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사어
보이기
사용 국가 | 니제르, 나이지리아, 가나, 베냉,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수단, 토고 |
---|---|
언어 인구 | 약 3400만 명 (2007) |
문자 | 로마자 아랍 문자 |
언어 계통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차드어파 서차드어군 Hausa–Gwandara (A.1) 하우사어 |
언어 부호 | |
ISO 639-1 | ha
|
ISO 639-2 | hau
|
ISO 639-3 | hau 하우사어
|
글로톨로그 | haus1257[1] |
![]() |
하우사어는 하우사인의 언어로 주로 나이지리아 북부에서 니제르 남쪽에 걸쳐서 쓰인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차드어파에 속한다.
구사 인구
[편집]다음 나라들에서 하우사어로 말하고 있다:
- 나이지리아 (1,852만5,000명, 1991년)
- 니제르 (5백만명, 1998년)
- 수단 (48만9,000명, 2001년)
- 카메룬 (2만3,500명, 1982년)
- 베냉 (2번째언어로서만)
- 부르키나파소 (2번째언어로서만)
- 가나 (2번째언어로서만)
문자
[편집]로마자
[편집]현대 하우사어는 영국 식민통치의 영향으로 1930년대부터 로마자에 근거한 문자를 쓰고 있다. 이 표기법은 보코(하우사어: bōkṑ)라고 불리며, 공식 정서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문어와 단어들의 글씨모양 표준은 카노 방언에 근거를 두고 있다. 니제르에서는 표준 문어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고 있다.
A a | B b | Ɓ ɓ | C c | D d | Ɗ ɗ | E e | F f | G g | H h | I i | J j | K k | Ƙ ƙ | L l |
---|---|---|---|---|---|---|---|---|---|---|---|---|---|---|
/a/ | /b/ | /ɓ/ | /tʃ/ | /d/ | /ɗ/ | /e/ | /ɸ/ | /ɡ/ | /h/ | /i/ | /(d)ʒ/ | /k/ | /kʼ/ | /l/ |
M m | N n | O o | R r | S s | Sh sh | T t | Ts ts | U u | W w | Y y | (Ƴ ƴ) | Z z | ʼ | |
/m/ | /n/ | /o/ | /r/, /ɽ/ | /s/ | /ʃ/ | /t/ | /(t)sʼ/ | /u/ | /w/ | /j/ | /ʔʲ/ | /z/ | /ʔ/ |
문자 ƴ는 니제르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ʼy가 ƴ대신에 사용되고 있다. 성조, 모음의 장단, 및 r과 ɽ의 구별(모든 화자가 구별하는 것은 아니다.)은 표기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아랍 문자
[편집]19세기부터 하우사어를 위해 변형한 아랍 문자, 아자미(ajami)를 사용했다.
보코 (로마자) |
음운 (IPA) |
아자미 (아랍문자) |
비고 |
---|---|---|---|
a | a | تَ | |
aː | تَا | ||
b | b | ب | |
ɓ | ɓ | ب | = b |
ٻ | 아랍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
c | tʃ | ث | |
d | d | د | |
ɗ | ɗ | د | = d |
ط | = ts | ||
e | e | تٜ | 아랍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eː | تٰٜ | 아랍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
f | ɸ | ف | |
g | ɡ | غ | |
h | h | ه | |
i | i | تِ | |
iː | تِى | ||
j | (d)ʒ | ج | |
k | k | ك | |
ƙ | kʼ | ك | = k |
ق | |||
l | l | ل | |
m | m | م | |
n | n | ن | |
o | o | تُ | = u |
oː | تُو | ||
r | r, ɽ | ر | |
s | s | س | |
sh | ʃ | ش | |
t | t | ت | |
ts | (t)sʼ | ط | = ɗ |
ڟ | 아랍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
u | u | تُ | = o |
uː | تُو | ||
w | w | و | |
y | j | ى | |
z | z | ز | |
ذ | |||
ʼ | ʔ | ع |
음운
[편집]닿소리
[편집]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평음 | 순음화 | |||||||
비음 | m | n | ||||||
파열음/파찰음 | 내파음 | ɓ | ɗ | |||||
유성음 | b | d | (d)ʒ | ɟ | ɡ | ɡʷ | ||
무기음 | t | tʃ | c | k | kʷ | ʔ | ||
방출음 | (t)s’ | c’ | k’ | kʷ’ | ||||
마찰음 | 유성음 | z | ||||||
무기음 | ɸ | s | ʃ | h | ||||
유음 | 설측음 | l | ||||||
비설측음 | r | ɽ | ||||||
반모음 | j, j̰ | w |
홀소리
[편집]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iː | u, uː | |
중모음 | e, eː | o, oː | |
저모음 | a, aː |
겹홀소리로는 ai, au, iu, ui 4개가 있다.
성조
[편집]하우사어에는 세 개의 성조, 즉 저조·고조·하강조가 있다.[2] 성조를 나타내는데 프랑스어의 발음 구별 기호가 쓰인다.
- à è ì ò ù (저조)
- á é í ó ú (고조)
- â ê î ô û (하강조)
같이 보기
[편집]참고 자료
[편집]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Hausa〉.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Hausa (영어)
참고 문헌
[편집]- Учебный русско-хауса-йоруба словарь. Лаптухин В. В., Маянц В. А., Кедайтене Е. И. - Москва: Русский язык,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