숭이아과 | |
속: | 목도리여우원숭이속 | |
종: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 |
학명 | ||
Varecia variegata | ||
(Kerr, 1792) | ||
학명이명 | ||
| ||
아종 | ||
|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1]의 분포 지역 | ||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의 분포[3] | ||
보전상태 | ||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Varecia variegata) 또는 흰목도리여우원숭이는 여우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일종이다. 마다가스카르 섬이 원산지이며, 2종의 목도리여우원숭이 중에서 더 멸종 위험이 높은 종이다.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보다 더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낮은 개체밀도와 격리된 생식으로 인해 개체수가 더 작다. 또한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보다 대규모의 국립공원에서 더 작은 적용 범위와 보호를 받고 있다.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의 3종의 아종은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가 아종에서 종으로 승급된 2001년 이후부터 인정되고 있다.[3]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와 함께, 이들은 현존하는 여우원숭이들 중에서 가장 커서, 키는 100~120 cm 몸무게는 3.1-4.1 kg에 달한다.[5] 이들은 수목형 동물로, 마다가스카르 섬 동쪽의 계절성 우림의 캐노피 상단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또한 오로지 낮 시간 동안에 주로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이다. 나무와 땅 위에서 네 발로 움직이며, 나무에 먹이를 섭취하는 동안은 나무에 매달려 있는 것이 목격된다. 여우원숭이들은 대부분 초식 동물이기 때문에, 먹이는 주로 과일로 이루어져 있지만, 꽃꿀과 꽃 또한 선호하며, 다음으로는 잎과 약간의 씨앗이다.[6]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는 복잡한 군집생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크고 쉰 목소리로 알려져 있다.[3] 유별나게도, 이들은 적은 야행성 여우원숭이들에서 발견되는 몇몇 생식 상의 특징들을 보여주는 데, 임신 기간이 짧고, 한 번에 여러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성숙 시기가 빠르다.[6]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와 함께, 둥지를 만드는 유일한 영장류다.[3] 사육 상태에서, 최고 36살까지 산다.[7]
분류
[편집]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는 목도리여우원숭이속(Varecia)의 2종의 하나로 3종의 아종이 있다. 3종의 아종 중에서, 흰줄무늬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Varecia variegata subcincta)는 먼 북쪽 지역에서[8], 남부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Varecia variegata editorum)는 먼 남쪽 지역에서[9],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Varecia variegata variegata)는 그 두 아종 사이의 지역에서 발견된다.[10]
- 여우원숭이과(Lemuridae)
- 여우원숭이아과 (Lemurinae)
- 여우원숭이속 (Lemur) : 호랑이꼬리여우원숭이
- 참여우원숭이속 (Eulemur) : 갈색여우원숭이
- 목도리여우원숭이속 (Varecia) : 목도리여우원숭이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Varecia variegata)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Varecia variegata variegata)
- 남부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Varecia variegata editorum)
- 흰줄무늬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Varecia variegata subcincta)
- 붉은목도리여우원숭이 (Varecia rubra)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Varecia variegata)
- 대나무여우원숭이아과 (Hapalemurinae) : 대나무여우원숭이
- 여우원숭이아과 (Lemurinae)
해부학과 생리학
[편집]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의 손발의 끝과 등쪽은 흰 바탕에 검은색이다. 목에 갈기가 있으며, 얼굴에는 개와 같은 주둥이 모양의 코가 있다. 수컷과 암컷은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야생에서의 위협
[편집]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의 포식자로는 헨스트새매(Accipiter henstii)와 포사(Cryptoprocta ferox), 둥근꼬리몽구스(Galidia elegans) 그리고 갈색꼬리몽구스 (Salanoia concolor) 등이 있다. 포식자들, 특히 포유류 포식자들로부터 초래되는 가장 큰 위험은 둥지를 만드는 습성때문이다.
각주
[편집]-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17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다 라 Mittermeier, R.A.; et al. (2006). 《Lemurs of Madagascar》 2판. Conservation International. 303~320쪽. ISBN 1-881173-88-7.
- ↑ “Varecia variegat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8년 10월 6일에 확인함. Listed as Critically Endangered (CR A2cd v3.1)
- ↑ Garbutt, Nick (2007). 《Mammals of Madagascar, A Complete Guide》. A&C Black Publishers. 170~73쪽. ISBN 978-0-300-12550-4.
- ↑ 가 나 Sussman, R.W. (2003). 《Primate Ecology and Social Structure》. Vol. 1: Lorises, Lemurs, and Tarsiers Revis 1판. Pearson Custom Publishing. 195–200쪽. ISBN 0-536-74363-0.
- ↑ Gron, KJ (2007년 8월 17일). “Primate Factsheets: Ruffed lemur (Varecia) Taxonomy, Morphology, & Ecology”. Wisconsin Primate Research Center (WPRC). 2008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Varecia variegata ssp. subcinct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5월 3일에 확인함.
- ↑ “Varecia variegata ssp. editorum”.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5월 3일에 확인함.
- ↑ “Varecia variegata ssp. variegat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5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ARKive -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Varecia variegata)의 사진과 동영상
- Parco Zoo Punta Verde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Varecia variegata) 보관됨 2008-12-17 - 웨이백 머신
- Animal Diversity Web의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