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두꺼비
![]() | ||||||||||||||
![]() | ||||||||||||||
보전 상태 | ||||||||||||||
---|---|---|---|---|---|---|---|---|---|---|---|---|---|---|
![]() 절멸(EX), IUCN 3.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Bufo periglenes |
황금두꺼비는 개구리목에 속한 두꺼비이다. 코스타리카의 고유종이었지만 현재 멸종되었다.
형태[편집]
몸길이가 수컷의 경우 4.1~4.8cm, 암컷의 경우 4.7~5.4cm이다. 뒷면에는 발달하지 않은 약간의 융기가 있고, 융기에는 검고 작은 가시가 있다. 몸 측면에는 이러한 융기가 없다. 수컷은 뒷면의 몸 색이 빨간색이나 주황색을 띈다. 암컷은 뒷면의 몸 색깔이 흑갈색이나 황갈색으로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 반점이 있다. 배 부분의 색깔은 연두색이나 담황색으로 검은색이나 빨간색의 얼룩무늬가 들어가는 개체가 많다.
농약류(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가 두꺼비(Bufo Gargarizans)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편집]
농약류 3종의 독성평가를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국내에 서식 중인 두꺼비(Bufo gargarizans)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Benomyl(살균제), Carbofuran(살충제), Thiobencarb(제초제)의 영향을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다.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50)은 각각 1.03, 8.74, 4.98mg/L 을 나타내어 Benomyl이 기형 유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50)은 7.26, 560.72, 16.87mg/L 을 나타내어 Benomyl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배아가 치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ratogenic index (TI=LC50/EC50)는 Benomyl 7.05, Carbofuran 64.16, Thiobencarb 3.39를 나타내어 TI값이 모두 기형유발물질로 판단되는 기준인 1.5이상으로 시험에 사용된 농약류 3종은 최기형성 물질로 판단된다. Carbofuran이 가장 강력한 최기형성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농약류가 두꺼비 및 양서류의 배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1]
각주[편집]
- ↑ Ko ), 고선근 ( Sun-kun (2020). “농약류(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가 두꺼비(Bufo Gargarizans)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4 (3): 207–215. ISSN 1229-3857.
외부 링크[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