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계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앱
잔글 봇 : 과거 (조선)를 가리키는 링크를 조선의 과거 제도를 가리키도록 변경
2번째 줄: 2번째 줄:
'''홍계희'''(洪啓禧, [[1703년]]~[[177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 본관은 [[남양 홍씨|남양]]. 자는 순보. 호는 담와. 참판 우전의 아들이다.
'''홍계희'''(洪啓禧, [[1703년]]~[[177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 본관은 [[남양 홍씨|남양]]. 자는 순보. 호는 담와. 참판 우전의 아들이다.


[[1737년]] [[과거 (조선)|별시]](別試) 갑과(甲科)에 급제하여 지방관을 지낸 후 중앙으로 올라와 [[공조참의]]가 되었다. [[1748년]] [[도쿠가와 이에시게]]의 쇼군 취임을 축하하는 [[조선 통신사|통신사]]로 차정되어 일본에 다녀왔으며 이후 조정의 주요 관직을 두루 거쳤다.
[[1737년]] [[조선의 과거 제도|별시]](別試) 갑과(甲科)에 급제하여 지방관을 지낸 후 중앙으로 올라와 [[공조참의]]가 되었다. [[1748년]] [[도쿠가와 이에시게]]의 쇼군 취임을 축하하는 [[조선 통신사|통신사]]로 차정되어 일본에 다녀왔으며 이후 조정의 주요 관직을 두루 거쳤다.


1762년에는 그가 속한 [[노론]]의 주도하에 [[조선 장조|사도세자]]의 난행을 과장하여 [[조선 영조|영조]]에게 보고한 결과 세자를 쌀 뒤주 속에서 죽음으로 몰고 갔다. 이것이 [[임오화변]]이다. [[1777년]] 그의 아들들이 역모 사건으로 처형됨으로써 그도 관작이 추탈되었다.
1762년에는 그가 속한 [[노론]]의 주도하에 [[조선 장조|사도세자]]의 난행을 과장하여 [[조선 영조|영조]]에게 보고한 결과 세자를 쌀 뒤주 속에서 죽음으로 몰고 갔다. 이것이 [[임오화변]]이다. [[1777년]] 그의 아들들이 역모 사건으로 처형됨으로써 그도 관작이 추탈되었다.

2016년 8월 30일 (화) 18:28 판

《조선인래조기(朝鮮人來朝記)》. 1748년 통신사가 파견되었을 당시 일본에서 기록한 책이다. “조선국왕 이금(영조) 朝鮮國王 李衿, 정사 홍계희(洪啓禧), 부사 남태기(南泰耆), 종사 조명채(曺命采)”의 이름이 보인다. 또한 부산에서 대마도를 거쳐 에도江戶에 이르는 통신사 노정을 보여주는 「사로승구도」를 그린 화원 이성린(李聖麟)의 이름도 찾아볼 수 있다.

홍계희(洪啓禧, 1703년~177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 본관은 남양. 자는 순보. 호는 담와. 참판 우전의 아들이다.

1737년 별시(別試) 갑과(甲科)에 급제하여 지방관을 지낸 후 중앙으로 올라와 공조참의가 되었다. 1748년 도쿠가와 이에시게의 쇼군 취임을 축하하는 통신사로 차정되어 일본에 다녀왔으며 이후 조정의 주요 관직을 두루 거쳤다.

1762년에는 그가 속한 노론의 주도하에 사도세자의 난행을 과장하여 영조에게 보고한 결과 세자를 쌀 뒤주 속에서 죽음으로 몰고 갔다. 이것이 임오화변이다. 1777년 그의 아들들이 역모 사건으로 처형됨으로써 그도 관작이 추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