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눌라리아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눌라리아목
화석 범위:
?에디아카라기/캄브리아기 후기 ~ 트라이아스기 후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자포동물문
아문: 해파리아문
목: 코눌라리아목 (Conulariida)

코눌라리아목(Conulariida)은 고생대, 혹은 선캄브리아대부터 중생대의 초반까지 서식하던 자포동물의 일종이다. 인산칼슘의 껍데기를 몸에 두른 생명체로, 바다 바닥에 얌전히 생활하는 저서성 생물이었을 것이다.

구조[편집]

코눌라리아목은 기본적으로 껍데기만이 화석으로 산출된다. 껍질 속에 있었던 말랑말랑한 속살은 화석이 되기 전에 썩어 없어졌기 때문이다. 중국에디아카라기 초기 화석 중 코눌라리아목과 유사한 것이 있는데, 촉수 여러 개가 뻗어나오는 형태의 속살이 압착된 탄질의 형태로 화석으로 남았다[1].

코눌라리아목의 껍데기는 일반적으로 네 개의 삼각형 면이 둘러싸는 피라미드 모양이다. 종류에 따라 옆면이 세 개나 여섯 개인 것도 있다. 피라미드의 꼭지점은 바닥에 닿았을 아래쪽 부분이고, 화석으로 자주 남지는 않으나 원형의 받침이 있어서 이로 바닥에 몸을 부착했다. 거센 물살에 원래의 꼭지점으로부터 떨어져 나간 개체는 그 끝이 뭉툭한 모양으로 다시 재생하기도 하는데, 그 뭉툭한 끝은 schott라 불린다. 그 반대인 위쪽 부분은 넓게 뻥 뚫려있는데, 코눌라리아목은 자포동물인 만큼 여기서 촉수가 튀어나와 먹이를 잡았으리라 생각된다. 껍데기는 대개 2~20cm 사이로 자라고, 가장 큰 것은 50cm가 넘는다[2].

옆면의 표면을 보면 가로줄이 한없이 나 있다. 이 가로줄은 직선이 아니고, 위쪽을 향해 구부러져 있다. 가로줄은 밖으로 튀어나오는 주름의 형태를 띠며, 그 위에 돌기가 줄줄이 나기도 한다. 각 옆면이 만나는 모서리는 밖으로 뾰족하지 않고, 되려 안쪽으로 오목하게 파여 있다[2].

옆면은 위쪽 입구에서 그대로 끝나지 않고, 껍데기가 위쪽으로 세모를 이루며 더 나 있다. 이것이 크게 발달한 종류는 위로 자란 껍데기를 접어서 입구를 닫는 덮개로 썼다. 이 주변에는 껍데기가 아직 붙지 않은 연조직이 마치 종이접기와 같이 접혀 입구를 덮었다고도 여겨진다[3].

한국의 코눌라리아목[편집]

대한민국의 코눌라리아목은 일제강점기에 두무골층의 세르풀리테스 루에데만니(Serpulites ruedemanni, 현재는 스페노탈루스Sphenothallus의 일종으로 봄)가 보고된 것이 따지고 보면 최초이나, 이는 현재 코눌라리아목으로 여겨지지 않는다[4].

실질적인 최초는 광복 이후 강원도 영월군의 금천층에서 산출된 석탄기 연대의 파라코눌라리아 금천엔시스(Paraconularia geumcheonensis)이다[5]. 그 이후, 영월군의 오르도비스기 지층인 영흥층에서 클리마코코누스(Climacoconus sp.)가 보고되었다[4].

각주[편집]

  1.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some earliest Ediacaran fossils from China -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영어). 2022년 3월 7일에 확인함. 
  2. Van Iten, Heyo (1992). “Microstructure and growth of the conulariid test: implications for conulariid affinities.” (PDF). 《Palaeontology》 35: 359-372. 
  3. Ford, Robert C.; Van Iten, Heyo; Clark, George R. (2016). “Micro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periderm of conulariids”. 《Journal of Paleontology》 90 (3): 389–399. ISSN 0022-3360. 
  4. Choi, Duck Keun; Jeong, Kyung Wan (1990년 10월). “Discovery of Conulariid from the Yeongheung Formation (Ordovician), Korea”. 《지질학회지》 26 (5): 497–499. 
  5. Choi, Duck Keun (1988년 6월). “A Conulariid from the Geumcheon Formation (Upper Carboniferous), Sangdong Area, Korea”. 《지질학회지》 24 (2): 87–92.