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미생물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 박테리아에서 넘어옴)

장내미생물군(gut microbiota, probiotics), 소화관, 소화관 미생물 또는 위장 미생물은 곤충을 비롯한 인간 및 다른 동물의 소화관에 사는 복잡한 미생물 군집이다. 내장 소화역학은 소화관 마이크로 비오타(microbiota)의 모든 게놈의 집합체이다. 위장(위와 창자)[1]은 인간의 미생물이 살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2]

개요[편집]

사람의 경우, 내장의 미생물무리(microbiota)는 신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가장 많은 수의 박테리아와 가장 많은 수의 종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인간에서는 출생 후 1 ~ 2년 후에 창자 생물군이 형성되며, 그때까지 창자 상피와 창자 점막 장벽이 공동으로 개발하여 장 세균군상에 관여하고 심지어는 어떤 측면에서는 지지 작용을 한다. 장의 박테리아는 외부에서 들어온 병원균에 대한 방어막 기능인 건강한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 기능[편집]

일부 소화관과 인간 사이의 관계는 단지 공생 (비 유해한 공존)이 아니라 오히려 상호적인 관계이다. 일부 인간 내장 미생물은 식이 섬유를 짧은 사슬 지방산 (SCFA), 예를 들어 아세트산 및 부티르산을 포함하며, 이들은 장박테리아에 의해서 숙주에 의해 흡수가 용이한 상태로 바뀐다. 장내 박테리아는 또한 비타민 B와 비타민 K의 합성뿐만 아니라 담즙산, 스테롤 및 생체 이물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내 세균들이 생산하는 SCFAs와 다른 화합물의 체계적인 중요성은 호르몬과 같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어떤 장내 세균군(균총) 자체는 내분비 기관처럼 기능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장 세균 군의 조절 장애는 다양한 염증 및 자가 면역 상태와 관련되어있다고 보고있다.

기능[편집]

약물 미생물학[편집]

인간 메타게놈(즉, 개인과 인체에 서식하는 모든 미생물의 유전적 구성)은 사람마다 상당히 다양하다.[3] 인체의 총 미생물 세포 수(100조 개 이상)가 호모 사피엔스 세포 수(수십조 개)를 훨씬 초과하기 때문이다[4]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을 변화시키는 약물, 약물의 약동학 프로파일을 변화시키는 미생물 효소에 의한 약물 대사, 약물의 임상적 효능과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의 미생물 대사 등 약물과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에는 상당한 잠재력이 있다.[5][6]

병원균의 직접적인 억제[편집]

장내 세균총은 병원균에 대한 방어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7][8]공간을 완전히 식민지화하여 사용 가능한 모든 영양분을 사용하고 영양분을 놓고 경쟁할 수 있는 원치 않는 유기체를 죽이거나 억제하는 화합물을 분비하는데, 이러한 화합물은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9][10] ]장내 박테리아의 균주마다 서로 다른 사이토카인을 생성한다. 사이토카인은 면역계가 감염에 대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생성하는 화합물이다.[11][12] 장내 미생물이 파괴되면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과 같이 휴면 상태인 경쟁 유기체가 자리를 잡을 수 있다.[13]

유익균과 유해균의 경쟁[편집]

유익균(A)과 유해균(B)의 경쟁관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인체(C)에 유익한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1) A만할 수 있는 A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2) A와 B가 서로 억제하는 직접적인 경쟁을 한다.
(3) A가 C를 확보함으로서 B가 C에 접근하기 어렵도록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우리말샘)위장(胃腸)-위(胃)와 창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Saxena, R.; Sharma, V.K (2016). 〈A Metagenomic Insight Into the Human Microbiome: Its Implications in Health and Disease〉. D. Kumar; S. Antonarakis. 《Medical and Health Genomics》. Elsevier Science. 117쪽. doi:10.1016/B978-0-12-420196-5.00009-5. ISBN 978-0-12-799922-7. 
  3. “Pharmacomicrobiomics: The Impact of Human Microbiome Variations on Systems Pharmacology and Personalized Therapeutics”. www.ncbi.nlm.nih.gov.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4. “Being human is a gut feeling”. www.ncbi.nlm.nih.gov.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5. “The Human Microbiome: at the interface of health and disease”. www.ncbi.nlm.nih.gov.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6. “Mechanistic elucidation of amphetamine metabolism by tyramine oxidase from human gut microbiota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onlinelibrary.wiley.com.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7. “Gut Microbiome: Your Friends for Life!”. www.nnc.gov.ph.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8. “Bacteria: Superheroes in our Guts”. www.omni-biotic.com.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9. “Commensal Clostridia: leading players in the maintenance of gut homeostasis”. gutpathogens.biomedcentral.com.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10. “Role of the gut microbiota in nutrient competition and protection against intestinal pathogen colonization”. www.microbiologyresearch.org.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11. “The Microbiota-Immune Axis: How Do Gut Bacteria Influence Immune Health?”. atlasbiomed.com.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12. “What Are Cytokines?”. facty.com.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13. “Protective role of gut commensal microbes against intestinal infections”. link.springer.com. 2023년 12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