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

학벌(學閥)과 더불어 학력(學歷)은 학문을 닦아서 얻게 된 사회적 지위나 신분 또는 출신 학교의 사회적 지위나 등급을 뜻한다.[1]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학벌은 다의어로, 학문을 닦아서 얻게 된 계급적인 의미, 학교를 나온 사람끼리 밀어주는 파벌의 의미가 있는데 일본어의 학벌은 후자인 학교 파벌을 의미하지만, 한국에서는 전자를 가리키는 말로 주로 사용한다.
학력이 열등할수록 집안의 가정 환경이 가난하고 학력이 우월할수록 집안의 가정 환경이 부유하다는 통계청 조사가 발표되었다.[2][3][4] 학벌(學閥)과 더불어 학력(學歷)이 높으면 사회적 지위가 우월하다 지칭한다.[5][6] 왕족 · 정치인 · 재벌 등 지배계급은 우월한 학력을 갖추며 구분적 계급을 갖추고 있다.[7]
모든 집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나 역사적으로 학벌에 의존하는 집단이든 혈통에 의존하는 집단이든 집단이기주의에서는 그렇게 큰 차이가 없었으며 우리나라의 과거사에서도 좋은 학벌을 가졌던 사람들이 좋은 혈통을 가진 사람들을 상대로 승리했다면 오히려 서울대의 독재나 학벌주의가 더 심해졌을 수도 있다. 현재 대략 상위 5% 고소득층 개개인은 다른 소득층에 비해 명문대 학벌을 차지할 확률이 높다.[8] 학력이 좋은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상위 5%를 상당한 비율로 차지하였다고 조사되었다.[9]
하드웨적인 로봇들이 주로 학력이 뒤떨어지는 집단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있으며 소프트웨어적 인공지능들 역시 마찬가지이다.[10][11]
현황[편집]
서울대 공화국이라 불렸던 과거[12]에 비해서 서성한까지는 대학별 격차가 완화된 편이나 지방대 육성에 실패하여 서울과 지방의 격차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 옛날에는 우수했던 지방 대학들이 몰락하였으며 최근 입시 성적으론 서울과기대 같은 신흥 대학이 지거국조차 일부 능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심지어 일반적인 대학에 비해 많은 국가적 지원이 있는 과학기술원들조차 좋은 인서울 대학들한테 고전하는 편이다. 반면에 막강한 혜택을 주는 의대는 지방의 대학들도 과거보다 높은 성적을 요구하고 있다.
지방대의 몰락은 지거국이나 지중국 혹은 주요한 사립 대학들 중심이 아닌 특별법 대학 설립과 그것으로 인해 분산된 투자와 인적자원 투입이 원인일 수도 있다. 따라서 문재인 대통령이 추진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도 목표와 달리 성과가 그리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서울대는 질적 기준에서 좋은 권리와 돈의 획득 수단인 대한민국학술원에서도 기존이나 신규 회원의 70~80%를 점유할 정도로 아직도 다른 대학들에 비해서 수준의 차이[13][14][15][16]가 있으며 일부 좋은 대학들은 결함이 좀 심한 학생들도 합격할 가능성이 꽤 높다. 현재까지는 주로 정시에 있어서 11199 같은 유형보다 고르게 점수를 획득한 사람들이 유리한 대학들이 많으며 본고사 폐지 이후 성실성을 요구하는 추세가 있다.[17]
전면적으로 서울대가 크게 강세이며 연고대가 뒤를 따르고 있다.[18] 나머지 대학은 서성한이 좀 우세가 있으나 sky의 점유율이 높아 딱히 강점이 강하지 않다.[19][20] CEO 비율에서도 sky가 장기간 동안 확실히 우세가 있으며 서성한은 현재까진 약간 약세가 있다.[21]
인서울[편집]
인서울 대학교(Universities in Seoul)는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 내에 소재하는 대학들을 말한다. 어느 정도 가치를 인정받는 인서울은 보통 4년제 괜찮은 대학이나 그런 대학이 될 가능성이 있는 대학들을 가리킨다. 옛날부터 지방 대학들의 학벌 가치 상실과 몰락은 지혜가 있는 사람에겐 쉽게 예상 가능한 결과였기 때문에 지방대에 현재보다 많은 학생들이 진지하게 진학하던 시기에도 우수한 지방 인재들의 유출이 심했다. 따라서 많은 돈만을 요구하고 메리트가 크게 없는 지방 사립대는 결국 괴멸적인 결과를 아주 빠르게 맞이하였고, 가성비가 어느 정도 있는 지중국(국중국) 같은 대학과 함께 지거국에서도 심지어 비용이나 입결 등 당시 조건이 더 불리한 인서울을 위해 지방 대학을 포기하는 현상이 등장하게 되었다. 오히려 지금보다도 승리에 대한 확신을 갖기 어려웠던 시절에도 진행되었던 인서울 대학에 대한 사람들의 투자는 주로 ky와 서성한인 인서울 대학들의 무서운 성장과 함께 지방 대학들에겐 끔찍한 결말로 다가왔고 현재도 중경외시나 서울과기처럼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인서울 대학들에 의해 비슷한 패턴이 반복될 가능성도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문제라기보단 대한민국에서 복합적인 원인을 통하여 발생한 특수한 문제로 옛날의 민중적 학문 도입이나 현재의 진보적 모델[22]의 실행 결과가 딱히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근미래에도 인서울 현상이 지속될 수 있다.
참고 자료[편집]
- 은미 (2009년 10월 6일). “[DT 광장] 네덜란드 IT교육의 경쟁력” (HTML). 디지털타임즈.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출처: 《국립국어원》
- ↑ "한국, 집안배경이 성적에 큰 영향…美·日·英보다 심해"
- ↑ "부모의 경제력이 자녀 학업성적 결정한다"
- ↑ 관련 논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관련 논문
- ↑ "엘리트라는 이름의 신흥 귀족"
- ↑ 관련 논문: 한국사회의 학벌주의와 계급갈등: 학벌자본의 이론화를 향해
- ↑ http://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6304
- ↑ https://luxmen.mk.co.kr/view.php?sc=51100001&cm=%C0%FC%C3%BC%B1%E2%BB%E7&year=2022&no=799589
- ↑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epdf/10.3982/ECTA19815
- ↑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958
- ↑ https://m.khan.co.kr/article/200609281123001
- ↑ https://www.nas.go.kr/#mobileMenuLayer
- ↑ https://www.law.go.kr/%EB%B2%95%EB%A0%B9/%EB%8C%80%ED%95%9C%EB%AF%BC%EA%B5%AD%ED%95%99%EC%88%A0%EC%9B%90%EB%B2%95
- ↑ https://admission.snu.ac.kr/materials/downloads/samples
- ↑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414
- ↑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905110925001
- ↑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82
- ↑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2991
- ↑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208150600001/amp
- ↑ https://m.etoday.co.kr/view.php?idxno=2188287
- ↑ “진보교육 - [대학체제개편논쟁] 2. 국립대 통합네트워크와 국립교양대학 안 논쟁에 부쳐”. 2011년 4월 10일. 2023년 6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