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데니아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지치목 |
과: | 콜데니아과 Coldeniaceae J.S.Mill. & Gottschling, 2016 |
속: | 콜데니아속 Coldenia L., 1753 |
종: | 콜데니아 |
학명 | |
'Coldenia procumbens' | |
L., 1753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
|
콜데니아(coldenia, 학명: Coldenia procumbens 콜데니아 프로쿰벤스[*])는 택사목의 단형 과인 콜데니아과(coldenia科, 학명: Coldeniaceae 콜데니아케아이[*])의 단형 속인 콜데니아속(coldenia屬, 학명: Coldenia 콜데니아[*])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1][2] 과거에는 지치과의 송양나무아과나 개송양나무아과 아래에 분류하기도 했으나, 지치목 워킹 그룹(Boraginales Working Group)의 2016년 분류에서는 분자계통학적 근거에 따라 별개의 과로 재분류했다.[3]
각주[편집]
- ↑ Miller, James Spencer & Gottschling, Marc. Taxon 65: 509. 2016.
- ↑ 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1: 125. 1753.
- ↑ Luebert, Federico; Cecchi, Lorenzo; Frohlich, Michael W.; Gottschling, Marc; Guilliams, C. Matt; Hasenstab-Lehman, Kristen E.; Hilger, Hartmut H.; Miller, James S.; Mittelbach, Moritz; Nazaire, Mare; Nepi, Massimo; Nocentini, Daniele; Ober, Dietrich; Olmstead, Richard G.; Selvi, Federico; Simpson, Michael G.; Sutorý, Karel; Valdés, Benito; Walden, Genevieve K.; Weigend, Maximilian (2016). “Familial classification of the Boraginales”. 《Taxon》 (영어) 65 (3): 502‒522. doi:10.12705/653.5.
![]() |
이 글은 국화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가나의 식물상
- 감비아의 식물상
- 기니비사우의 식물상
- 기니의 식물상
- 나이지리아의 식물상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물상
- 네팔의 식물상
- 니제르의 식물상
- 라오스의 식물상
- 마다가스카르의 식물상
- 말레이시아의 식물상
- 말리의 식물상
- 모리타니의 식물상
- 모잠비크의 식물상
- 미얀마의 식물상
- 방글라데시의 식물상
- 베냉의 식물상
- 베트남의 식물상
- 부르키나파소의 식물상
- 세네갈의 식물상
- 소말리아의 식물상
- 스리랑카의 식물상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식물상
- 앙골라의 식물상
- 에티오피아의 식물상
-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물상
- 우간다의 식물상
- 이집트의 식물상
- 인도의 식물상
- 잠비아의 식물상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물상
- 지부티의 식물상
- 짐바브웨의 식물상
- 차드의 식물상
- 카메룬의 식물상
- 카보베르데의 식물상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캄보디아의 식물상
- 케냐의 식물상
- 콜데니아과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식물상
- 타이완의 식물상
- 탄자니아의 식물상
- 태국의 식물상
- 파키스탄의 식물상
- 필리핀의 식물상
- 하이난성의 식물상
- 1753년 기재된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