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사도요
![]() | |
---|---|
![]() 호사도요 수컷 | |
![]() 호사도요 암컷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도요목 |
과: | 호사도요과 |
속: | 호사도요속 |
종: | 호사도요 |
학명 | |
Rostratula benghalensis | |
Linnaeus, 1758 | |
| |
호사도요의 분포 | |
![]() | |
보전상태 |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
호사도요 | |
천연기념물 제449호 | |
지정일 | 2005년 3월 17일 |
소재지 | {{{소재}}} |
천연기념물 호사도요 | 국가문화유산포털 |
호사도요(豪奢 - , Rostratula benghalensis)는 도요목 호사도요과에 속하는 새이다. 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습지에서 서식한다.[2] 2005년 3월 17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49호로 지정되었다.
모습[편집]
다른 새들과 비교하여 몸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토실토실한 모습의 섭금류 새이다. 긴 적갈색 부리를 가지며 부리 끝부분은 살짝 아래로 굽어있는 형태다. 눈가는 뚜렷하게 흰색이거나 살짝 분홍빛을 띤다. 날개에는 둥근 담황색 점들이 있고, 꼬리는 짧은 편이다. 가슴은 흰색이며, 날개를 접었을 때 그 윗부분은 흰색으로 가슴과 색이 이어진다. 호사도요는 도요새와 별 관련성이 없다. 호사도요는 도요새와 습성, 비행, 생김새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호사도요는 도요새보다는 훨씬 더 다채로운 색이며 더 긴 다리를 가지고 있다. 호사도요는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 종으로 수컷보다 암컷이 더 크고 더 밝은 색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암컷은 머리 옆부분, 목 등이 진한 밤색이며 가슴에 뚜렷한 검은색 띠가 있다. 수컷은 더 옅은 색이고 암컷보다는 회색에 더 가까운 색을 하고 있다.
행동[편집]
서식[편집]
주로 습지, 늪, 연못, 하천 등의 물가의 갈대밭 근처에서 서식한다.
먹이[편집]
주로 곤충, 갑각류, 연체동물, 씨앗 등을 먹는다.
번식[편집]
암컷이 수컷에게 구애하는 형식이며, 일처다부제이다.[3][4] 수컷이 알을 품고 어린 새끼를 돌본다. 새끼는 담황색이고 몸을 따라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5] 다 자라지 않은 새는 수컷과 비슷한 모습이지만 가슴에 검은색 선이 없다는 차이를 보인다. 번식기는 4월과 7월 사이이다.
사진[편집]
각주[편집]
- ↑ BirdLife International (2012). “Rostratula benghalens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2. 201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Rostratula benghalensis (Greater Painted-snipe) - Avibase”. 《avibase.bsc-eoc.org》. 2017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Shigemoto Komeda (1983). “Nest Attendance of Parent Birds in the Painted Snipe (Rostratula benghalensis)”. 《The Auk》 100 (1): 48–55. doi:10.1093/auk/100.1.48.
- ↑ Wesley, HD (1993). 〈Breeding behaviour sequential polyandry and population decline in (Rostratula benghalensis)〉. Verghese, A; Sridhar, S; Chakravarthy, AK. 《Bird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Nineties and Beyond》. Ornithological Society of India, Bangalore. 166–172쪽.
- ↑ Wesley, H Daniel. “A male painted snipe and his chick”. 《Newsletter for Birdwatchers》 30 (7&8): 3.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