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생물 분류 식별자
이름[편집]
{{전거 통제}}도 영어 이름에서 바뀌었는데, 이 틀도 영어 이름으로 존재해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 regards, Revi 2017년 12월 4일 (월) 02:44 (KST)
- 안녕하세요, 틀 작성자입니다. "Taxon identifier" 용어는 제가 임의로 "분류군 식별자"로 번역해놓았습니다. 그런데 이를 검색해 보면 이 한국어 번역의 실제 용례를 찾을 수 없습니다. 그 밖의 적절한 번역어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저는 이동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Ykhwong (토론) 2017년 12월 4일 (월) 08:22 (KST)
- 현재로써는 이 명칭에 대한 한국어 번역이 확립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렵네요. (Google과 Duckduckgo에서도 딱히 유의미한 결과를 못 찾았습니다.) — regards, Revi 2017년 12월 5일 (화) 19:58 (KST)
- Taxonbar가 가리키는 것이 Taxonomic database이니 ‘식물분류학 데이터베이스’나 ‘분류학 데이터베이스’, ‘분류 데이터베이스’ 등이 어울리지 않을까요?--Dalgial (토론) 2017년 12월 5일 (화) 21:59 (KST)
- 우선 영어 위키백과의 틀 설명문서의 내용 상단 부분을 한국어 위키백과의 틀 설명문서로 가져왔습니다. 비록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다고 하지만, Taxonbar 상자 내에 포함되는 각각의 짧은 문자열들은 명백히 식별자로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분류군 식별자"라는 현재의 표현을 유지하여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Ykhwong (토론) 2017년 12월 5일 (화) 22:56 (KST)
- ‘식별자’의 유지에 동의합니다. 그런데, ‘분류군’은 굉장히 어색하네요. 해당 분류군(대개 종이지만, 속이거나 과 등)의 분류학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식별자를 안내하고 있지, 어떤 분류군인지 안내하고 있지 않으므로 ‘분류학 식별자’로 바꿨으면 좋겠습니다.--Dalgial (토론) 2017년 12월 5일 (화) 23:10 (KST)
- 각 항목들은
[DB이름]:[식별자]
로 구성되는데, 우측의 식별자를 분류군 식별자로 보아야 되는지, 분류학 식별자로 보아야 되는지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참고로, en:Taxon이 분류군과 1:1 대응되어 연결되어 있습니다. 분류학은 en:Taxonomy (biology)로 연결됩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들어보면 좋겠습니다. --Ykhwong (토론) 2017년 12월 5일 (화) 23:26 (KST)- Taxonbar는 Taxon 틀이라기 보다는 Taxonomy 틀이라고 생각합니다. Ykhwong님이 번역하여 한국어판 첫 머리에 올려 놓으신, 해당 틀 영어판의 첫 문장 "This metadata template links Wikipedia articles to various biological and taxonomic databases."에서 그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영어 문장 중 ‘various biological and taxonomic databases’을 “다양한 생물 및 분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셨더군요. 그 번역이 오히려 타당해 보입니다. 이 틀은 분류학 데이터베이스, 또는 식물분류 데이터베이스를 가리킵니다. 제 주장은 여기까지이고, 다른 분들의 의견 들어보는 데 동의해요--Dalgial (토론) 2017년 12월 6일 (수) 00:28 (KST)
- 각 항목들은
- ‘식별자’의 유지에 동의합니다. 그런데, ‘분류군’은 굉장히 어색하네요. 해당 분류군(대개 종이지만, 속이거나 과 등)의 분류학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식별자를 안내하고 있지, 어떤 분류군인지 안내하고 있지 않으므로 ‘분류학 식별자’로 바꿨으면 좋겠습니다.--Dalgial (토론) 2017년 12월 5일 (화) 23:10 (KST)
- 우선 영어 위키백과의 틀 설명문서의 내용 상단 부분을 한국어 위키백과의 틀 설명문서로 가져왔습니다. 비록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다고 하지만, Taxonbar 상자 내에 포함되는 각각의 짧은 문자열들은 명백히 식별자로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분류군 식별자"라는 현재의 표현을 유지하여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Ykhwong (토론) 2017년 12월 5일 (화) 22:56 (KST)
- Taxonbar가 가리키는 것이 Taxonomic database이니 ‘식물분류학 데이터베이스’나 ‘분류학 데이터베이스’, ‘분류 데이터베이스’ 등이 어울리지 않을까요?--Dalgial (토론) 2017년 12월 5일 (화) 21:59 (KST)
- 이의 없습니다. 주말까지 기다려 보고 다른 의견 없으면 다음 주 월요일 즈음에 이동하겠습니다. — regards, Revi 2017년 12월 7일 (목) 23:07 (KST)
재논의[편집]
@Ykhwong, -revi, Dalgial: taxon은 그냥 분류군으로 번역하는게 좋습니다. 이 틀에서 관리하는 추적용 분류명인 en:Category:Taxonbars on possible non-taxon pages도 "분류군이 아닌 문서에 taxonbar 틀이 붙은 문서" 쯤 되는데, 이상하게 분류:생물 분류가 아닌 잠재적인 문서의 생물 분류 식별자로 번역되어 있더군요. taxon은 그냥 현재 분류학에서 사용하는 분류군 이름, non-taxon은 예전에 쓰였지만 현재는 쓰이지 않는 분류근 이름(예컨데 무척추동물이나 겉씨식물)에 해당합니다. -- ChongDae (토론) 2018년 6월 7일 (목) 09:53 (KST)
- 저는 ChongDae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이 틀을 만들 때부터 내용에 처음부터 "분류군"을 사용했었습니다. 그러므로 해당 용어를 다시 사용하는 것은 제게 문제가 없습니다.(단지 "분류군 식별자" 용례가 궁금한 부분일뿐) 분류의 경우 현재 taxonbar의 번역된 틀 이름이 "생물 분류 식별자"이므로(bar가 번역이 안 됨) 분류명이 그렇게 되어있습니다. Bar의 번역으로 "표시줄"(MS 표기 용례)이나 "막대" 정도를 사용할 수 있고,아니면 분류명을 바꾸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Ykhwong (토론) 2018년 6월 8일 (금) 00:20 (KST)
- 전거 통제 틀과 함께 붙었을 때, 다르게 보이는 것도 해결되었으면 합니다. "생물 분류 식별자"가 너무 길어서일까요? -- ChongDae (토론) 2018년 6월 22일 (금) 14:14 (KST)
- @-revi, Dalgial: 이름 변경 토론에 참여한 사용자들을 다시 호출합니다. --Ykhwong (토론) 2018년 6월 23일 (토) 01:34 (KST)
- 분류군이 이미 ‘ 분류학에서 다른 생물들과 구분되는 동질의 생물군’을 가리키니 분류군을 쓰는 것에 동의합니다. 그런데, 생각을 해 보니 식별‘자’의 ‘자’가 이상하게 느껴지네요.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자29(子) 「접사」「2」((일부 명사 뒤에 붙어)) ‘기계 장치’ 또는 ‘도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를 가져온 듯한데요, ‘틀’과 겹치는 데다, 틀의 의미와 좀 다르네요. 이 틀의 이름을 ‘분류군 식별’로 하는 것이 어떨까요? ‘분류군 식별 틀’이요.--Dalgial (토론) 2018년 6월 23일 (토) 01:59 (KST)
- 분류군 식별자로 정해지는 것 같은데, 이의 없습니다. — regards, Revi 2018년 6월 23일 (토) 22:34 (KST)
- @-revi, Dalgial: 이름 변경 토론에 참여한 사용자들을 다시 호출합니다. --Ykhwong (토론) 2018년 6월 23일 (토) 01:34 (KST)
- 전거 통제 틀과 함께 붙었을 때, 다르게 보이는 것도 해결되었으면 합니다. "생물 분류 식별자"가 너무 길어서일까요? -- ChongDae (토론) 2018년 6월 22일 (금) 14:14 (KST)
좋습니다, 그런데 틀의 이름도 틀 안의 제목과 동일하게 사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 이름을 사용해야 할까요?
- 틀:Taxonbar → 틀:분류군 식별자 or 틀:분류군 막대 or 틀:분류군 표시줄 or ...
- Taxon Identifiers (틀 안의 제목) → 분류군 식별자
틀 이름의 번역은 위의 ChongDae님의 상기 분류 관련 의견과 관련이 됩니다. --Ykhwong (토론) 2018년 6월 24일 (일) 02:3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