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왕: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왕 정보
|이름=백제 고이왕<br> 百濟 古尒王
|그림=
|그림 크기 =
|본명=부여고이(扶餘古尒)
|재위=[[234년]] ~ [[286년]]
|부왕=[[개루왕]]
|모후=
|왕후=
|종교=
|이전 왕=[[사반왕]]
|다음 왕=[[책계왕]]
|목록=[[백제의 역대 국왕|백제의 8대 국왕]]
}}
'''고이왕'''(古尒王, ? ~ [[286년]], <small>재위:</small> [[234년]] ~ [[286년]])은 백제의 제8대 [[군주|국왕]]이다. 구이왕(久爾王)·고모왕(古慕王)이라고도 한다. 성은 부여(扶餘) [[일본]]의 사서 《[[신찬성씨록]]》, 《[[일본서기]]》등 에는 '''구이'''(久爾) 또는 '''구이'''(仇爾), '''고모'''(古慕) 등의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다. 고이왕은 즉위 후 국가체제의 정비와 왕권 강화에 주력하여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은 인물이었다. 백제의 실질적인 건국자로 보는데, 집권력의 강화를 위하여 좌장(左將)을 설치하여 내외 병마권을 관장하게 함으로써 족장들의 독자적인 군사력을 약화시켰다. [[초고왕]], [[구수왕]]과의 가족관계 여부 연대차이로 이견이 존재한다.

== 생애 ==
고이왕의 가계는 불확실한데 고이왕은 보통 《[[삼국사기]]》의 기록을 취해 [[개루왕]]의 아들로 보나, 《[[삼국사기]]》의 다른 기록 및 《[[삼국유사]]》에는 [[초고왕]]의 모제(외삼촌)이라 되어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초고왕]] 사후 20년 뒤에 즉위하여 그때로부터 다시 50년을 재위하였으므로 [[초고왕]]의 동생인가 여부에 이견이 존재한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백제 구수왕|구수왕]]이 죽은 뒤 [[구수왕]]의 장자인 [[사반왕]]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어려서 정사를 감당하지 못하자, 사반왕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온조왕]]의 형 [[비류]]의 후손이라는 설과, [[초고왕]]의 차남의 아들 혹은 손자라는 설이 있다.

그는 재위 기간 중 괴곡(槐谷: [[충청북도]] 괴산군)·[[봉산]](烽山: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을 중심으로 자주 [[신라]]와 충돌했다. 내정면에서는 여러 가지 정치 제도와 복식 제도를 제정했으며, 그것은 고이왕이 죽은 뒤에도 지속되어 그 뒤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4백 년간이나 이어져 백제의 기본 제도로 유지되었다.

재위 27년([[260년]]) 봄 정월, 기존의 좌우보 체제를 개혁하여 여섯 개의 좌평(佐平)을 두고, 그들에게 왕명 출납과 창고 관리, 의례 제정, [[형벌]] 제도, [[군사]] 업무를 각각 분담시켜 맡아보게 했다. (자세한 것은 [[좌평]](佐平) 참조.)
또한 16품의 관등 체계를 정비했으며, 관직의 위계에 따라 자주색[紫色], 다홍색[緋色], 푸른색[靑色] 옷을 입게 하는 등 품계에 따른 왕과 귀족의 공복에 관한 제도도 정했다. 이러한 지배체제의 정비를 통해 왕권의 강화를 이루어냈고, 그 성장한 힘을 바탕으로 대외 팽창을 시도하여,

고이왕은 낙랑과 [[신라]] 그리고 말갈과 [[군사]]적으로 충돌하며 세력을 키워 갔다. 또한 남옥저의 일부를 점령하고, 중국 대륙의 서진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강원도]] 북부에 자리잡은 말갈(동예라고 불리는)족이 자주 침범해 왔는데, 고이왕대에는 말갈과도 우호관계가 조성되었다. 한사군의 후신인 낙랑, 대방과도 혼인을 통한 동맹관계를 형성했다.

재위 13년([[246년]]) [[위 (삼국)|위나라]]가 낙랑군(樂浪軍)과 삭방(朔方)과 합공해 [[고구려]]와 전쟁을 벌이는 틈을 타서 낙랑군의 변방을 공격하기도 했다. 또한, [[한나라]]와 낙랑군, 대방군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을 때 [[대방군]]을 선제공격하여 대방태수 궁준을 전사하게 한 사건의 배후에도 고이왕이 이끄는 [[백제]]의 힘이 작용하였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관리로서 재물을 받은 자와 남의 것을 도둑질한 자에게는 3배를 징출(徵出)케 하는 동시에 종신 금고(禁錮)에 처한다는 법령을 내려 기강을 바로잡았고, [[신라]]의 국경을 침범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 평가 ==
한강 유역의 여러 부족 사회를 보다 큰 연맹체로 결속하는 데 중심 역할을 담당하여 백제를 고대 왕국으로 성장케 하였다.

== 가계 ==
고이왕의 이름은, 먼저 《주서(周書)》 및 《수서(隋書)》의 백제전에 백제의 시조라 기록된 '[[구태]](仇台)'라는 이름을 ‘구이’로 읽어 이것은 ‘고이’와 음운상으로 통한다고 보아 ‘구이=고이’로 해석함으로써 고이왕을 백제 고대국가의 실질적 건국자로 보는 견해가 있다([[이병도]]). 반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고이왕을 “초고왕모제(肖古王母弟)”라고 한 것을 ‘초고왕 어머니의 동생’으로 해석하여<ref>김성호, 김상한 저, 《한중일 국가기원과 그 역사》 맑은소리, 2008, p.155, ISBN 9788980502219</ref>, 고이왕은 온조왕계와는 계보를 달리하는 우태(優台) - 비류계(沸流系) 출신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ref> 천관우(千寬宇)는 백제왕계를 "우태(優台)-비류(沸流)-고이계(古爾系)"와 "주몽(朱蒙)-온조(溫祚)-초고계(肖古系)"로 보았다. </ref>

고이왕은 [[대방군]]의 왕녀를 부인으로 맞아들여 중국 군현과의 관계를 긴밀히 유지 하였다.

== 가계 ==
* 부왕 또는 선조 : [[개루왕]](蓋婁王)
* 모후 : 이름 미상
** 형 : [[초고왕]](肖古王), 이설 있음<ref>고이왕과의 나이 차이 때문에 동생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다.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증보판)》웅진닷컴, 2004, p.95</ref>
** 왕비 : 공손씨, 요동군 태수 또는 대방군 태수 공손도(公孫度)의 딸
*** 아들 : [[책계왕]](責稽王)

== 참고 ==
* [[고구려]]
** [[고구려 동천왕|동천왕]] ([[227년]] - [[248년]])
** [[고구려 중천왕|중천왕]] ([[248년]] - [[270년]])
** [[고구려 서천왕|서천왕]] ([[270년]] - [[292년]])
* [[신라]]
** [[조분 이사금]] ([[230년]] - [[247년]])
** [[첨해 이사금]] ([[247년]] - [[261년]])
** [[미추 이사금]] ([[261년]] - [[284년]])
** [[유례 이사금]] ([[284년]] - [[298년]])
* [[가야]]
** [[거등왕]] ([[199년]]~[[253년]])
** [[마품왕]] ([[253년]]~[[291년]])
* [[왜]]
** [[진구황후]] ([[200년]]~[[270년]])
**[[오진 천황]] ([[270년]]~[[310년]])
* [[위]]
** [[조예|위 열조 명제]] ([[226년]]~[[239년]])
** [[조방]] ([[239년]]~[[254년]])
** [[조모]] ([[254년]]~[[260년]])
** [[조환|위 원제]] ([[260년]]~[[265년]])
* [[촉한]]
** [[유선|촉한 유주]] ([[223년]]~[[264년]])
* [[동오]]
** [[손권|오 태조 대제]] ([[229년]]~[[252년]])
** [[손량|오 폐제]] ([[252년]]~[[258년]])
** [[손휴|오 경제]] ([[258년]]~[[264년]])
** [[손호|오 말제]] ([[264년]]~[[280년]])
* [[서진]]
** [[사마염|진 세조 무제]] ([[265년]]~[[290년]])

== 연관항목 ==
* [[초고왕]]
* [[구수왕]]
* [[목지국]]
* [[위구태]](尉仇台)

== 각주 ==
<references/>
<references/>



2016년 8월 9일 (화) 18:03 판


전 대
사반왕
제8대 백제 국왕
234년 - 286년
후 대
책계왕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