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폐활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폐활량측정의 결과 그래프

폐활량(肺活量, vital capacity, VC)은 사람이 최대한 숨을 들이마신 후에 내뱉을 수 있는 공기의 최대 양이다. 폐활량은 들숨예비량(IRV), 일회호흡량(TV), 날숨예비량(ERV)의 총합과 같다. 또한 강제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과는 크기가 거의 같다.[1][2]

사람의 폐활량은 폐활량측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생리적 측정과 더불어, 폐활량은 기저 폐질환을 진단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또한 폐활량은 신경근 질환에서 호흡근에 얼마나 심하게 문제가 생겼는지 밝히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길랑-바레 증후군이나 중증 근무력증의 치료법 결정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정상 성인의 폐활량은 3 ~ 5L이다.[3] 이 값은 나이, 성별, 신장, 체중, (아마도) 인종에 의해서 달라진다.[4] 가령 건강한 성인 남성의 폐활량은 약 3.5L, 여성은 2.5L 정도이며 수면 시에는 0.5L 정도로 떨어진다.[5] 그러나 인종에 대해서는 연구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며, 19세기 흑인 노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인종 간 폐활량 차이에 대한 첫 연구였다.[6] 이 연구는 환경적인 요인이 합쳐져 그 결과를 그대로 신용하기는 어렵다.[7]

폐용적(lung volume)과 폐용량(lung capacity)은 호흡 주기의 서로 다른 시점에서의 공기의 부피를 나타낸다. 폐용적은 바로 측정할 수 있으나 폐용량은 폐용적 값들 간의 계산을 통해 알아내야 한다.

진단적 가치

[편집]

폐질환의 원인을 감별하는 데에 폐활량 검사를 이용할 수 있다. 제한성 폐질환에서는 폐활량이 감소하지만 폐쇄성 폐질환의 경우 대개 폐활량이 정상이거나 약간 감소한다.[8]

추정 폐활량

[편집]
신장별 남성[9]
신장 150–155 cm 155–160 cm 160–165 cm 165–170 cm 170–175 cm 175–180 cm
폐활량 (cm3) 2900 3150 3400 3720 3950 4300
나이별 남성[9]:183
나이 15–25 25–35 35–45 45–55 55–65
폐활량 (cm3) 3425 3500 3225 3050 2850

공식

[편집]

폐활량은 신장이 클수록 증가하고 나이를 먹을수록 감소한다. 폐활량을 추정하기 위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3]


의 단위는 cm3이며 대략적인 폐활량이다. 는 나이, 의 단위는 cm이며 신장이다.

각주

[편집]
  1. Chhabra, S. K. (January 1998). “Forced Vital Capacity, Slow Vital Capacity, or Inspiratory Vital Capacity: Which Is the Best Measure of Vital Capacity?”. 《Journal of Asthma》 35 (4): 361–365. doi:10.3109/02770909809075669. PMID 9669830. 
  2. “Forced Expiratory Volume and Forced Vital Capacity”. 《Michigan Medicine》. 
  3. “Vital Capacity”. 《Family Practice Notebook》. 2015년 2월 19일에 확인함. 
  4. Hutchinson, John (January 1846). “On the Capacity of the Lungs, and on the Respiratory Functions, with a View of Establishing a Precise and Easy Method of Detecting Disease by the Spirometer”.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MCT-29 (1): 137–252. doi:10.1177/095952874602900113. PMC 2116876. PMID 20895846. 
  5. “폐활량”. 《두산백과 두피디아》. 2022년 11월 6일에 확인함. 
  6. Villarosa, Linda (2019년 8월 14일). “How False Beliefs in Physical Racial Difference Still Live in Medicine Today”. 《The New York Times》. 
  7. Braun, Lundy (2015). “Race, ethnicity and lung function: A brief history”. 《Canadian Journal of Respiratory Therapy》 51 (4): 99–101. PMC 4631137. PMID 26566381. 
  8. “Pulmonary Function Tests”. UCSD. 2015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9일에 확인함. 
  9. Pratt, Joseph H. (December 1922). “Long-Continued Observations on the Vital Capacity in Health and Heart Disease”. 《The American Journal of the Medical Sciences》 164 (6): 819–831. doi:10.1097/00000441-192212000-00003. S2CID 71818743. ProQuest 125233939.  |id=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 (도움말)

추가 자료

[편집]

폐활량을 측정하거나 예측하기 위해 시행된 다양한 연구들이 있다.

  • Berglund, E.; Birath, G.; Bjure, J.; Grimby, G.; Kjellmer, I.; Sandqvist, L.; Söderholm, B. (1963). “Spirometric Studies in Normal Subjects I: Forced Expirograms in Subjects Between 7 and 70 Years of Age”. 《Acta Medica Scandinavica》 173 (2): 185–192. doi:10.1111/j.0954-6820.1963.tb16520.x. PMID 13970718. 
  • Birath, G.; Kjellmer, I.; Sandqvist, L. (1963). “Spirometric Studies in Normal Subjects: II. Ventilatory Capacity Tests in Adults”. 《Acta Medica Scandinavica》 173 (2): 193–198. doi:10.1111/j.0954-6820.1963.tb16521.x. PMID 13968399. 
  • Grimby, G.; Sóderholm, B. (1963). “Spirometric Studies in Normal Subjects: III. Static Lung Volumes and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in Adults with a Note on Physical Fitness”. 《Acta Medica Scandinavica》 173 (2): 199–206. doi:10.1111/j.0954-6820.1963.tb16523.x. 
  • Forche, Günther; Stadlober, Ernst; Harnoncourt, Karl (1988). “Neue spirometrische Bezugswerte für Kinder, Jugendliche und Erwachsene” [New spirometric reference values for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Österreichische Ärztezeitung》 (독일어) 43 (15;16): 40–42. 
  • Gulsvik, A.; Tosteson, T.; Bakke, P.; Humerfelt, S.; Weiss, S. T.; Speizer, F. E. (2001년 11월 30일). “Expiratory and inspiratory forced vital capacity and one-second forced volume in asymptomatic never-smokers in Norway: Spirometric standards in Norway”. 《Clinical Physiology》 21 (6): 648–660. doi:10.1046/j.1365-2281.2001.00377.x. PMID 11722472. 
  • Hedenström, H; Malmberg, P; Agarwal, K (November 1985). “Reference values for lung function tests in females. Regression equations with smoking variables”. 《Bulletin Européen de Physiopathologie Respiratoire》 21 (6): 551–557. OCLC 114155676. PMID 4074961. INIST:8470928. 
  • Langhammer, A.; Johnsen, R.; Gulsvik, A.; Holmen, T.L.; Bjermer, L. (2001년 11월 1일). “Forced spirometry reference values for Norwegian adults: the Bronchial Obstruction in Nord-Trøndelag stud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18 (5): 770–779. doi:10.1183/09031936.01.00255301. PMID 11757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