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돔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퉁돔과
Lutjanus gibbus
Lutjanus gibbu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기어강
상목: 극기상목
(미분류): 에우페르카리아류
목: incertae sedis
또는 농어목
과: 퉁돔과
(Lutjanidae)
T. N. Gill, 1861
  • 본문 참조

퉁돔과(Lutjanidae)는 에우페르카리아류에 속하는 조기어류과의 하나이다.[1] 농어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주로 바다에서 발견되지만 일부 종은 강 어귀에서 서식하거나 민물에서 먹이를 구한다. 일부는 상업적으로도 중요하며,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종 중의 하나는 적색퉁돔(Lutjanus campechanus)이다. 꼬리돔, 양초꼬리돔, 궁상퉁돔, 붉은돔, 동갈퉁돔, 점퉁돔, 황적퉁돔, 무늬퉁돔, 물퉁돔, 조니퉁돔, 진홍퉁돔, 불검퉁돔, 육선점퉁돔, 도리퉁돔, 꼬리큰점퉁돔, 자붉돔, 노랑띠자붉돔, 황둥어, 뭉툭입퉁돔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위 분류[편집]

  • 압실루스아과 (Apsilinae)
    • Apsilus
    • Lipocheilus
    • Paracaesio
    • Parapristipomoides
  • 꼬리돔아과 (Etelinae)
    • Aphareus
    • Aprion
    • Etelis
    • Pristipomoides
    • Randallichthys
  • 통돔아과 (Lutjaninae)
    • Hoplopagrus
    • Lutjanus
    • Macolor
    • Ocyurus
    • Pinjalo
    • Rhomboplites
  • 파라디키크티스아과 (Paradichthyinae)
    • Symphorichthys
    • Symphorus
  • 세줄가는돔아과 또는 카에시오아과 (Caesioninae)
    • Caesio
    • Dipterygonotus
    • Gymnocaesio
    • 세줄가는돔속 (Pterocaesio)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7년 베탕쿠르(Betancur-R) 등[2]과 2018년 휴스(Hughes)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3]

베탕쿠르(Betancur-R) et al., 2017 휴스(Hughes) et al., 2018
에우페르카리아류

게레치과

통구멍목

켄트로게니스과

놀래기과

검정우럭목

주걱치목

페르카목

보리멸과

모로네과

활치목

나비고기목

민어과

모노닥틸루스과

양쥐돔목

선홍치과

청줄돔과

통돔목

노랑벤자리과

옥돔과

백미돔목

도미목

독가시치과

납작돔과

뿔돔목

병치돔과

아귀목

복어목

에우페르카리아류

페르카목

주걱치목

게레치목

통구멍목

놀래기목

검정우럭목

모로네과

활치목

백미돔목

퉁돔과

하스돔과

민어과

양쥐돔목

청줄돔과

나비고기목

독가시치과

도미목

병치돔목

통돔목

아귀목

복어목

각주[편집]

  1. (영어) "Lutjanidae". FishBase. Ed. Rainer Froese and Daniel Pauly. 2015년 3월 version. N.p.: FishBase, 2015년.
  2. Betancur-R (2017).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3. Hughes, L.C., Ortí, G., Huang, Y., Sun, Y., Baldwin, C.C., Thompson, A.W., Arcila, D., Betancur-R., D., Li, C., Becker, L., Bellora, N., Zhao, X., Li, X., Wang, M., Fang, C., Xie, B., Zhou, Z., Huang, H., Chen, S., Venkatesh, B. & Shi, Q. (2018): Comprehensive phylogeny of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based on transcriptomic and genomic dat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5 (24) 6249-6254. doi: 10.1073/pnas.1719358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