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유화
안유화(중국어: 安玉花, 병음: Ān Yùhuā 안위화[*], 한자음: 안옥화[1][2], 1971년 2월 22일 ~ )는 중국 지린 (吉林)성 옌지 (延吉)시 출생한 조선족 출신인 안유화는 고려대학교 지난 2003년 한국 서울로 건너와 고려대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16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3] 대한민국 내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 연구 및 경제개발 정책가로 활동했다.[4]
학력[편집]
- 1989년 ~ 1993년: 중국 길림화공대학교 화학공정 공학 학사
- 1998년 ~ 2001년 : 옌볜 호리대 (옌볜 대학 편입)석사
- 2003년 ~ 2013년 :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
경력[편집]
- 1993년 7월 ~ 2003년 8월 : 중국 옌볜 대학 교수
- 2008년 7월 ~ 2015년 6월 : 자본시장연구원 국제금융실 중국담당 연구위원
- 2015년 6월 ~ 2017년 2월 : 한국예탁결제원 연구개발부 객원연구원
- 2015년 7월 ~ 2019년 8월: 외교부 경제분과 정책자문위원
- 2018년 3월 ~ : 외교부 재외동포분과 정책자문위원
- 2016년 1월 ~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전문위원
- 2016년 3월 ~ :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대우전임교수
- 2016년 4월 ~ : 상장회사 넥스트아이 이사, 2019년 3월부터 감사
저서[편집]
- 《위안화의 역외 사용 확대와 한국의 대응》. 자본시장연구원. 2012년. ISBN 9788960890749
공저[편집]
- 《중국발 금융위기, 어떻게 볼 것인가》. 한스미디어. 2015년. ISBN 9788959759002
- 《문명충돌과 미중무역전쟁》. 한국학술정보. 2019년. ISBN 9788926897027
감수[편집]
- 《돈은 잠들지 않는다》. 쌤앤파커스. 2018년. ISBN 9788965706076
- 중국발 세계경제 위기가 시작됐다 다가올 경제 위기를 현명하게 극복하는 법, 센시오, 2020년 ISBN 9791190356251
각주[편집]
- ↑ “한국은행 통화금융연구회 - 토론 발표 《토론: 중국의 거시경제 변수변화가 우리나라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동은 박사 – KIEP)”. 한국은행. 2011년 6월 23일. 2020년 1월 27일에 확인함.
- ↑ 신정은. [중국경제망] "위안화 국제화는 韓中 모두에게 기회". 이데일리. 2014년 5월 12일.
- ↑ 안유화
- ↑ 고진경. 안유화 "한국의 미래는 세련된 외교에 달려있다". tbs. 2019년 12월 6일.
외부 링크[편집]
- 성균관대학 중국대학원 Archived 2020년 1월 26일 - 웨이백 머신
- 트위터
- 안유화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