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찬차차라어
사용 지역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서북부, 피찬차차라 소유지, 얄라타; 노던 준주 서남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
---|---|
사용 민족 | 피찬차차라인 |
언어 인구 | 3,125명 (2016년) 80% 단언어 화자 (날짜 없음) |
문자 | 로마자 |
언어 계통 | 파마늉아어족 와티어파 서부사막어군 피찬차차라어 |
언어 부호 | |
ISO 639-3 | pjt 피찬차차라어
|
글로톨로그 | pitj1243[1] |

피찬차차라어(Pitjantjatjara language)[2]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사막지대에 사는 피찬차차라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다른 서부사막어군 언어들과 상호소통이 가능하며, 특히 얀쿤차차라어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단지 20%의 피찬차차라인들만이 영어를 사용하며, 나머지는 피찬차차라어만을 사용한다. 약 50%~70%에 달하는 피찬차차라인들이 그들의 언어로 읽고 쓰기가 가능하다. 사용인구는 2500명 정도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제어 중에서는 가장 보존이 잘 된 언어 중 하나이다.
음운론
[편집]피찬차차라어의 음운 목록은 다음과 같다. 철자는 화살괄호 안에 병기하였다.[3]
양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 | p~b ⟨p⟩ | t~d ⟨t⟩ | ʈ~ɖ ⟨ṯ⟩ | c~ɟ ⟨tj⟩ | k~ɡ ⟨k⟩ |
비음 | m ⟨m⟩ | n ⟨n⟩ | ɳ ⟨ṉ⟩ | ɲ ⟨ny⟩ | ŋ ⟨ng⟩ |
설측음 | l ⟨l⟩ | ɭ ⟨ḻ⟩ | ʎ ⟨ly⟩ | ||
R음 | r~ɾ ⟨r⟩ | ɻ ⟨ṟ⟩[4] | |||
접근음 | j ⟨y⟩ | w ⟨w⟩ |
피찬차차라어에는 일반적인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와 같이 대조되는 3개의 모음이 있다.[5]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ɪ ⟨i⟩, ɪː ⟨ii⟩ | ʊ ⟨u⟩, ʊː ⟨uu⟩ | |
저모음 | ɐ ⟨a⟩, ɐː ⟨aa⟩ |
피찬차차라어는 모음의 길이를 구별한다. 장모음은 모음 글자를 중복해서 쓰거나 콜론 ⟨:⟩을 써서 ⟨a:⟩, ⟨i:⟩, ⟨u:⟩처럼 나타낸다.
피찬차차라어 정서법은 다음과 같이 밑줄 그은 글자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로마자 낱자에 밑줄을 그어 나타낼 수도 있고 전용 유니코드 글자로 나타낼 수도 있다.
- Ḻ: 유니코드 1E3A
- ḻ: 유니코드 1E3B
- Ṉ: 유니코드 1E48
- ṉ: 유니코드 1E49
- Ṟ: 유니코드 1E5E
- ṟ: 유니코드 1E5F
- Ṯ: 유니코드 1E6E
- ṯ: 유니코드 1E6F
밑줄은 해당 자음이 치경음이 아니라 권설음임을 나타낸다.
음소배열론
[편집]피찬차차라어에서 장모음은 어휘적인 어근의 첫 음절에서만 나타난다.[6] 따라서 피찬차차라어의 음소배열론은 첫 음절에서는 (C)V(V)(C), 둘째 음절부터는 (C)V(C)을 따른다. 전통적인 피찬차차라어에서 모든 단어는 모음으로 끝난다.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의 경우 다른 접미사가 붙지 않는다면 접미사 -pa가 붙어 단어가 자음으로 끝나는 것을 방지한다.
Ngayu-lu | mingkul-ku | a-nu. |
1SG.NOM | wild.tobacco-PURP | go-PAST |
‘내가 야생 담배를 위해 왔다.’ |
Ngayu-lu | mingkul-pa | tjuṯa-ku | a-nu. | |
1SG.NOM | wild.tobacco-AUG | PL-PURP | go-PAST | |
‘내가 많은 야생 담배를 얻기 위해 왔다.’ |
ly는 단어의 첫 소리로 올 수 없으며, y 역시 드물다.
강세
[편집]대부분의 오스트레일리아 언어들은 주강세가 단어의 첫 음절에, 부강세가 셋째, 다섯째 등의 음절에 오며,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는 강세가 오지 않는다는 규칙이 있다.[7] 피찬차차라어 역시 이를 따른다.
피찬차차라어에서 동사는 방향 접두사가 붙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접두사와 동사의 첫 음절 모두 주강세를 취한다.
[mɑ́ːpɪ́cʌ] | maa-pitja | 떨어져-가다(명령) |
[ŋɑ́ʎʌpɪ́cʌ] | ngalya-pitja | 이쪽-가다(명령) |
자음 연쇄
[편집]연속되는 두 자음을 각각 C1과 C2라고 할 때에 피찬차차라어의 자음 연쇄는 다음과 같은 제약을 받는다.[8]
- C1은 파열음 혹은 반모음이 아니어야 한다.
- C2는 설측음과 r이 아니어야 한다.
- 같은 위치에서 조음되지 않는 자음들의 연쇄의 경우 C1은 변자음이 아니어야 하고, C2는 치경음이 아니어야 한다.
- 비음인 자음들의 연쇄의 경우 C2는 설단음이 아니어야 한다.
- C1이 r일 때 C2는 치경음이 아니어야 한다.
문법
[편집]다음 내용은 주로 Bowe (1990) 를 따른다.
명사
[편집]행위자 피행위자
[편집]피찬차차라어는 분열 능격이 나타나는 언어로,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는 능격-절대격 정렬을 따르지만 대명사는 주격-대격 정렬을 따른다.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의 능격 절대격 접미사는 형태가 다르며, 1인칭 단수 주격 대격 접미사는 고유 명사의 능격 절대격 접미사와 형태가 일치한다.
Minyma-ngku | tjitji | nya-ngu. |
woman-ERG | child.ABS | see-PAST |
‘여자가 아이를 보았다.’ |
Billy-lu | Naomi-nya | nya-ngu. |
Billy-ERG | Naomi-ABS | see-PAST |
‘Billy가 Naomi를 보았다.’ |
Palu-ṟu | ngayu-nya | nya-ngu. |
3SG.NOM | 1SG.ACC | see-PAST |
‘그가 나를 보았다.’ |
목표-소유격
[편집]피찬차차라어에서 -ku/-mpa는 소유자를 표시하거나 무언가를 위해서임을 나타낸다. -ku는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에, -mpa는 대명사에 붙는다.
Kungkawara-ku | ngunytju | a-nu. |
girl-GEN | mother.ABS | go-PAST |
‘소녀의 어머니가 갔다.’ |
Minyma-ngku | kuri-ku | kapi | mantji-nu. |
woman-ERG | spouse-PURP | water.ABS | get-PAST |
‘여자가 남편을 위해 물을 얻어 왔다.’ |
목표-소유격은 신체 부위와 같은 양도 불가능 소유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될 수 없다. 양도 불가능 소유는 소유자와 같은 격을 취함으로 나타낸다.
Tjilka-ngku | minyma | tjina | waka-ṉu. |
prickle-ERG | woman.ABS | foot.ABS | pierce-PAST |
‘가시가 여자의 발을 찔렀다.’ |
몇몇 동사들은 목표-소유격을 둘째 논항으로 취한다. 따라서 해당 문장은 자동문이 된다.
Kuḻunypa | ngampu-ku | mukuri-nganyi. |
toddler.ABS | egg-PURP | like-PRES |
‘아이가 달걀을 좋아한다.’ |
장소-도구격
[편집]피찬차차라어에서 -ngka/-la는 장소를 표시하거나 도구로 사용됨을 나타낸다. -ngka는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에, -la는 대명사에 붙는다.
Tjitji | ngura-ngka | nyina-pai. |
child.ABS | home-LOC | sit-HABIT |
‘아이가 야영지에서 머무르곤 했다.’ |
Palu-ṟu | palu-la | tjawa-lpai. |
3SG.NOM | 3sg-INSTR | dig-HABIT |
‘그가 그것으로 파내곤 했다..’ |
장소격 접미사 -ngka/-la는 아래의 향외격, 탈격, 횡단 접미사가 고유 명사와 대명사에 붙을 때, 기피 접미사가 무언가에 붙을 때 그 사이에 삽입된다.
향외격
[편집]피찬차차라어에서 -kutu는 향외격을 표시한다.
Wati | ngura-kutu | a-nu. |
man.ABS | home-ALL | go-PAST |
‘남자가 집으로 갔다.’ |
탈격
[편집]피찬차차라어에서 -nguru는 탈격을 표시한다.
Wati-ngku | maḻu | apu | katu-nguru | nya-ngu. |
man-ERG | kangaroo.ABS | hill | top-ABL | see-PAST |
‘남자가 언덕 위에서 캥거루를 보았다.’ |
횡단 접미사
[편집]피찬차차라어에서 -wanu는 그것을 가로질러 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Wati | karu-wanu | a-nu. |
man.ABS | creek-TRAN | go-PAST |
‘남자가 계곡을 가로질러 갔다.’ |
기피 접미사
[편집]피찬차차라어에서 -tawara는 그것을 피해 어디론가 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항상 장소격 접미사 -ngka/-la와 같이 나타난다.
Minyma | a-nu | tjitji | kura-ngka-tawara. |
woman.ABS | go-PAST | child | bad-LOC-AVERS |
‘여자가 나쁜 아이가 무서워 떠났다.’ |
인과 접미사
[편집]피찬차차라어에서 -kitja, -tjiratja, -tjara는 각각 무엇을 위해, 무엇이 없기 때문에, 무엇이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9] -kitja와 -tjiratja는 반드시 능격 접미사를 붙여 일치시켜야 하지만, -tjara는 능격 접미사를 붙이는 여부에 따라 다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Minyma-ngku | kuri | pu-ngu | kungka | kutjupa-tjara |
woman-ERG | spouse | hit-PAST | woman | another-HAVING |
‘여자가 다른 여자가 있는 남편을 때렸다.’ |
Minyma-ngku | kuri | pai-nu | wati | kutjupa-tjara-ngku |
woman-ERG | spouse | banish-PAST | man | another-HAVING-ERG |
‘여자가 다른 남자가 있어 남편을 쫓아냈다.’ |
능격 접미사가 붙었을 경우 소유주가 능격임을 표시하고, 그렇지 않았을 경우 소유주는 절대격이다.
대명사
[편집]피찬차차라어의 대명사는 단수, 쌍수, 복수와 1인칭, 2인칭, 3인칭으로 구분된다. 대명사는 명사와는 다르게 주격-대격 정렬을 따른다. 3인칭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에서 일반적이지 않다.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 | 쌍수 | 복수 | 단수 | 쌍수 | 복수 |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ngayu-lu | ngali | nganaṉa | nyuntu | nyupali | nyura | palu-ṟu | pula | tjana |
대격 | ngayu-nya | ngali-nya | nganaṉa-nya | nyuntu-nya | nyupali-nya | nyura-nya | palu-nya | pula-nya | tjana-nya |
의존 대명사
[편집]피찬차차라어의 의존 대명사는 접어의 형태로 나타나며, 문장의 첫 구성 성분에 붙는다. 단독으로 나타날 수 있는 대명사와 마찬가지로 주격과 대격이 존재한다.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 | 쌍수 | 복수 | 단수 | 쌍수 | 복수 |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ṉa | -li | -la | -n | -Ø | -pula/Ø | -ya/Ø | ||
대격 | -ṉi | -li-nya | -la-nya | -nta | -Ø | -Ø | -Ø |
모든 대명사에 대해 접어 형태가 존재하는 것은 아닌데, 이 경우 대명사가 직접 사용된다.
Tjitji-ṉa | nya-ngu. |
child.ABS-1SG.NOM | see-PAST |
‘내가 아이를 보았다.’ |
Tjitji | nyanga | puḻka-ngku-ṉi | nya-ngu. |
child | this | big-ERG-1SG.ACC | see-PAST |
‘이 큰 아이가 나를 보았다.’ |
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Pitjantjatjara〉.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빠른 발화에서 종종 어중의 -tja-가 생략된 Pitjantjara로도 나타난다.
- ↑ Tabain & Butcher (2014), 190–191쪽.
- ↑ 단, 어두에서 ⟨ṟ⟩은 ⟨r⟩로 쓰이기도 하는데, 어두에는 /r/가 올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정서법에서는 /r/을 ⟨rr⟩로 적고 /ɻ/을 ⟨r⟩로 적기도 한다.
- ↑ Tabain & Butcher (2014), 194–195쪽.
- ↑ Goddard (1985), 11–12쪽.
- ↑ Dixon (1980), 128쪽.
- ↑ Langlois (2004), 43–44쪽.
- ↑ 언어명이자 부족명인 Pitjantjatjara는 pitjantja-tjara로 분석되며, '나아가기 때문에'의 의미를 가진다.
외부 링크
[편집]- (영어) Ngapartji 보관됨 2017-10-10 - 웨이백 머신 Online course of Pitjantjatjara language, and related performance event 2006
- (영어)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pjt
- (영어) Languages and dialects associated with Uluru
- (영어) Omniglo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