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수리남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통계 자료[편집]

위키백과의 한국어 독자에게 호소합니다.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연도와 출처를 밝혀주시고, 국세조사인지 추정치인지를 명확히 해주시면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백과사전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빈다. 감사합니다. -- 이 의견을 2007년 11월 14일 (수) 19:46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210.102.151.185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되도록, 위키백과에서도 그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피해피 2007년 11월 14일 (수) 22:09 (KST)[답변]

최근의 언론보도에 대해[편집]

동아일보 2008년 03월 25일자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다. 작성자는 공종식 특파원이다.

기사의 제목은 "인구는 47만인데 사용어는 10개...'언어 바벨탑' 수리남"이다.

다음은 문제가 되는 부분이다.

1) [기사]: 인도네시아에서 많은 인구가 유입돼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많다. 인도계 이민자도 전체 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하기 때문에 힌두어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사실]: 수리남[쒸리나머]은 2004년 국세조사를 하면서 제1가정어, 제2가정어를 조사항목에 넣었다. 결과를 보면인도네시아어(즉 인도네시아에서 말하는 말레이어)는 조사항목에도 없고 인도네시아에서도 공용어의 지위를 갖고 있지 못한 자바어(자와어)가 제1가정어로 5.6%만 사용할 뿐이었다. 그리고 힌두어[힌두스탄어]는 제1가정어로 15.8%가 사용한다고 답변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힌두교도들은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하고 이슬람교도들은 아랍문자로 표기하는 등 혼란이 있는데다가 문어로는 기능이 전무하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일은 결코 없다. 광범위하게 사용한다면 같은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과 대화할 때 뿐이다.

2) [기사]: 수리남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말은 스라난통고. 이곳에 처음 정착한 흑인 노예들이 영어를 기초로 만들었다.

[사실]: 수리남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은 제1가정어로 46.6%, 제2가정어로 23.6%가 사용하는 네덜란드어다. 반면 스라난통고는 제1가정어로 9.0%, 제2가정어로 37.0%가 사용할 뿐이다. 물론 스라난통고가 문어로서는 전혀 기능을 못하고 있는 것은 자와어, 힌두스탄어와 마찬가지다.

3) [기사]: 게다가 옆 나라 브라질에서 유입된 포르투갈어 사용 인구도 전체 인구의 10%가 넘는 5만 명에 이른다. 한때는 중국 노동력도 대량 유입돼 중국어, 광둥어, 객가(客家)어(중국의 소수 민족이 쓰는 방언)까지 쓰인다.

[사실]: 가장 최근의 2004년 국세조사의 민족(혹은 인종)분포를 보면 인도계 27.4%, 크레올족 17.7%, 흑인 14.7%, 혼합기원 12.5%, 기타 6.5%, 자료없음 6.6%였다.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브라질인이 실제 다수 거주한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이주노동자일 뿐이며 브라질출신이 아닌 사람들과는 포르투갈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만약 이런 상황까지 고려하여 바벨탑이라고 한다면 대한민국은 그것보다 훨씬 높은 바벨탑이 될 것이다.

4) [기사]: 최근에는 영어의 영향력이 확대돼 책방에는 영어로 된 책이 공용어인 네덜란드어로 된 책만큼이나 많다. 영어를 공용어로 해야 한다는 주장도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

[사실]: 뉴욕타임즈는 영어로 발행하는 출판사이고 미국이며 유대인이 주인이라는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즉, 자신들의 입장이라는 것이다.

5) [기사]: 뉴욕타임스는 이처럼 작은 나라의 ‘다중언어 환경’이 결국 국가 통합 및 정체성과 관련해 수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고 전했다.

[사실]: 그리고 한어(중국어), 광동어, 객가어 사용자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은 뜨내기일 뿐이며 수리남의 국가정체성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 브리튼백과사전(이른바 형용사형인 브리따니까를 영어식으로 표기하고 발음하는 한국에서는 브리태니커), 뉴욕타임즈, 타임즈는 평범한 정보원중 하나에 불과하다. 우리의 비극은 모든 국민이 영어를 필수로 배우지만 영어권의 자료에서 필연적으로 나오는 함정-예를 들면 기독교의 보급, 영어에 대한 전국민적 숭배강요-을 파악하는 사람은 전무하다시피 하여 슬프다. 210.102.151.185 2008년 3월 25일 (화) 21:03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4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수리남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4월 13일 (토) 15:4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