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혈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adopaul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4월 25일 (토) 11:56 판 (새 문서: {{for|혈액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패혈증}} {{Infobox medical condition (new)|name=균혈증|speciality=감염병}} '''균혈증'''(菌血症, bacteremia, bacteraemia)...)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균혈증
진료과감염병

균혈증(菌血症, bacteremia, bacteraemia)은 혈액세균이 존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혈액은 무균상태이기 때문에, 혈액 배양 검사등을 통해 세균이 검진되는 경우 질병으로 분류한다.[1][2] 패혈증은 혈액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이므로 균혈증과는 다르다.[3]

세균은 폐렴이나 수막염 등의 감염 합병증이나, 외과수술중 위장관 등의 점막을 통해 혈관으로 침투한다. 카테터 등의 이물질동맥, 정맥 등에 삽입될 때 같이 들어오기도 한다.[4] 치과 시술이나 이를 닦는 도중에 일시적으로 들어올 수도 있다.[5]

몇 가지 중요한 질병을 야기할 수도 있다. 균혈증에 대한 면역 반응은 패혈증패혈성 쇼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6] 또한 혈액성 확산을 통해 몸의 다른 부위로 퍼질 수 있어, 심장내막염이나 골수염 등 원 감염 부위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도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7] 항생제를 통해 치료할 수 있어 고위험군의 경우 항생제 치료를 수행한다.[8]

증상

혈액의 세균감염은 대부분 일시적이며 면역계에 의해 빠르게 제거된다.[5] 발열, 오한, 저혈압 등의 증상으로 대표되는 패혈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9] 심각한 면역 반응은 패혈성 쇼크와 다발성 장기 부전을 초래하는 등 치명적일 수 있다.[9]

원인

세균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혈액에 침투할 수 있다. 그람 음성, 그람 양성, 혐기성 등 각 세균의 분류에 따라 혈류로 침투하는 경로에 차이가 있어 이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감염 장소에 따라 원내감염과 사회내 감염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그람 양성 균혈증

그람 양성균이 주류 균혈증을 일으킨다.[10] 특히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장내구균이 균혈증의 주 원인이 된다. 보통 피부나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황색포도상구균은 북미와 남미에서 원내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종인데, 사회내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1] 피부 궤양이나 상처, 호흡기 감염, 그리고 IV 약물이 사회내 그람 양성균 감염의 주 원인이 된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정맥 카테터, 요로 카테터 등의 외과 수술로 인한 원내감염의 주 원인이다.[12]균혈증을 일으키는 연쇄상구균은 다양하다. 연쇄상구균 A군(GAS)은 피부 및 유조직을 통해 균혈증을 일으킨다.[13] 연쇄상구균 B군(GBS)는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균혈증의 주 원인이 된다.[14] 녹색연쇄상구균 종들은 입에 주로 감염되어 식사, 칫솔질, 치실질을 통해 감염할 수 있다.[14] 치과 시술이나 화학 치료를 통해 심각한 균혈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결장암환자의 경우 streptococcus bovis가 주 원인이 된다.[15]

장내구균 역시 원내감염으로 인한 균혈증의 주 원인이다. 이 균류는 일반적으로 위장관이나 여성의 생식기에 서식한다. 정맥 카테터, 요로감염, 외과적 상처 등은 모두 장내구균성 균혈증의 원인이 된다.[16]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은 장기 입원 환자나 항생제 사용이 빈번한 환자에게 균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17]

각주

  1. Ochei; 외. 〈Pus Abscess and Wound Drain〉. 《Medical Laboratory Science : Theory And Practice》. Tata McGraw-Hill Education, 2000. 622쪽. 
  2. Doern, Gary (2016년 9월 13일). “Blood Cultures for the Detection of Bacteremia”. 《uptodate.com》. uptodate.com. 2016년 12월 1일에 확인함. 
  3. Fan, Shu-Ling; Miller, Nancy S.; Lee, John; Remick, Daniel G. (2016년 9월 1일). “Diagnosing sepsis - The role of laboratory medicine”. 《Clinica Chimica Act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Chemistry》 460: 203–210. doi:10.1016/j.cca.2016.07.002. ISSN 1873-3492. PMC 4980259. PMID 27387712. 
  4. Sligl, Wendy; Taylor, Geoffrey; Brindley, Peter G. (2006년 7월 1일). “Five years of nosocomial Gram-negative bacteremia in a general intensive care unit: epidemiology,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and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0 (4): 320–325. doi:10.1016/j.ijid.2005.07.003. ISSN 1201-9712. PMID 16460982. 
  5. Perez-Chaparro, P. J.; Meuric, V.; De Mello, G.; Bonnaure-Mallet, M. (2011년 11월 1일). “[Bacteremia of oral origin]”. 《Revue de Stomatologie et de Chirurgie Maxillo-Faciale》 112 (5): 300–303. doi:10.1016/j.stomax.2011.08.012. ISSN 1776-257X. PMID 21940028. 
  6. Singer, Mervyn; Deutschman, Clifford S.; Seymour, Christopher Warren; Shankar-Hari, Manu; Annane, Djillali; Bauer, Michael; Bellomo, Rinaldo; Bernard, Gordon R.; Chiche, Jean-Daniel (2016년 2월 23일). “The Third International Consensus Definitions for Sepsis and Septic Shock (Sepsis-3)”. 《JAMA》 315 (8): 801–810. doi:10.1001/jama.2016.0287. ISSN 1538-3598. PMC 4968574. PMID 26903338. 
  7. Zeman, Florian; Koller, Michael; Schecklmann, Martin; Langguth, Berthold; Landgrebe, Michael (2012년 10월 18일). “Tinnitus assessment by means of standardized self-report questionnaire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innitus Questionnaire (TQ), the Tinnitus Handicap Inventory (THI), and their short versions in an international and multi-lingual sampl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0: 128. doi:10.1186/1477-7525-10-128. ISSN 1477-7525. PMC 3541124. PMID 23078754. 
  8. Yang, Lu; Tang, Zhuang; Gao, Liang; Li, Tao; Chen, Yongji; Liu, Liangren; Han, Ping; Li, Xiang; Dong, Qiang (2016년 8월 1일). “The augmented prophylactic antibiotic could be more efficacious in patients undergoing transrectal prostate biops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Urology and Nephrology》 48 (8): 1197–1207. doi:10.1007/s11255-016-1299-7. ISSN 1573-2584. PMID 27160220. 
  9. Scott, Michael C. (2017년 2월 1일). “Defining and Diagnosing Sepsis”.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35 (1): 1–9. doi:10.1016/j.emc.2016.08.002. ISSN 1558-0539. PMID 27908326. 
  10. Cervera, Carlos; Almela, Manel; Martínez-Martínez, José A.; Moreno, Asunción; Miró, José M. (2009년 1월 1일). “Risk factors and management of Gram-positive bacteraemia”.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34 Suppl 4: S26–30. doi:10.1016/S0924-8579(09)70562-X. ISSN 1872-7913. PMID 19931813. 
  11. Biedenbach, Douglas J.; Moet, Gary J.; Jones, Ronald N. (2004년 9월 1일). “Occurr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comparisons among bloodstream infection isolates from the SENTRY Antimicrobial Surveillance Program (1997-2002)”. 《Diagnostic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 50 (1): 59–69. doi:10.1016/j.diagmicrobio.2004.05.003. ISSN 0732-8893. PMID 15380279. 
  12. Lowy, Franklin D. (1998년 8월 20일).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9 (8): 520–532. doi:10.1056/NEJM199808203390806. ISSN 0028-4793. PMID 9709046. 
  13. Schwartz, Brian (2016). 《Current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2017》. New York: McGraw Hill. Chapter 33쪽. ISBN 978-1-25-958511-1. 
  14. Cohen-Poradosu, Ronit (201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th Edition》. New York: McGraw Hill. Chapter 201쪽. ISBN 978-0-07-180215-4. 
  15. Mayer, Robert (201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th Edition》. New York: McGraw Hill. Chapter 110쪽. ISBN 978-0-07-180215-4. 
  16. Arias, Cesar (201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th Edition》. New York: McGraw Hill. Chapter 174쪽. ISBN 978-0-07-180215-4. 
  17. Kasper, Dennis (2015). 《Harrison's Manual of Medicine》. New York: McGraw Hill. Chapter 87쪽. ISBN 978-0-07-182852-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