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최봉 (배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메이 (토론 | 기여)
公開書翰 (토론 | 기여)
한국식 한자 링크 필요!!!!!!!!!!!!!
15번째 줄: 15번째 줄:
}}
}}


'''최봉'''(崔峰, [[1923년]] [[5월 25일]] ~ [[1990년]] [[9월 1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최용구'''(崔榕丘)이다.
'''최봉'''({{한자|崔峰}}, [[1923년]] [[5월 25일]] ~ [[1990년]] [[9월 1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최용구'''({{한자|崔榕丘}})이다.


== 주요 이력 ==
== 주요 이력 ==

2020년 8월 1일 (토) 21:30 판

최봉
본명최용구
출생1923년 5월 25일(1923-05-25)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사망1990년 9월 1일(1990-09-01)(67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배우
활동 기간1939년 ~ 1989년
학력펑톈 제2중학교 중퇴
배우자이정례
자녀4남 2녀
수상1969년 제12회 부일영화상 남우조연상
1985년 MBC 방송연기대상 특별상
웹사이트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최봉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KMDB 데이터베이스

최봉(한국 한자: 崔峰, 1923년 5월 25일 ~ 1990년 9월 1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최용구(한국 한자: 崔榕丘)이다.

주요 이력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일제 강점기 조선 황해도 해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36년 14세 때 만주국 랴오닝 성 펑톈으로 유학을 하였으나 결국 그곳에서 중학교를 중퇴 후 1938년 16세 때 만주국 랴오닝 성 펑톈에서 복싱 수업을 학습하다가 연극 분야에 매료되어 1년여만에 복싱을 그만두고 1939년 17세 때 만주국 지린 성 지린에서 악극단 "연극호" 단원으로 입단하여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다. 1945년 1월 3일,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잠시 귀국하여 연극 공연을 한 후 1945년 2월 1일을 기하여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를 떠나 만주국 지린 성 지린 전역으로 다시 건너갔으며 같은 해 1945년 8월 15일 조선 광복이 도래한지 1개월이 지난 1945년 9월 6일을 기하여 조선국 자국에 영구 귀국한 이후에는 자국인 대한민국에서 연극배우 활동하였고 그 후 1956년 영화 《격퇴》의 주연으로 영화배우 데뷔하였다. 그 후 영화 150여편에 주조연 및 단역을 가리지 않으며 출연하였다. 그 이외에도 수수편의 TV 드라마 출연도 하였다.

김승호, 이예춘, 장동휘, 김진규, 허장강, 박노식 등과 함께 당대 성격파 영화배우로 일컬어지는 연기자였다.

출연작

영화

  • 1956년 《격퇴》
  • 1968년 《카인의 후예》
  • 1969년 《독짓는 늙은이》
  • 1969년 《나도 인간이 되련다》

TV 드라마

  • 1965년 형사수첩 - 백사장 살인사건 (TBC)
  • 1967년 수양대군 (KBS)
  • 1969년 지령3호 (TBC)
  • 1980년 전원일기 (MBC)
  • 1981년 TV 문학관 (KBS)
  • 1983년 아버지와 아들 (MBC)
  • 1985년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MBC)
  • 1986년 풀잎마다 이슬 (MBC)
  • 1986년 베스트 셀러 극장 - 풍향계 (MBC)
  • 1987년 함 사세요 (KBS)
  • 1987년 욕망의 문 (MBC)
  • 1988년 사랑의 기쁨 (KBS)

학력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