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이형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 성 사이에서 색깔과 크기의 극적인 차이를 보이는 꿩. 까투리(암컷, 왼쪽)와 장끼(수컷, 오른쪽)

성적 이형성(sexual dimorphism)은 같은 종의 두 이 생식기 이외의 다른 부분에서도 다른 특징을 보이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다수의 동물과 일부 식물에서 나타난다. 성적 이형성에 의한 차이는 2차 성징, 크기, 색깔, 무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행동적인 차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애매하거나 과장될 수도 있고, 성선택에 종속될 수도 있다. 이형성의 반대는 단형성(monomorphism)이다.

개요[편집]

오른쪽의 수컷 공작이 왼쪽의 암컷 공작에게 구애하고 있다.
수컷 (아래) 청둥오리와 암컷 청둥오리. 수컷 청둥오리는 뚜렷한 초록색 머리를 가진다. 
낡은무늬독나방(Orgyia antiqua) 수컷(왼쪽)과 암컷(오른쪽).

장식과 색조[편집]

언제나 뚜렷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이고 쉽게 식별되는 이형성의 형태는 장식과 색이다. 주워진 종에서 두 성의 색깔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성적 이색성(dichromatism)이라고 불리며 조류와 파충류의 다수의 종에서 관찰된다.[1] 성 선택은 배우자를 위한 경쟁에서 주로 사용되는 과장된 이형적 특징을 야기한다. 장식의 결과로 향상된 적응도는 그것을 생산하거나 유지하는 비용을 상쇄한다.[2]

과장된 장식적 특징은 주로 배우자를 위한 경쟁에서 사용되며 성선택을 내포한다.[3] 장식은 생산이나 유지를 위해 비용이 소요되고 복잡한 진화적 함의를 갖고 있으나[4] 이러한 비용이나 진화적 함의는 장식의 성질에 따라 다르다.

공작은 이 원리의 예를 잘 보여 준다. 수컷 공작의 사치스럽게 장식된 꽁지깃은 암컷 공작을 유혹한다. 어떤 사람이 공작을 처음 보았을 때, 수컷 공작은 밝은 깃털과 긴 꽁지깃을 가진 반면 암컷 공작은 수수한 갈색 깃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컷 공작과 암컷 공작이 다른 종이라고 착각할 수 있다.[5] 수컷 공작의 깃털은 비행할 때 장애가 되고 일반적으로 눈에 띄게 만들기 때문에 포식자에 대한 취약성을 높인다.[5]

성적 이형성의 또 다른 예는 푸른박새이다. 수컷 푸른박새는 암컷보다 노란색을 띈다. 이는 초록색의 인시류 애벌레의 섭취에서 획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시류 애벌레는 다량의 카르티노이드 루테인과 제아잔틴을 함유한다.[6] 이러한 성 섹스습관은 인간이 볼 수 없는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성적으로 이형의 색을 유도한다.[7][8] 그리하여 수컷 박새는 비록 인간에게는 노란색으로 보이지만 암컷 박새에게는 보라색으로 보이는 깃털을 갖는다. 이러한 깃털은 수컷의 부모로서의 능력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9] 이러한 색깔은 수컷이 카로티노이드가 함유된 먹이를 얻는 것에 능숙하다는 것을 보이기 때문에 암컷에게 좋은 지표가 된다. 꼬리 및 유두 유방 깃털과 건강 상태 사이에는 긍정적인 연관 관계가 있다.[10] 카로티노이드는 많은 동물들의 생식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카르티노이드에 의존하는 신호는 건강을 암시할 수 있다.[11]

암컷은 종종 배우자 선택에서 과장된 수컷의 2차 성징에 대한 선호를 보인다. 섹시한 아들 가설은 암컷은 흐릿한 색을 가진 수컷보다 더욱 화려한 수컷을 선호하며 선택한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성관계를 가질 확률이 높아진다.[12]

생리적 분화[편집]

레드립 블레니(Ophioblennius atlanticus)에서는 오로지 수컷만이 항문-비뇨기 부분에 항균성 물질을 분비하는 기관을 발달시킨다. 알을 돌보는 동안 수컷 물고기는 항문-비뇨기 부분을 서식처 안쪽 표면에 문질러 어린 물고기에게 가장 흔한 죽음의 원인인  세균 감염으로부터 알을 보호한다.[13]

각주[편집]

  1. Armenta J. K.; Dunn P. O.; Whittingham L. A. (2008). “Quantifying avian sexual dichromatism: a comparison of method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11 (15): 2423–2430. doi:10.1242/jeb.013094. PMID 18626076. 
  2. Zahavi A (1975). “Mate selection-a selection for a handicap”.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53 (1): 205–214. doi:10.1016/0022-5193(75)90111-3. PMID 1195756. 
  3. Andersson 1994
  4. Amotz Zahavi (1975). “Mate selection – a selection for a handicap” (PDF).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53 (1): 205–214. doi:10.1016/0022-5193(75)90111-3. PMID 1195756. 
  5. Zi J.; Yu X.; Li Y.; Hu X.; Xu C.; Wang X.; Fu R. (2003). “Coloration strategies in peacock feath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0 (22): 12576–12578. doi:10.1073/pnas.2133313100. PMC 240659. PMID 14557541. 
  6. T. Slagsvold & J. T. Lifjeld (1985). “Variation in plumage colour of the Great tit Parus major in relation to habitat, season and food”. 《Journal of Zoology206 (3): 321–328. doi:10.1111/j.1469-7998.1985.tb05661.x. 
  7. Stefan Andersson, Jonas Örnborg & Malte Andersson (1998). “Ultraviolet sexual dimorphism and assortative mating in blue tit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265 (1395): 445–450. doi:10.1098/rspb.1998.0315. PMC 1688915. 
  8. Sarah Hunt, Andrew T. D. Bennett, Innes C. Cuthill & Richard Griffiths (1998). “Blue tits are ultraviolet tit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265 (1395): 451–455. doi:10.1098/rspb.1998.0316. JSTOR 50814. PMC 1688906. 
  9. J. C. Senar, J. Figuerola & J. Pascual (2002). “Brighter yellow blue tits make better parent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269 (1488): 257–261. doi:10.1098/rspb.2001.1882. PMC 1690890. PMID 11839194. 
  10. “Plumage colour in nestling blue tits: sexual dichromatism, condition dependence and genetic effects” (PDF).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270 (1521): 1263–1270. 2003. doi:10.1098/rspb.2003.2375. JSTOR 3558810. PMC 1691364. PMID 12816639. 
  11. George A. Lozano (1994). “Carotenoids, parasites, and sexual selection” (PDF). 《Oikos70 (2): 309–311. doi:10.2307/3545643. JSTOR 3545643. 2017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6일에 확인함. 
  12. Rubolini D.; Spina F.; Saino N. (2004). “Protandry and sexual dimorphism in trans-Saharan migratory birds”. 《Behavioral Ecology》 15 (4): 592–601. doi:10.1093/beheco/arh048. 
  13. Giacomello, Eva (2006). “A male sexually dimorphic trait provides antimicrobials to eggs in blenny fish”. 《Biology Letters》 2 (3): 330–333. doi:10.1098/rsbl.2006.0492. PMC 1686180. PMID 17148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