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북읍
보이기
홍북읍 洪北邑 | |
---|---|
![]() | |
로마자 표기 | Hongbuk-eup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충청남도 홍성군 |
행정 구역 | 28리, 76반 |
법정리 | 13리 |
관청 소재지 | 홍북읍 홍북로 449 |
지리 | |
면적 | 44.67 km2 |
인문 | |
인구 | 29,148명(2022년 3월) |
세대 | 10,139세대 |
인구 밀도 | 652.5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홍북읍 행정복지센터 |
홍북읍(洪北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홍성군 동북부에 있는 읍이다. 인구는 2018년 5월 말 기준으로 2만6,763명이다.
홍북읍은 충청남도청 소재지로, 충청남도청이 위치한 신경리를 중심으로 내포신도시가 조성중이다. 신경리에는 홍북읍 행정복지센터 내포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2015년 3월 31일 내포신도시 주민복합지원센터가 준공되었다. 2017년 8월 1일 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다.
개요
[편집]홍북읍은 홍성읍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해발 381m의 용봉산을 경계로 예산군 덕산면, 북쪽으로는 삽교읍, 동으로는 응봉면, 남으로는 홍성읍, 금마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면의 동부에는 삽교천이 가로질러 북쪽으로 흐르고 그 유역에는 비산비야의 기름진 농경지를 이루고 있다.
홍북읍은 고려 말 명장 최영 장군과 조선 시대 사육신 성삼문 선생이 태어난 애국과 충절의 고장이다. 특히, 2013년 1월 1일 충청남도청이 면 내의 내포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충청남도의 행정중심도시로서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1]
연혁
[편집]- 조선시대 홍성군 홍천면(洪川面), 치사면(雉寺面), 대감개면(大甘介面)
- 1914년 4월 1일 홍성군 홍북면으로 통합(13법정리)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홍성군 대감개면 홍북면 갈산리, 노은리, 대인리, 산수리, 신정리 홍성군 치사면 홍북면 대동리, 석택리, 신경리, 용산리 홍성군 홍천면 홍북면 내덕리, 내법리, 봉신리, 상하리, 중계리
- 1983년 2월 15일 내법리가 홍성읍으로 편입
- 2017년 8월 1일 홍북읍으로 승격
행정 구역
[편집]- 갈산리
- 내덕리
- 노은리
- 대동리
- 대인리
- 봉신리
- 산수리
- 상하리
- 석택리
- 신경리
- 신정리
- 용산리
- 중계리
공공기관
[편집]- 홍북읍 행정복지센터
- 홍성군보건소 홍북보건지소
- 홍성군보건소 내포보건지소
- 홍성경찰서 홍북파출소
- 홍북파출소 내포출장소
- 홍성소방서 내포119안전센터
- 충청남도청
- 충청남도교육청
- 충청남도유아교육진흥원
- 충남교통방송 : 2025년 2월 개국예정.
교육
[편집]- 홍북초등학교 (대동리 → 신경리)
- 산수초등학교 (폐교) - 금북로 390 (산수리)
- 용봉초등학교 (상하리)
- 내포초등학교 (신경리)
- 한울초등학교 (신경리)
- 홍북중학교 (신경리)
- 내포중학교 (신경리)
- 홍성고등학교 (신경리)
주거
[편집]단지명 건설사 시행사 주소 입주 비고 내포신도시 대방엘리움 더 센트럴 대방산업개발㈜ 디아이개발㈜
디아이건설㈜
엘리움주택㈜내포신도시 디에트르 에듀시티 대방건설 ㈜대방이엔씨 2025년 11월 (예정)
각주
[편집]- ↑ 홍성군청. “인사말 > 홍북읍 행정복지센터 > 홍북읍 > 읍면 > 홍성소개 >”.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