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
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 Pioneer Venus Orbiter | |
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의 상상도. | |
임무 정보 | |
---|---|
관리 기관 | 미국 항공우주국, 에임스 연구 센터 |
계약 기관 | 휴즈 항공 |
임무 유형 | 금성 궤도선 |
COSPAR ID | 1978-051A |
발사일 | 1978년 5월 20일 13시 13분 (UTC) |
발사체 | 아틀라스 SLV-3D 센타우르-D1AR |
발사 장소 |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
목표 천체 | 금성 |
임무 기간 | 14년 4개월 18일 |
임무 종료 | 1992년 10월 22일[1] |
웹사이트 | NASA의 파이어니어 금성 계획 |
우주선 정보 | |
중량 | 517 kg |
전력 | 312 와트 |
궤도 정보 | |
궤도 | 금성 주회 궤도 |
근지점 | 181.6 km |
원지점 | 66630 km |
주기 | 24시간 |
이심률(e) | 0.842 |
궤도 경사(i) | 105 도 |
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영어: Pioneer Venus Orbiter, 파이어니어 금성 1호나 파이어니어 12호로 알려져 있기도 한다)은 파이어니어 계획의 일부로, 금성으로 간 우주 탐사선이다. 1978년 5월 아틀라스 센타우르 로켓으로 발사되었고, 1978년 12월 4일 금성 주변을 도는 타원형 궤도에 진입하였다. 1992년 8월까지 금성 궤도에서 자료를 보내 왔다.[1][2]
발사와 금성 도착
[편집]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은 협정 세계시 1978년 5월 20일 13시 13분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36A 발사장에서 아틀라스 SLV-3D 센타우르-D1AR 로켓으로 발사되었고, 궤도선을 태양 주회 궤도로 진입시켰다.
탐사선
[편집]휴즈 항공기업에 의해서 제작된 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은 HS-507 기반으로 만들어진 운반선이었다.[3] 탐사선은 직경 2.5m이고 높이 1.2m인 평평한 원기둥 모양이었다. 모든 장비와 우주선 하위 시스템은 원기둥의 전방 단부에 부착되었다. 단, 자력계는 4.7m 길이의 봉 끝에 장착되었다. 태양 전지판은 원기둥의 둘레에 부착되었다. 1.09m 크기의 디스펀 안테나는 지구와의 통신을 위해 X와 S 대역을 이용했다. 스타-24 고체 로켓은 금성으로 갈 수 있는 추진력을 만들기 위해 탐사선과 결합되었다.[3]
1980년 7월 금성 궤도에 진입할 때, 레이다와 전리층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궤도 근점을 142~253 km (북위 17도)사이로 정했다. 탐사선의 궤도 원점은 66900 km 고도에 있었으며, 궤도를 24시간에 한 번 돌았다. 그 후,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 근점을 2290km까지 상승시킨 후 떨어트렸다.
1991년, 레이다 지도 작성기는 금방 도착한 마젤란 우주선과 함께 지금까지 측정할 수 없었던 남쪽 부분을 분석하기 위해 다시 가동되었다. 1992년 5월, 탐사선은 근점을 150~250km로 잡았고, 탐사선의 연료가 없어져 자연스럽게 궤도 붕괴가 일어날 때까지 측정하는 마지막 임무를 시작했다. 1992년 10월 8일까지 자료를 보내왔고, 마지막 신호는 협정 세계시 19시 22분에 수신되었다.[2] 1992년 10월 22일, 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은 금성의 대기에 재진입을 함으로써 파괴되었다.[1]
실험
[편집]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은 17가지의 실험 기구를 가지고 있었다(총 무게는 45kg이었다).
- 구름 사진 편광계(OCPP)는 구름의 수직 방향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실렸고,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의 이미징 사진 편광기(IPP)와 비슷한 종류였다.
- 표면 레이다 지도 작성기(ORAD)는 표면의 특성과 지형의 모양을 정한다. 이 장치는 탐사선이 행성의 표면으로부터 4700 km 이상 떨어져 있을 때만 사용이 가능했다. 20와트의 S 대역 신호(1757 기가헤르츠)를 표면으로 보내, 그 반향을 탐사선이 측정한다. 분해능은 근점에서 23X7 km였다.
- 적외선 방사계(IR)는 금성의 대기권에서 적외선 방출을 측정한다.
- 대기광 자외선 분광계(OVUS)는 자외선의 방출과 분산의 정도를 측정한다.
- 중립성 질량 분석기(ONMS)는 대기권 상부의 구성 성분을 결정한다.
- 태양풍 플라스마 분석기(OPA)는 태양풍의 특성을 연구한다.
- 자력계(OMAG)는 금성의 자기장의 특성을 연구한다.
- 전기장 검출기(OEFD)는 태양풍과의 상호 작용을 연구한다.
- 전자 온도 측정기(OETP)는 전리층의 열 특성에 대해 연구한다.
- 이온 질량 분석기(OIMS)는 전리층에 있는 이온들의 수를 연구한다.
- 감속된 대전 입자 분석기(ORPA)는 전리층의 입자에 대해 연구한다.
- 두 개의 라디오 장비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금성 중력장의 크기에 대해 연구한다.
- 전파 엄폐 실험을 통해 대기권의 특성에 대해 연구한다.
- 대기 마찰 실험으로 대기권에 대해 연구한다.
- 무선 장비로 대기에 대해 연구하고 태양풍 난류에 대해 실험한다.
- 감마선 폭발 감지기(OGBD)는 감마선 폭발을 기록한다.
또한 탐사선은 처음으로 전파 고도계를 사용한 관측을 계획해, 금성 표면의 전체 지도를 만들었다.
헬리 혜성 관측
[편집]금성 궤도상에서, 파이어니어 금성 궤도선은 핼리 혜성을 관측할 수 있었는데, 이 때는 1986년 2월 핼리 혜성이 태양에 붙어 있어 지구에서 볼 수 없었던 시점이었다. 자외선 분광기는 2월 9일, 핼리 혜성이 근일점을 통과할 때, 혜성의 핵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관측했다.[4]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McDowell, Jonathan. “Satellite Catalog”. 《Jonathan's Space Page》. 2003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Pioneer Venus 1”. 《Solar System Exploration》. NASA. 2006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Krebs, Gunter. “Pioneer 12 (Pioneer Venus Orbiter, PVO)”. 《Gunter's Space Page》. 2005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Russell, C.T.; Luhmann, J.G.; Scarf, F.L. (1985). “Pioneer Venus Observations during Comet Halley's Inferior Conjunction” (PDF).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9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