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태환 페소
쿠바 태환 페소 | |
---|---|
peso cubano convertible (스페인어) | |
ISO 4217 코드 | CUC |
중앙은행 | 쿠바 중앙은행 http://www.bc.gov.cu/ |
사용국 | ![]() |
인플레이션 | 5%[1] |
고정 비율 | 1 쿠바 태환 페소 = 1.08 미국 달러 |
보조단위 | |
1/100 | 태환 센타보 (centavo convertible) |
기호 | $, CUC 또는 CUC$ |
태환 센타보 (centavo convertible) |
¢ 또는 c |
동전 | 1, 5, 10, 25, 50 센타보, 1, 5 페소 |
지폐 | 1, 3, 5, 10, 20, 50, 100 페소 |
태환 페소(스페인어: peso cubano convertible 페소 쿠바노 콘베르티블레[*])는 쿠바의 통화로 페소와 함께 통용된다. 1 태환 페소는 100 센타보(centavos)로 나뉜다.
쿠바는 1993년에 미국 달러 통용을 허용했지만 2004년 11월 8일에 쿠바에 대한 미국의 경제 제재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에서 미국 달러 통용을 금지시켰다. 이에 따라 쿠바는 태환 페소를 도입했으며 1 쿠바 태환 페소 = 1.08 미국 달러의 고정 환율을 시행하고 있다. 1, 5, 10, 25, 50 센타보, 1, 5 페소 동전과 1, 3, 5, 10, 20, 50, 100 페소 지폐가 통용된다.
기타[편집]
10태환 페소 지폐의 뒷면 도안에는 ‘에너지 혁명’(Revoucion Energetica)이란 문구와 이동형 발전소의 그림이 새겨져 있는데, 이 이동형 발전소는 대한민국 현대중공업의 이동식 발전설비(PPS)이다. 자국 화폐에 외국에서 만든 설비를 도안으로 넣은 것은 쿠바의 10 태환 페소 지폐가 유일하다.[2]
각주[편집]
- ↑ The World Factbook, 2006년 발행
- ↑ "쿠바 지폐"속 현대重 발전기, 세계를 밝힌다 연합인포맥스. 2012년 7월 11일.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쿠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화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