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1996년 고성 산불
새 주제보이기
마지막 의견: 2개월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9월)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 |||||||||||||||||||
---|---|---|---|---|---|---|---|---|---|---|---|---|---|---|---|---|---|---|---|
|
이 문서는 좋은 글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문서는 위키백과에서 지정한,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문서입니다. 해당 토론을 확인해주세요. 만약 이 문서가 좋은 글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되면 재검토를 시작해 주세요. | |||
|
사건 이후 뉴스
[편집]- 최성훈; 차세현 (1997년 4월 4일). “「高城산불」 1년 "高聲논란"”. 《경향신문》. 27면.
- 산림청은 주민들의 송이 채취를 앞당기기 위해 조림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촉박한 조림 일정으로 인해 묘목을 구하기 어렵게 되자 온실에서 속성 재배한 나무를 공급하기로 하였고, 이로 인해 여러 임학자들로부터 비판이 나오고 있다.
- 배주선 (1997년 8월 15일). “고성 산불피해 배상기각 주민 반발”. 《경향신문》. 21면.
- 제8군단지구 배상심의위원회는 발화자가 사격장 시설 공사를 한 민간인이기 때문에 국가배상법을 적용할 수 없어 배상 기각 판정을 내렸다.
- 서정보 (1998년 12월 4일). “고성 산불 피해 주민 84억 배상”. 《동아일보》. 22면.
- 김정수 (2005년 4월 12일). “산불참화 10년째 고성에 가보니”. 《한겨레》.
- 100헥타르 규모의 산림청 영구 조사지에서는 10년간 자연 회복 실험이 진행중이다. 조사에 따르면 인공 조림지에 비해 자연 복원지에 위치한 식물의 무게 및 밀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직 토양이 척박한 곳이 많으며 식생도 빈약해 일반적인 숲의 모습을 되찾기 위해서는 10년의 기간이 더 필요해 보인다.
- 정찬욱 (2009년 6월 8일). “산림과학원 "고성산불 피해지 야생조류 늘어났네"”. 《연합뉴스》.
-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야생 조류 16종이 관찰되어 피해를 입지 않은 주변 지역의 20종에 비해 80% 수준을 회복하였다.
- 정익기 (2010년 4월 1일). “고성 산불 피해지 생태계 복원 `멀고 먼 길'”. 《강원일보》. 2면.
- 산불 피해 이후 소나무 조림목의 성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자연복원지에서 자라난 참나무에서 변색 및 동공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성식 (2011년 4월 11일). “고성 산불 10년…"새로운 희망이 움튼다"”. 《강원일보》. 4면.
- 김정수 (2015년 4월 15일). “고성 산불 그후 20년, 조림지와 자연복원지 차이”. 《한겨레》.
- 피해 이후 산림 복구에 2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현재 죽왕면 구성리와 인정리의 두 곳에 각각 30헥타르와 70헥타르의 자연 복원지가 지정되어 있다. 해당 지역은 폐목이 대부분이나, 군데군데 활엽수 및 잡목들이 2~3m 크기로 자라나고 있다. 반대편에는 인공 조림 복원지로 소나무 숲이 울창하게 들어서 있다.
--Namoroka (토론) 2015년 5월 14일 (목) 12:35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9월)
[편집]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1996년 고성 산불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 https://web.archive.org/web/20200926083121/http://ecotopia.hani.co.kr/277094 보존 링크를 http://ecotopia.hani.co.kr/277094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4년 9월 1일 (일) 00:2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