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안유화: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kfkd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Tkfkd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안유화'''({{zh-cp|c=安玉花|p=Ān Yùhuā|h=안위화|hanja=안옥화}}<ref>{{웹 인용|url=https://www.bok.or.kr/ucms/cmmn/file/fileDown.do?menuNo=600299&atchFileId=ENG_0000000001012526&fileSn=2|제목=한국은행 통화금융연구회 - 토론 발표 《토론: 중국의 거시경제 변수변화가 우리나라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동은 박사 – KIEP)|출판사=한국은행|날짜=2011-06-23|확인날짜=2020-01-27}}</ref><ref>신정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45126606088264&mediaCodeNo=257 <nowiki>[중국경제망]</nowiki> "위안화 국제화는 韓中 모두에게 기회"]. 이데일리. 2014년 5월 12일.</ref>, 1971년 2월 22일 ~ )는 [[중국]] 지린성 옌지시에서 태어난 조선족 출신인 안유화 교수는 옌볜대학 교수로 근무하다 지난 2003년 한국 서울로 건너와 고려대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16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ref>[http://www.yes24.com/24/AuthorFile/Author/166494 안유화]</ref> 대한민국 내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 연구 및 경제개발 정책가로 활동했다.<ref>고진경. [http://www.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9&seq_800=10368648 안유화 "한국의 미래는 세련된 외교에 달려있다"]. tbs. 2019년 12월 6일.</ref>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안유화'''({{zh-cp|c=安玉花|p=Ān Yùhuā|h=안위화|hanja=안옥화}}<ref>{{웹 인용|url=https://www.bok.or.kr/ucms/cmmn/file/fileDown.do?menuNo=600299&atchFileId=ENG_0000000001012526&fileSn=2|제목=한국은행 통화금융연구회 - 토론 발표 《토론: 중국의 거시경제 변수변화가 우리나라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동은 박사 – KIEP)|출판사=한국은행|날짜=2011-06-23|확인날짜=2020-01-27}}</ref><ref>신정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45126606088264&mediaCodeNo=257 <nowiki>[중국경제망]</nowiki> "위안화 국제화는 韓中 모두에게 기회"]. 이데일리. 2014년 5월 12일.</ref>, 1971년 2월 22일 ~ )는 [[중국]] [[지린성]] [[옌지시]]에서 태어난 [[조선족]] 출신인 안유화(안옥화)는 [[옌볜 대학|연변 대학]]에서 근무하다 지난 2003년 한국 서울로 건너와 고려대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16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ref>[http://www.yes24.com/24/AuthorFile/Author/166494 안유화]</ref> 대한민국 내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 연구 및 경제개발 정책가로 활동했다.<ref>고진경. [http://www.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9&seq_800=10368648 안유화 "한국의 미래는 세련된 외교에 달려있다"]. tbs. 2019년 12월 6일.</ref>안유화는 2008년부터 한국자본시장연구원 국제금융실에서 중국담당 연구위원으로 7년간 근무하였다. 한국예탁결제연구원에서 3년간 객원연구원, 담당하였으며, 한국 외교부와 대통령 직속 지식재산위원회 활용분과 전문위원으로 6년간 활동하였다. 법무법인 율촌 중국팀에서 고문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중 경제와 금융협력을 위해 정부와 국가연구기관 및 기업의 자문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http://keaf.org/book/EAF_Policy_Debate_US-China_Competition_and_the_Future_of_South_Koreas_Semiconductor_Industry_kr?fbclid=IwAR27Ota8TC8QKvk-kskz5vpsu4mwa66LRvdSa4dPjbTbqn96zMChJ4gUZhU -->.


== 학력 ==
== 학력 ==
* 1989년 ~ 1993년: 중국 길림화공대학교 화학공정 공학 학사
* 1989년 ~ 1993년: 중국 길림화공대학교 화학공정 공학 학사
*1998년 ~ 2001년 : [[옌볜 대학]] 대학원 법학 석사
*1998년 ~ 2001년 : [[옌볜 대학]] 대학원 법학 석사
* 2003년 ~ 2013년 :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
* 2003년 ~ 2013년 :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
12번째 줄: 11번째 줄:
* 2015년 6월 ~ 2017년 2월 : [[한국예탁결제원]] 연구개발부 객원연구원
* 2015년 6월 ~ 2017년 2월 : [[한국예탁결제원]] 연구개발부 객원연구원
* 2015년 7월 ~ 2019년 8월: [[대한민국 외교부|외교부]] 경제분과 정책자문위원
* 2015년 7월 ~ 2019년 8월: [[대한민국 외교부|외교부]] 경제분과 정책자문위원
*2018년 3월 ~ : 외교부 재외동포분과 정책자문위원
*2018년 3월 ~ : 외교부 재외동포분과 정책자문위원
* 2016년 1월 ~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전문위원
* 2016년 1월 ~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전문위원
* 2016년 3월 ~ :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대우전임교수
* 2016년 3월 ~ :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대우전임교수
*2016년 4월 ~ : 상장회사 넥스트아이 이사, 2019년 3월부터 감사
*2016년 4월 ~ : 상장회사 넥스트아이 이사, 2019년 3월부터 감사


== 저서 ==
== 저서 ==
32번째 줄: 31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gsc.skku.edu/gsc_ko/fnr/faculty_profiles.do 성균관대학 중국대학원] {{웨이백|url=http://gsc.skku.edu/gsc_ko/fnr/faculty_profiles.do |date=20200126224845 }}
* [http://gsc.skku.edu/gsc_ko/fnr/faculty_profiles.do 성균관대학 중국대학원]
* [https://twitter.com/danchina 트위터]
* [https://twitter.com/danchina 트위터]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ws&query=%EC%95%88%EC%9C%A0%ED%99%94+%EC%B9%BC%EB%9F%BC&oquery=%EC%95%88%EC%9C%A0%ED%99%94&tqi=UAGTAlp0YiRssfkcgnZssssssXR-219606 안유화 칼럼]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ws&query=%EC%95%88%EC%9C%A0%ED%99%94+%EC%B9%BC%EB%9F%BC&oquery=%EC%95%88%EC%9C%A0%ED%99%94&tqi=UAGTAlp0YiRssfkcgnZssssssXR-219606 안유화 칼럼]


[[분류:1971년 출생]]
[[분류:1971년 태어남]]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중국의 대학 교수]]
[[분류:중국의 대학 교수]]
[[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
[[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
[[분류:옌지시 출신]]
[[분류:한국계 중국인]]
[[분류:옌볜 대학 동문]]
[[분류:옌볜 대학 동문]]
[[분류:고려대학교 동문]]
[[분류:고려대학교 동문]]

2022년 8월 28일 (일) 03:06 판

안유화(중국어: 安玉花, 병음: Ān Yùhuā 안위화[*], 한자음: 안옥화[1][2], 1971년 2월 22일 ~ )는 중국 지린성 옌지시에서 태어난 조선족 출신인 안유화 교수는 옌볜대학 교수로 근무하다 지난 2003년 한국 서울로 건너와 고려대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16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3] 대한민국 내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 연구 및 경제개발 정책가로 활동했다.[4]

학력

  • 1989년 ~ 1993년: 중국 길림화공대학교 화학공정 공학 학사
  • 1998년 ~ 2001년 : 옌볜 대학 대학원 법학 석사
  • 2003년 ~ 2013년 :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

경력

  • 1993년 7월 ~ 2003년 8월 : 중국 옌볜 대학 교수
  • 2008년 7월 ~ 2015년 6월 : 자본시장연구원 국제금융실 중국담당 연구위원
  • 2015년 6월 ~ 2017년 2월 : 한국예탁결제원 연구개발부 객원연구원
  • 2015년 7월 ~ 2019년 8월: 외교부 경제분과 정책자문위원
  • 2018년 3월 ~ : 외교부 재외동포분과 정책자문위원
  • 2016년 1월 ~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전문위원
  • 2016년 3월 ~ :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대우전임교수
  • 2016년 4월 ~ : 상장회사 넥스트아이 이사, 2019년 3월부터 감사

저서

  • 《위안화의 역외 사용 확대와 한국의 대응》. 자본시장연구원. 2012년. ISBN 9788960890749

공저

  • 《중국발 금융위기, 어떻게 볼 것인가》. 한스미디어. 2015년. ISBN 9788959759002
  • 《문명충돌과 미중무역전쟁》. 한국학술정보. 2019년. ISBN 9788926897027

감수

  • 《돈은 잠들지 않는다》. 쌤앤파커스. 2018년. ISBN 9788965706076
  • 중국발 세계경제 위기가 시작됐다 다가올 경제 위기를 현명하게 극복하는 법, 센시오, 2020년 ISBN 9791190356251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