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1번째 줄:
== 현황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철도역 정보
|역명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역명2 =
|한자 = 東大門歷史文化公園
|영어 = 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
|그림 = Seoul-metro-205-Dongdaemun-history-and-culture-park-station-sign-20181122-085026.jpg
|그림설명 = 2호선 역명판
|그림2 = Q129579 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 A02.JPG
|그림설명2 = 4호선 역명판(역명판 교체전 촬영)
|그림3 = Seoul-metro-536-Dongdaemun-history-and-culture-park-station-sign-20180915-115240.jpg
|그림설명3 = 5호선 역명판
|좌표 = {{좌표|37|33|54.5|N|127|00|28.2|E}}
|역번호 = 서울 지하철 2호선 : 205<br />수도권 전철 4호선 : 422<br />수도권 전철 5호선 : 536
|소재지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을지로]] 지하279<br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장충단로]] 지하230<br />수도권 전철 5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마른내로 지하162
|관할 =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1983년]] [[9월 16일]]({{한국 도시철도|SM2}})<br/>1986년 10월 18일({{한국 도시철도|SM4}})<br/>1996년 12월 30일({{한국 도시철도|SM5}})
|승강장 = 서울 지하철 2호선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상대식]])<br />수도권 전철 4호선 : 1면 2선([[섬식 승강장|섬식]])<br />수도권 전철 5호선 : 1면 2선([[섬식 승강장|섬식]])
|단말기 = 2537
|코드 = 서울 지하철 2호선 : 0205<br />수도권 전철 4호선 : 0422<br />수도권 전철 5호선 : 2537
|노선1 = {{한국 도시철도|SM2}}
|영업거리1 = [[시청역 (서울)|시청]] 기점 3.1 km
|전역1 = 204 [[을지로4가역|을지로4가]]
|전거리1 = 1.0
|후역1 = 206 [[신당역|신당]]
|후거리1 = 0.9
|노선2 = {{한국 도시철도|SM4}} ([[서울 지하철 4호선]])
|영업거리2 = [[진접역|진접(경복대)]] 기점 16.1 km
|전역2 = 421 [[동대문역|동대문]]
|전거리2 = 0.7
|후역2 = 423 [[충무로역|충무로]]
|후거리2 = 1.3
|노선3 = {{한국 도시철도|SM5}} ([[서울 지하철 5호선]])
|영업거리3 = [[방화역|방화]] 기점 27.3 km
|전역3 = 535 [[을지로4가역|을지로4가]]
|전거리3 = 0.9
|후역3 = 537 [[청구역|청구]]
|후거리3 = 0.9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 station,東大門歷史文化公園驛)은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광희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의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4호선]]은 청계천 하저터널로 [[동대문역]]과 연결된다. 인근에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있다.

== 역사 ==
* 1983년 6월 30일 : '''서울운동장역'''(서울運動場驛)으로 역명 결정<ref>[http://event.seoul.go.kr/snews/data/CN_MST/1983-972.pdf#page=7&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 1983년 6월 30일.</ref>
* 1983년 9월 13일 : [[수도권 전철 4호선]] 역명을 '''서울운동장역'''으로 결정<ref>[http://event.seoul.go.kr/snews/data/CN_MST/1983-984.pdf#page=233&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 1983년 9월 13일.</ref>
* [[1983년]] [[9월 16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을지로입구]] ~ [[성수역|성수]]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85년]] [[10월 18일]] : [[수도권 전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한성대입구]] ~ [[사당역|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101800209201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10-18&officeId=00020&pageNo=1&printNo=19707&publishType=00020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ref>
* 1985년 10월 24일 : '''동대문운동장역'''(東大門運動場驛)으로 역명 변경<ref>[http://event.seoul.go.kr/snews/data/CN_MST/1985-1199.pdf#page=2&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 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 1985년 10월 16일.</ref>
* [[1996년]] [[12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여의도]] ~ [[왕십리역|왕십리]] 구간 개통, 3개 노선 [[환승역]]이 됨
* [[2007년]] : [[서울 지하철 2호선]]부터 차례대로 [[스크린도어]] 설치 시작
* 2009년 10월 29일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 변경<ref>[http://event.seoul.go.kr/snews/data/CN_MST/%C1%A62940%C8%A3.pdf#page=163&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 2009년 10월 29일.</ref>
* 2018년 7월 18일 ~ 9월 20일: 4-5호선간 환승통로 에스컬레이터 노후로 환승통로 폐쇄, 2·4호선과 5호선간 환승 불가<ref>{{뉴스 인용 |저자=서형석 |제목=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5호선 환승 통로, 7월 18일∼10월 31일 전면폐쇄|url=http://news.donga.com/3/all/20180612/90534270/1 |뉴스=동아일보 |출판사= |위치= |날짜= 2018-06-12|확인날짜= }}</ref><ref>{{뉴스 인용 |저자=윤고은 |제목=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환승통로 21일 조기 재개통 |url=https://www.yna.co.kr/view/AKR20180914175700004 |뉴스=연합뉴스 |출판사= |위치= |날짜=2018-09-17 |확인날짜=2020-03-08 }}</ref>
* 2018년 9월 21일: 2·4호선과 5호선간 환승 통로 재개통

=== 2018년 환승통로 폐쇄 ===
[[2018년]] [[7월 18일]] [[서울교통공사]]는 노후 에스컬레이터 교체공사를 위해 4-5호선 환승통로를 폐쇄하였다. 이에 따라 2·4호선과 5호선간의 환승을 할 수 없게 되었으며, 폐쇄 기간 동안 기존에 2·4호선에서 5호선으로 환승하던 승객들은 인근 환승역을 이용해야 하였다. 서울교통공사는 당초 부분 폐쇄도 고려하였으나 역사 안 혼잡도가 심해지고 승객 안전 등을 이유로 전면 폐쇄로 결정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417052 서울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환승통로 10월까지 폐쇄], 한겨레, 2018년 7월 11일.</ref> 또한 5호선 승강장의 경우 6·7번 출구와만 연결되어 있어, 폐쇄 기간 동안 2·4호선 이용 후 6·7번 출구로 통행할 수 없었으며, 5호선은 6·7번 출구로만 승하차할 수 있었다. 2018년 9월 17일, 서울교통공사는 공사가 조기 완공되었다고 공식 발표하고 21일부터 통로를 개통시켰다.

== 역 구조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과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은 [[섬식 승강장]]이다. 출구 개수는 총 14개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 승강장에서 4호선 승강장까지 이어지는 환승 통로와 4호선 승강장에서 5호선 승강장까지 이어지는 환승 통로가 있다. 2호선 - 4호선 또는 4호선 - 5호선 환승 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나, 2호선에서 5호선으로 환승하려면 4호선을 거쳐야 하므로 환승 길이가 대단히 길기 때문에 [[을지로4가역]]이나 [[왕십리역]]에서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이 역은 4호선과 5호선이 직접 환승되는 유일한 역이다.

4호선의 경우, 승강장과 열차의 사이의 간격이 10센티미터 이상이나 되어, [[대한민국]]에서 발 빠짐 사고가 제일 잦은 지하철역이라고 발표되었다 (42건).<ref>{{뉴스 인용|제목=지하철역 승강장 틈 발빠진 사고 5년간 327건|url=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222800026|website=서울신문|날짜=2015-02-22|확인날짜=2020-03-08}}</ref>

=== 2호선 승강장 ===
{| style="text-align:center;"
|-
|-
!width="50"|차호!! width="75" |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small>[[을지로4가역|을지로4가]] ↑</small>
|-
|-
|'''201 편성'''|| rowspan="5"|[[2005년]]||운행 중||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2}};">내</span>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2}};">외</span>
|-
|-
|'''202 편성'''||운행 중||
| <small>↓ [[신당역|신당]]</small>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
|-
|'''203 편성'''||운행 중||
! 외선 순환
|rowspan="2"|{{한국 도시철도|SM2}}
|[[을지로4가역|을지로4가]]{{·}}[[을지로입구역|을지로입구]]{{·}}[[시청역 (서울)|시청]]{{·}}[[홍대입구역|홍대입구]]{{·}}[[신도림역|신도림]] 방면
|-
|-
|'''204 편성'''||운행 중||
! 내선 순환
|[[신당역|신당]]{{·}}[[성수역|성수]]{{·}}[[건대입구역|건대입구]]{{·}}[[잠실역|잠실]]{{·}} [[삼성역|삼성]]{{·}}[[강남역|강남]]{{·}}[[교대역 (서울)|교대]] 방면
|}

=== 4호선 승강장 ===
{| style="text-align:center;"
|-
|-
|'''205 편성'''||운행 중||
| <small>[[동대문역|동대문]] ↑</small>
|-
|-
|'''206 편성'''|| rowspan="5"|[[2017년]]||운행 중||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4}};">하 상</span> {{!}}
|-
|-
|'''207 편성'''||운행 중||
| <small>↓ [[충무로역|충무로]]</small>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
|-
|'''208 편성'''||운행 중||
!상행
|rowspan="2"|{{한국 도시철도|SM4}}
|[[동대문역|동대문]]{{·}}[[혜화역|혜화]]{{·}}[[미아역|미아]]{{·}}[[창동역|창동]]{{·}}[[노원역|노원]]{{·}}[[진접역|진접(경복대)]] 방면
|-
|-
|'''209 편성'''||운행 중||
!하행
|[[명동역|명동]]{{·}}[[회현역|회현]]{{·}}[[삼각지역|삼각지]]{{·}}[[이촌역|이촌]]{{·}}[[동작역|동작]]{{·}}[[오이도역|오이도]] 방면
|}

=== 5호선 승강장 ===
{| style="text-align:center;"
|-
|-
|'''210 편성'''||운행 중||
| <small>[[을지로4가역|을지로4가]] ↑</small>
|-
|-
|'''211 편성'''||rowspan="3"|[[2018년]]||운행 중||
|| {{!}} <span style="color: #ffffff; 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SM|5}};">하 상</span> {{!}}
|-
|-
|'''212 편성'''||운행 중||
| <small>↓ [[청구역|청구]]</small>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3" frame="hsides" rules="rows"
|-
|-
|'''213 편성'''||운행 중||
! 상행
|rowspan="2"|{{한국 도시철도|SM5}}
|[[광화문역|광화문]]{{·}}[[충정로역|충정로]]{{·}}[[여의도역|여의도]]{{·}}[[까치산역|까치산]]{{·}}[[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화역|방화]] 방면
|-
|-
|'''214 편성'''||[[2019년]]||운행 중||
! 하행
|[[청구역|청구]]{{·}}[[군자역|군자]]{{·}}[[광나루역|광나루]]{{·}}[[천호역|천호]]{{·}}[[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마천역|마천]] 방면
|}

== 역명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기 이전의 이름이었던 동대문운동장역은 인근에 [[1925년]]에 개장한 [[동대문운동장]]이 위치하고 있어 이름이 붙어졌던 것이었다. 동대문운동장의 옛 이름은 서울운동장으로 역명 역시 '''서울운동장역'''이었으나, [[1985년]] [[7월 27일]] 동대문운동장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역명도 개칭되었다. 그 이후 시간이 흘러 [[2003년]] [[3월 1일]]부로 [[동대문운동장]]이 임시주차장과 풍물시장으로 이용되고 [[2007년]] [[12월 18일]] [[동대문야구장]]부터 철거가 시작되어 [[2008년]] [[5월 14일]] [[동대문운동장|동대문운동장 축구장]]이 철거되어 존재하지 않게 되었으나, 철거 후에도 인지도가 높아 역명을 유지하다가 [[동대문운동장]] 부지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을 짓게 되면서, 역명을 개명하게 되었다. 역명과는 달리 실제 위치는 [[동대문구]]가 아닌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광희동]]에 위치하고 있다.

[[2009년]] [[10월 27일]]에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된 자리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문을 열었다.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에서는 [[10월 29일]]에 이 역의 이름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변경 고시하였고, [[12월 1일]]부터 바뀐 역명을 사용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s://news.joins.com/article/3855422|제목=[구구동동] 동대문운동장역 이름도 24년 만에 역사 속으로|출판사=[[중앙일보]]|날짜=2009-11-03}}</ref> 역명이 9글자로, 2014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전역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바뀌기 전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철도 역명이었으며, [[환승역]] 중에는 가장 길고 [[수도권 전철]] 역 중에도 가장 길다.

== 역 주변 ==
* [[광희동]]
* [[광희문]]
* [[경동교회]]
* [[국립중앙의료원]]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 [[동대문시장]]
** 굿모닝시티
** [[두산타워]]
** 맥스타일
** [[밀리오레]]
** 헬로우 apm
* 서울관광안내소
* [[서울광희초등학교]]
* [[CJ제일제당]]
*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 [[신당동|신당1동행정복지센터]]
* 오장동
* 을지로6가[[우체국]]
* 을지로지하보도
* [[묵정동|장충동행정복지센터]]
* [[동국대학교]]
* [[동국대학교]] 체육관 (대학농구리그 [[동국대학교]] 홈구장)
* 중부소방서
* 중부시장
* [[KT]] 을지지사
* 토요코인호텔 서울동대문점
* [[한양공업고등학교]]
* [[한양중학교]]
* 훈련원공원
* V.SPACE

== 이용객 변동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font-size: 85%;"
! rowspan="2" colspan="2" | 노선
! colspan="10"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rowspan="2" style="width: 1.2em; white-space: normal;" | 각주
|-
|-
|'''215 편성'''||rowspan="8"|[[2007년]]||운행 중||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16 편성'''||운행 중||
|rowspan=3| 2호선
| 승차
| 26,609
| 25,114
| 24,402
| 22,834
| 24,218
| 22,949
| 21,407
| 19,926
| 18,170
| 17,195
|rowspan=6|<ref>[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f>
|-
|-
|'''217 편성'''||운행 중||
| 하차
| 29,404
| 28,109
| 26,891
| 25,930
| 27,419
| 26,131
| 24,353
| 22,311
| 20,808
| 20,024
|-
|-
|'''218 편성'''||운행 중||
| 승하차
| 56,014
| 53,223
| 51,292
| 48,764
| 51,638
| 49,080
| 45,760
| 42,237
| 38,978
| 37,219
|-
|-
|'''219 편성'''||운행 중||
|rowspan=3| 4호선
| 승차
| 32,883
| 31,606
| 29,721
| 29,017
| 30,007
| 28,172
| 26,076
| 23,316
| 21,952
| 21,231
|-
|-
|'''220 편성'''||운행 중||
| 하차
| 35,710
| 34,558
| 32,535
| 31,299
| 31,416
| 29,144
| 26,910
| 24,149
| 22,057
| 21,060
|-
|-
|'''221 편성'''||운행 중||
| 승하차
| 68,593
| 66,164
| 62,256
| 60,316
| 61,423
| 57,317
| 52,986
| 47,465
| 44,009
| 42,292
|-
|-
|'''222 편성'''||운행 중||
|rowspan=3| 5호선
| 승차
| 1,564
| 1,769
| 1,845
| 1,879
| 1,841
| 1,789
| 1,690
| 1,607
| 1,650
| 1,642
|rowspan=3|<ref>[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f>
|-
|-
|'''223 편성'''||rowspan="2"|[[2007년]], [[2022년]]||운행 중|| rowspan="6"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 하차
| 2,324
| 2,520
| 2,520
| 2,521
| 2,395
| 2,311
| 2,126
| 2,054
| 2,103
| 2,089
|-
|-
|'''224 편성'''||운행 중
| 승하차
| 3,888
| 4,289
| 4,365
| 4,400
| 4,236
| 4,100
| 3,816
| 3,661
| 3,753
| 3,731
|-
|-
|'''225 편성'''||rowspan="3"|[[2008년]], [[2022년]]||운행 중
! colspan="2"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223 편성'''||rowspan="2"|[[2007년]], [[2022년]]||운행 중|| rowspan="6"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rowspan=3| 2호선
| 승차
| 16,476
| 17,079
| 16,849
| 16,643
| 19,056
| 18,848
| 19,537
| 19,184
| 19,498
|-
|-
|'''227 편성'''||운행 중
| 하차
| 19,181
| 19,564
| 19,276
| 19,145
| 22,107
| 21,637
| 22,525
| 22,074
| 22,069
|-
|-
|'''228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 승하차
| 35,657
| 36,643
| 36,125
| 35,788
| 41,163
| 40,485
| 42,062
| 41,258
| 41,567
|-
|-
|'''229 편성'''||[[2008년]], [[2022년]]||운행 중
|rowspan=3| 4호선
| rowspan="3"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br>229~23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승차
| 20,828
| 21,295
| 21,051
| 20,270
| 23,508
| 22,719
| 23,842
| 23,443
| 22,111
|-
|-
|'''230 편성'''||[[2008년]], [[2021년]]||운행 중
| 하차
| 20,494
| 20,996
| 20,468
| 19,356
| 21,780
| 20,996
| 21,777
| 21,390
| 20,124
|-
|-
|'''231 편성'''||[[2008년]], [[2022년]]||운행 중
| 승하차
| 41,322
| 42,291
| 41,519
| 39,626
| 45,288
| 43,715
| 45,619
| 44,833
| 42,235
|-
|-
|'''232 편성'''|| rowspan="7"|[[2019년]]||운행 중||
|rowspan=3| 5호선
| 승차
| 1,784
| 2,379
| 2,611
| 2,652
| 2,875
| 2,994
| 2,982
| 2,835
| 2,978
|-
|-
|'''233 편성'''||운행 중||
| 하차
| 2,283
| 3,056
| 3,273
| 3,270
| 3,488
| 3,599
| 3,568
| 3,384
| 3,728
|-
|-
|'''234 편성'''||운행 중||
| 승하차
|-
| 4,066
|'''235 편성'''||운행 중||
| 5,435
|-
| 5,884
|'''236 편성'''||운행 중||
| 5,922
|-
| 6,363
|'''237 편성'''||운행 중||
| 6,593
|-
| 6,550
|'''238 편성'''||운행 중||
| 6,219
|-
| 6,706
|'''239 편성'''|| rowspan="4"|[[2018년]]||운행 중||
|-
|'''240 편성'''||운행 중||
|-
|'''241 편성'''||운행 중||
|-
|'''242 편성'''||운행 중||
|-
|'''245 편성'''||[[2020년]]||운행 중||rowspan=4|현재 [[신정지선]] [[신도림역|신도림]]~[[까치산역|까치산]] 구간 6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
|'''246 편성'''||rowspan="3"|[[2022년]]||운행 중
|-
|'''247 편성'''||운행 중
|-
|'''248 편성'''||운행 중
|-
|'''256 편성'''||[[2020년]]||운행 중||rowspan="5"|현재 [[성수지선]] [[성수역|성수]]~[[신설동역|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
|'''257 편성'''||[[2005년]]||운행 중
|-
|'''258 편성'''|| rowspan="3"|[[2007년]]||운행 중
|-
|'''259 편성'''||운행 중
|-
|'''260 편성'''||운행 중
|-
|'''261 편성'''|| rowspan="10"|[[2008년]]||운행 중||
|-
|'''262 편성'''||운행 중||
|-
|'''263 편성'''||운행 중||
|-
|'''264 편성'''||운행 중||
|-
|'''265 편성'''||운행 중||
|-
|'''266 편성'''||운행 중||
|-
|'''267 편성'''||운행 중||
|-
|'''268 편성'''||운행 중||
|-
|'''269 편성'''||운행 중||
|-
|'''270 편성'''||운행 중||
|-
|'''267 편성'''||운행 중||
|-
|'''223 편성'''||rowspan="2"|[[2007년]], [[2022년]]||운행 중|| rowspan="6"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
|'''273 편성'''||rowspan="2"|[[2019년]]||운행 중||
|-
|'''274 편성'''||운행 중||
|-
|'''275 편성'''||rowspan="10"|[[2020년]]||운행 중||
|-
|'''276 편성'''||운행 중||
|-
|'''277 편성'''||운행 중||
|-
|'''278 편성'''||운행 중||
|-
|'''279 편성'''||운행 중||
|-
|'''280 편성'''||운행 중||
|-
|'''281 편성'''||운행 중||
|-
|'''282 편성'''||운행 중||
|-
|'''283 편성'''||운행 중||
|-
|'''284 편성'''||운행 중||
|-
|'''285 편성'''||rowspan="8"|[[2018년]]||운행 중||
|-
|'''286 편성'''||운행 중||
|-
|'''287 편성'''||운행 중||
|-
|'''288 편성'''||운행 중||
|-
|'''289 편성'''||운행 중||
|-
|'''290 편성'''||운행 중||
|-
|'''291 편성'''||운행 중||
|-
|'''292 편성'''||운행 중||
|-
|'''293 편성'''||[[2020년]]||운행 중||
|}
|}

== 사진 ==
<gallery widths="200px" perow="3">
205 동대문역사문화공원.JPG|2호선 역명판
Ddmstdm03.jpg|2호선 승강장(동대문운동장역 시절)
Q129579 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 A02.JPG|4호선 역명판(2013년 7월)
422dongdaemunstadium.jpg|4호선 승강장<br />(동대문운동장역 시절)
Seoul-metro-536-Dongdaemun-history-and-culture-park-station-sign-20180915-115240.jpg|5호선 역명판(2018년 9월)
Seoul-metro-536-Dongdaemun-history-and-culture-park-station-platform-20180915-115440.jpg|5호선 승강장(2018년 9월)
Seoul-metro-536-Dongdaemun-history-and-culture-park-station-entrance-7-20180915-120452.jpg|7번 출입구(2018년 9월, 이 당시는 환승통로 폐쇄시절)
Seoulsub008.jpg|2호선 역명판<br />(동대문운동장역 시절)
536 동대문운동장.jpg|5호선 역명판<br />(동대문운동장역 시절)
</gallery>

== 인접한 역 ==
{{인접정차역/열기}}
{{인접정차역
|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종별 = {{한국 도시철도|SM2}}
|전역 = 204 [[을지로4가역|을지로4가]]
|전방면 = 외선순환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2}}
|후역 = 206 [[신당역|신당]]
|후방면 = 내선순환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2}}
}}
{{인접정차역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종별 = {{한국 도시철도|SM4}}<br>
|전역 = 421 [[동대문역|동대문]]
|전방면 = [[진접역|진접(경복대)]] 방면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4}}
|후역 = 423 [[충무로역|충무로]]
|후방면 = [[오이도역|오이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4}}
}}
{{인접정차역
|노선 =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별 = {{한국 도시철도|SM5}}
|전역 = 535 [[을지로4가역|을지로4가]]
|전방면 = [[방화역|방화]] 방면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5}}
|후역 = 537 [[청구역|청구]]
|후방면 =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마천역|마천]]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5}}
}}
{{인접정차역/닫기}}

== 같이 보기 ==
* [[동대문운동장]]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 [[대한민국]]에서 가장 역명이 긴 역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http://www.seoulmetro.co.kr/kr/cyberStation.do?menuIdx=538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분류:서울 중구의 전철역]]
[[분류:긴 낱말]]
[[분류:1983년 개업한 철도역]]
[[분류:1985년 개업한 철도역]]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
[[분류:수도권 전철 철도역]]

2024년 5월 25일 (토) 11:22 판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201 편성 2005년 운행 중
202 편성 운행 중
203 편성 운행 중
204 편성 운행 중
205 편성 운행 중
206 편성 2017년 운행 중
207 편성 운행 중
208 편성 운행 중
209 편성 운행 중
210 편성 운행 중
211 편성 2018년 운행 중
212 편성 운행 중
213 편성 운행 중
214 편성 2019년 운행 중
215 편성 2007년 운행 중
216 편성 운행 중
217 편성 운행 중
218 편성 운행 중
219 편성 운행 중
220 편성 운행 중
221 편성 운행 중
222 편성 운행 중
223 편성 2007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4 편성 운행 중
225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223 편성 2007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7 편성 운행 중
228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29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29~231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230 편성 2008년, 2021년 운행 중
231 편성 2008년, 2022년 운행 중
232 편성 2019년 운행 중
233 편성 운행 중
234 편성 운행 중
235 편성 운행 중
236 편성 운행 중
237 편성 운행 중
238 편성 운행 중
239 편성 2018년 운행 중
240 편성 운행 중
241 편성 운행 중
242 편성 운행 중
245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재 신정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 6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46 편성 2022년 운행 중
247 편성 운행 중
248 편성 운행 중
256 편성 2020년 운행 중 현재 성수지선 성수~신설동 구간 4량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257 편성 2005년 운행 중
258 편성 2007년 운행 중
259 편성 운행 중
260 편성 운행 중
261 편성 2008년 운행 중
262 편성 운행 중
263 편성 운행 중
264 편성 운행 중
265 편성 운행 중
266 편성 운행 중
267 편성 운행 중
268 편성 운행 중
269 편성 운행 중
270 편성 운행 중
267 편성 운행 중
223 편성 2007년, 2022년 운행 중 도입 당시부터 개조된 MELCO 초퍼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이 편입됐고, 2022년에 신조 부수객차로 교체됐다.
273 편성 2019년 운행 중
274 편성 운행 중
275 편성 2020년 운행 중
276 편성 운행 중
277 편성 운행 중
278 편성 운행 중
279 편성 운행 중
280 편성 운행 중
281 편성 운행 중
282 편성 운행 중
283 편성 운행 중
284 편성 운행 중
285 편성 2018년 운행 중
286 편성 운행 중
287 편성 운행 중
288 편성 운행 중
289 편성 운행 중
290 편성 운행 중
291 편성 운행 중
292 편성 운행 중
293 편성 2020년 운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