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라라크니온강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Chlorarachnion reptans | ||||||||||||||||||
생물 분류![]() | ||||||||||||||||||
---|---|---|---|---|---|---|---|---|---|---|---|---|---|---|---|---|---|---|
| ||||||||||||||||||
속 | ||||||||||||||||||
|
클로라라크니온강(Chlorarachnea 또는 Chlorarachniophytes)은 열대 바다에서 종종 발견되는 작은 조류 분류군의 일종이다. 광합성뿐만 아니라 세균과 더 작은 원생생물을 소화시켜 혼합 영양 생활을 한다. 보통은, 가지처럼 세포질이 확장된 작은 아메바와 같은 형태를 띠며, 세포를 연결함으로써 일종의 그물망을 형성하여 먹이를 포획한다. 이 생물은 일부 녹조류를 흡수하여 엽록체를 얻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
하위 분류[편집]
- Amorphochlora A.Yabuki & S.Ota, 2011
- 비겔로이엘라속 (Bigelowiella) Moestrup, 2001
- 클로라라크니오온속 (Chlorarachnion) Geitler, 1930
- 크립토클로라속 (Cryptochlora) E.Calderon-Saenz & R.Schnetter, 1987
- 김노클로라속 (Gymnochlora) K.Ishida & Y.Hara, 1996
- 로타렐라속 (Lotharella) K.Ishida & Y.Hara, 1996
- Norrisiella S. Ota, K.Ueda & K. Ishida, 2007
- 파르텐스키엘라속 (Partenskyella) S.Ota, D.Vaulot, F.L.Gall, A.Yabuki & K.Ishida, 2009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9년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이다.[2]
리자리아 |
| ||||||||||||||||||||||||||||||
각주[편집]
- ↑ Keeling PJ (2009). “Chromalveolates and the evolution of plastids by secondary endosymbiosis”. 《J. Eukaryot. Microbiol.》 56 (1): 1–8. doi:10.1111/j.1550-7408.2008.00371.x. PMID 19335769.
- ↑ Irwin, Nicholas A.T.; Tikhonenkov, Denis V.; Hehenberger, Elisabeth; Mylnikov, Alexander P.; Burki, Fabien; Keeling, Patrick J. (2019년 1월 1일). “Phylogenomics supports the monophyly of the Cercozo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영어) 130: 416–423. doi:10.1016/j.ympev.2018.09.004. ISSN 1055-7903. PMID 30318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